養直集 目錄

養直集
양직집
養直先生文集
養直先生文集
都聖兪
도성유
1851
  • 韓國文集叢刊(續)第17集
  • -
  • 한국고전번역원
  • 此文檔集合是通過公共數據門戶構建的服務。

解題和凡例


  • 조선 시대 양직(養直) 도성유(都聖兪, 1571~1649)의 문집이다. 저자의 시문은 대부분 화재로 산일되어 약간 편만이 전해졌다. 본집은 1851년경 목판(木板)으로 간행(刊行)된 초간본(初刊本)으로 그 간행경위(刊行經緯)는 분명하지 않다. 본집은 3권 1책으로, 권수(卷首)에 1851년에 이원조(李源祚)가 지은 서(序)가 있다. 권1은 시(詩), 만(挽)이다. 그중에서〈정축춘문강화지기감음(丁丑春聞講和之奇感吟)〉은 청나라와의 강화에 비분강개(悲憤慷慨)하고 삼학사(三學士)를 애달파 하는 내용이다. 권2는 부(賦), 서(書), 제문(祭文), 고유문(告由文), 오경도(五經圖)이다. 특히 오경도는 오경의 관계와 용도를 도식으로 나타낸 〈오경체용합일지도(五經體用合一之圖)〉, 〈오경각분체용지도(五經各分體用之圖)〉와 학문의 이치ㆍ요체ㆍ도리ㆍ조목을 기술한 것이다. 권3은 부록(附錄)으로 가장(家狀), 묘갈명(墓碣銘), 묘지(墓誌)와 1708년에 서원으로 승격된 용호서원과 관련된 〈용호사봉안문(龍湖祠奉安文)〉 등이 있고 박명섭(朴命燮)이 지은 〈오경체용도서(五經體用圖序)〉, 유사(遺事), 만(輓), 수창시(酬唱詩), 사우간독(師友簡牘)이다.

    查看詳細釋放


  • ○ 本集은 養直 都聖兪(1571:宣祖4 ~ 1649:仁祖27)의 文集이다.
    ○ 本集은 1851年頃 木板으로 刊行된 初刊本으로 그 刊行經緯는 分明하지 않다.
    ○ 分量은 3卷 1冊으로 總 79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國立中央圖書館藏本(圖書番號:우촌古3648-文17-2)으로서 半葉은 10行 22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19.6×16.2(cm)이다.
    ○ 本 影印底本은 卷3의 第14板은 板次가 漏落되어 있다.
    ○ 本集의 標點者는 趙昌來이고 監修者는 成百曉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相關文集

文集名 著者 出版年 著作時代 DB
양직선생문집(養直先生文集) 도성유(都聖兪) - 朝鮮時代 中期 韓國歷代文集DB
묵헌집(默軒集) 이만운(李萬運) 1938 朝鮮時代 後期 韓國文集叢刊DB
응와집(凝窩集) 이원조(李源祚) 1926 朝鮮時代 後期 韓國文集叢刊DB
선원유고(仙源遺稿) 김상용(金尙容) 1640 朝鮮時代 中期 韓國文集叢刊DB
강고집(江皐集) 유심춘(柳尋春) 1852 朝鮮時代 後期 韓國文集叢刊DB
괴은유고(乖隱遺稿) 정구(鄭球) - 朝鮮時代 中期 韓國文集叢刊DB


記事
要看原文,請雙擊目次。

文體
按風格過濾文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