拙齋集 目錄

拙齋集
졸재집
拙齋先生文集
拙齋先生文集
柳元之
유원지
1791
  • 韓國文集叢刊(續)第28集
  • -
  • 한국고전번역원
  • 此文檔集合是通過公共數據門戶構建的服務。

解題和凡例


  • 조선 시대 졸재(拙齋) 유원지(柳元之, 1598~1674)의 문집이다. 본집은 5대손 종춘(宗春)이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1791년 목판으로 간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14권 7책으로, 권두에 서문은 없고 문집 전체에 대한 목록이 있다. 권1~2는 시(詩)로, 시체의 구분 없이 1621년부터 1673년까지 지은 시가 연대순으로 편차되어 있다. 작품 중에 〈현재유회시아(縣齋有懷示兒)〉는 1656년 진안 현감으로 있으면서 고향에 있는 자식들에게 조고의 유지를 받들어 충효에 힘쓸 것을 당부하며 지어 준 것이다. 권3~4는 소(疏)이고 권5~9는 서(書)이다. 권10~11은 잡저이다. 특히 〈진북계성리자의설후변(陳北溪性理字義說後辨)〉은 진순(陳淳)의 〈성리자의(性理字義)〉를 읽고 의문나는 점을 기록한 것으로 1672년에 지은 것이고 〈화담집(花潭集)〉, 〈율곡집(栗谷集)〉, 〈여헌집(旅軒集)〉, 〈우복집(愚伏集)〉을 읽고서 든 의문점이나 생각을 정리한 독서 후기가 몇 편 있다. 권12는 잡저, 서(序), 기(記)이고 권14는 묘갈, 묘지, 행장이다. 권말에는 저자의 5대손 유종춘(柳宗春)이 1791년에 쓴 발문이 있다.

    查看詳細釋放


  • ○本集은 拙齋 柳元之(1598 : 宣祖31 ~ 1674 : 顯宗15)의 文集이다.
    ○本集은 著者의 5代孫 宗春이 家藏草稿를 바탕으로 蒐集ㆍ編次하여 1791年 木板으로 刊行한 初刊本이다.
    ○分量은 14卷 7册으로 總 441板이다.
    ○本 影印底本은 延世大學校 中央圖書館藏本(圖書番號 : 811.98/유원지/졸)으로서 半葉은 11行 22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1.9×17.8(cm)이다.
    ○本集의 標點者는 趙昌來이고 監修者는 梁鴻烈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相關文集

文集名 著者 出版年 著作時代 DB
졸재선생문집(拙齋先生文集) 유원지(柳元之) - 朝鮮時代 後期 韓國歷代文集DB
沒有相關文集。


記事
要看原文,請雙擊目次。

文體
按風格過濾文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