松窩集 目錄
松窩集
송와집
松窩集
松窩集
|
|
安命夏
안명하
|
|
1873 | |
|
解題和凡例
조선 시대 송와(松窩) 안명하(安命夏, 1682~1752)의 문집이다. 본집은 족현손 효완(孝完), 효식(孝寔) 등이 이상정(李象靖)의 교정을 거친 시문을 바탕으로 산정ㆍ편차하여 1873년 목판으로 간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11권 6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 허전(許傳)이 1873년에 지은 서(序)와 목록이 있다. 권1~2는 시(詩), 사(詞)이다. 기행시, 유람시가 많은데 특히 선현들의 유지를 돌아보고 지은 것들이 눈에 띈다. 권3의 앞부분은 정석달(鄭碩達), 권중도(權重道) 등의 만장이고 권3의 뒷부분~권5의 앞부분은 이현일(李玄逸), 정만양(鄭萬陽) 등에게 보낸 서(書)이다. 권5의 뒷부분은 서(序), 기(記), 발(跋), 명(銘)이다. 권6~7은 잡저, 축문, 제문, 애사, 행장이고 권8~9는 록(錄)이다. 그중에서 〈금양문견차록(錦陽聞見箚錄)〉은 이현일이 우거하던 금양에 찾아가 배울 적에 견문을 모아 놓은 것으로 일상 예절부터 예제에 대한 문답까지 다양하다. 권10~11은 부록으로 행장, 사우제운(師友諸韻), 제문 등이 실려 있고 권말에 지은 연도가 기록되지 않은 족현손 효식의 지(識)와 조성교(趙性敎)의 발(跋)이 있다.
查看詳細釋放
-
○ 本集은 松窩 安命夏(1682 : 肅宗 8 ~ 1752 : 英祖 28)의 文集이다.
○ 本集은 著者의 族玄孫 孝完ㆍ孝寔등이 李象靖의 校正을 거친 詩文을 바탕으로 刪定ㆍ編次하여 1873년 木板으로 刊行한 初刊本이다.
○ 分量은 11卷 6冊으로 總 437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延世大學校 中央圖書館 藏本(圖書番號 : 811.98/안명하/송)으로서 半葉은 10行 21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1.8×16.7(cm)이다.
○ 本 影印底本 중 卷11의 제35板은 卷次가 「10」으로 誤記되어 있다.
○ 本集의 標點者는 趙昌來이고, 監修者는 梁鴻烈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相關文集
文集名 | 著者 | 出版年 | 著作時代 | DB |
---|---|---|---|---|
송와집(松窩集) | 안명하(安命夏) | - | 朝鮮時代 後期 | 韓國歷代文集DB |
밀암집(密菴集) | 이재(李栽) | - | 朝鮮時代 後期 | 韓國文集叢刊DB |
성재집(性齋集) | 허전(許傳) | 1903 | 朝鮮時代 後期 | 韓國文集叢刊DB |
대산집(大山集) | 이상정(李象靖) | 1802 | 朝鮮時代 後期 | 韓國文集叢刊DB |
우계집(雨溪集) | 김명석(金命錫) | 1880 | 朝鮮時代 後期 | 韓國文集叢刊DB |
제산집(霽山集) | 김성탁(金聖鐸) | 1860 | 朝鮮時代 後期 | 韓國文集叢刊DB |
記事
要看原文,請雙擊目次。
|
按風格過濾文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