魯宇集 目錄

魯宇集
노우집
魯宇集
魯宇集
鄭忠弼
정충필
1881
  • 韓國文集叢刊(續)第89集
  • -
  • 한국고전번역원
  • 此文檔集合是通過公共數據門戶構建的服務。

解題和凡例


  • 조선 시대 노우(魯宇) 정충필(鄭忠弼, 1725~1789)의 문집이다. 본집은 동생 동필(東弼)이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유규(柳규(氵+奎))의 교감ㆍ정리를 받은 고본을, 저자의 5대손 석호(錫祜)가 1881년 경 목판으로 간행한 초간본(初刊本)이다. 본집은 6권 3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 이돈우(李敦禹)가 1881년에 지은 서문과 목록이 있다. 권1~2는 시(詩)이다. 시체 구별 없이 저작 연도순으로 편차되어 있다. 권2의 〈서정(西征)〉은 1783년에 달성(達城), 금호(琴湖) 등을 거쳐 정구(鄭逑)를 모신 회연서원(檜淵書院)까지 다녀온 유람의 여정을 그린 장시이다. 권3은 서(書)이다. 인물별로 묶어 연도순으로 편차하였다. 권4는 잡저이다. 〈학설(學說)〉은 혹자와의 질의응답 형식을 빌려 학문을 하는 자는《대학장구》의 입덕(入德)하는 차례대로 공부할 것을 주장하였고, 〈후천괘도설(後天卦圖說)〉은 선천육십사괘원도(先天六十四卦圓圖), 후천괘구도(後天卦舊圖), 후천괘신도(後天卦新圖)를 그리고 이에 대한 설명을 덧붙인 것이다. 권6은 부록이다. 동생 동필의 행장, 유규의 묘지명, 최효술(崔孝述)의 묘갈명이 실려 있다.

    查看詳細釋放


  • ○ 本集은 魯宇 鄭忠弼(1725 : 英祖 1 ~ 1789 : 正祖 13)의 文集이다.
    ○ 本集은 著者의 季弟 東弼이 家藏草稿를 바탕으로 蒐集ㆍ編次하여 柳의 校勘ㆍ整理를 받은 稿本을, 著者의 5代孫 錫祜가 1881년 경 木板으로 刊行한 初刊本이다.
    ○ 分量은 6卷 3冊으로 總 210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延世大學校 學術情報院 藏本(圖書番號 : 811.98/정충필/노-판)으로서 半葉은 10行 21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0.6×17.2(cm)이다.
    ○ 本集의 標點者는 梁鴻烈이고, 監修者는 趙昌來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相關文集

文集名 著者 出版年 著作時代 DB
노우집(魯宇集) 정충필(鄭忠弼) - 朝鮮時代 後期 韓國歷代文集DB
임여재집(臨汝齋集) 유규(柳[氵+奎]) 1849 朝鮮時代 後期 韓國文集叢刊DB
회병집(晦屛集) 신체인(申體仁) - 朝鮮時代 後期 韓國文集叢刊DB
운곡집(雲谷集) 이희발(李羲發) 1899 朝鮮時代 後期 韓國文集叢刊DB
지헌집(止軒集) 최효술(崔孝述) 1877 朝鮮時代 後期 韓國文集叢刊DB


記事
要看原文,請雙擊目次。

文體
按風格過濾文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