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혜정2017韓國佛敎學깨달음은 삶의 중요한 바탕이자 지향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 현응 스님을 중심으로 일어난 깨달음의 논쟁을 통해 그 논점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보조 지눌과의 비교를 통해 깨달음의 의미와 내용을 탐구해보고자 한것이다. 현응 스님은 깨달음이란 ‘잘 이해…
-
박인석2016한국선학이 글의 목적은 영명연수(永明延壽, 904-975)의 『종경록』에 나오는 무심(無心)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것이 연수 후대 고려의 보조지눌(普照知訥, 1158-1210)과 현대 한국의 퇴옹성철(退翁性徹, 1912-1993)에게 끼친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
-
김호성2016불교학연구미타증성게는 원효의 정토사상을 알 수 있는 텍스트이다. 8구로 이루어진 짧은 시인데, 다행히 보조지눌의 절요에 인용됨으로써 전해질 수 있었다. 선행연구로서 김상현과 한태식(보광)의 연구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보조지눌의 미타증성게 인용을 해석학적 이해의 한 선례…
-
정혜정2016불교학연구본 연구는 지눌의 돈오점수와 정혜쌍수를 재검토하여 돈오와 점수, 자성정혜와 수상정혜의 이문수행이 어떻게 융합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돈오란 자성을 돈오함인데 ‘공적하면서도 신령한 앎이 비추이고 있음’을 깨닫는 것이다. 또한 성불은 돈오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
A. Charles Muller2016불교학 리뷰본질-작용(體用, Ch. ti-yong, J. tai-yū; 일본에서 불교학 이외의 연구에서는 tai-yō) 패러다임은 기원전 5세기부터 근대 시기에 이르기까지 중국, 한국, 일본의 종교・철학적 문헌을 해석할 때에 가장 널리 사용된 해석학적 틀로 볼 수 있다.…
-
신규탁2015한국선학필자는 이 논문에서 “지눌(知訥)은 정토사상(淨土思想)을 수용했다”라고 주장함과 동시에 이런 필자의 주장에 근거를 제시했다. 현재 한국의 불교학계에는 지눌의 정토사상 수용 여부에 대하여 상반된 입장이 발표되었다. 심재룡 교수(1990)는 지눌은 정토사상을 수용…
-
이점숙2014한국선학한국선종에서 고려시대의 조사선 수용과 간화선의 수용과정은 한국적 선수행의 정체성을 밝히는 중요한 논의가 될 것이다. 이에 많은 선행연구물이 있지만 한국의 산문에 유입되는 선사상적 차이점을 명시하지 못하고 있고 조사선 사 상을 표방하는 간화선, 혹은 간화선 수행…
-
채상식2014한국민족문화당말 오대를 거쳐 송초까지 살았던 永明延壽(904∼975)는 선종의 일파인 法眼宗 승려이다. 그는 사상적으로 ‘一心’을 가장 중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禪敎一致와 禪淨一致를 표방함으로써 그는 탄력성과 포용력을 지녔다. 그는 많은 저술을 남겼지만 대표적인 것은 『…
-
천정권2013韓國佛敎學본 논문은 知訥의 頓悟漸修論 과 웨슬리의 聖化論에 나타난 종교적 구제방법론의 외적 형식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기독교와 불교 간의 학문적 대화의 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禪佛敎의 깨달음의 方法인 頓悟漸修, 다시 말해서 점진적(Gradual)깨달음과 웨슬리의 …
-
김용태2013한국선학본고에서는 먼저 근·현대 한국불교의 종명 변천을 개관하였고 종조 인식의형성과 귀결, 曹溪宗 종조 및 종지에 내포된 문제점 등을 고찰해 보았다. 근대의圓宗-臨濟宗-禪敎兩宗-조계종의 대두 과정과 배 경, 역사적 연원과 의미를 당시불교사의 흐름 속에서 살펴보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