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The Korean Studies Content
MKSDB / DB / 한국학 연구논문 콘텐츠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DATABASE
  • 종류별
  • 시대별
  • 주제별

Korean Studies Content 16,776
Sort
Most recent publication year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박사학위논문
    |
    조선시대
    |
    선비문화
    |
    역사문화
    금강산 歷史文化路 개발 연구
    박부원
    2020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nature of the Old Trails of Mt. Geumgang from various perspectives, summarize the historical s…
    #금강산 #역사문화로 #유산기 #금강산관광 #문화콘텐츠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술지
    |
    조선문화
    1930년대 중반 불교계의 『金剛山』 잡지 발간과 그 의의
    이경순
    2017
    불교학연구
    금강산은 다양한 전승이 혼재하며 장구한 역사를 지닌 공간이다. 식민지기에 들어서 금강산은 근대 관광의 최전선으로, ‘동양의 신비’를 간직한 상업적 위락 공간으로 변모했다. 식민지의 민족주의자들은 식민지 조선의 역사, 민족혼에 대한 향수를 금강산에서 발견했다. 금강산은 문명과 자연이 혼거하며, 다양한 표상들의 경합장이 되어갔다. 이러한 가운데 불교는 삼국시대 이래 금강산의 문화 전승자로서 존립하고 있었…
    #금강산 #『금강산』_잡지 #표훈사 #금강산_관광 #근대_불교잡지 #금강산불교 #최원허 #Mt._Geumgangsan #Kumkangsan_magazine #Buddhist_publication #Buddhist_tradition_in_Mt._Geumgangsan #Mt._Geumgangsan_railroad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한국 인문지리학 분야에서 북한 연구의 동향과 과제
    김기혁
    2016
    대한지리학회지
    본 연구는 한국의 인문지리학에서 북한과 관련된 학술 성과와 내용을 분야별로 분석하여 통일에 대비하기 위한 연구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기별 연구 동향을 보면 1980년대 이전에는 정치지리분야에서 지정학과 통일국토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
    #북한학 #지정학 #휴전선 #접경지역 #개성공단 #나진선봉지구 #금강산 #지리교육 #북한지명 #North_Korean_studies #geopolitics #DMZ #border_region # #Gaeseong_Industrial_Complex #Geumgangsan #geography_education #place_names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도래하는 "대조선(大朝鮮)", 귀환하는 "영지(靈地)" - 최남선 『조선유람가』의 문화정치학 -
    최현식
    2014
    韓國 詩歌硏究
    이 글은 최남선의 『조선유람가』(1928)의 문학사적·문화정치학적 가치와 의미를 동시에 제고하기 위해 작성된다. 장편창가 『조선유람가』는 1920년대 중반 ‘조선주의’와 ‘불함문화’를 널리 표방하기 위해 작성된 시조집 『백팔번뇌』와 기행문 『백두산근참기』 『심…
    #최남선 #조선유람가 #경부텰도노래 #만한철도창가 #백팔번뇌 #장편창가 #영사시 #詠史詩 #대조선 #일제 #식민지_조선 #문화폭력 #문화정치학 #탈식민 #경성 #창경원 #투어리즘 #백두산 #영웅 #금강산 #경주 #Choi #Nam-sun #Josun-Yuramga #Gyoungbu-choldoga #Manhan-choldochangga #Baek-palbonnoe #long_changga #Daejosun #Great_Josun #Japan`s_imper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술지
    |
    역사문화
    도래하는 "대조선(大朝鮮)", 귀환하는 "영지(靈地)" - 최남선 『조선유람가』의 문화정치학 -
    최현식
    2014
    韓國 詩歌硏究
    이 글은 최남선의 『조선유람가』(1928)의 문학사적·문화정치학적 가치와 의미를 동시에 제고하기 위해 작성된다. 장편창가 『조선유람가』는 1920년대 중반 ‘조선주의’와 ‘불함문화’를 널리 표방하기 위해 작성된 시조집 『백팔번뇌』와 기행문 『백두산근참기』 『심춘순례』 「풍악기유」(『금강예찬』) 등에 비해 비교적 덜 알려져 있다. 『조선유람가』는 당시로서는 퇴조기에 접어들던 ‘영사’ 형식을 빌려, ‘대…
    #최남선 #조선유람가 #경부텰도노래 #만한철도창가 #백팔번뇌 #장편창가 #영사시 #詠史詩 #대조선 #일제 #식민지_조선 #문화폭력 #문화정치학 #탈식민 #경성 #창경원 #투어리즘 #백두산 #영웅 #금강산 #경주 #Choi #Nam-sun #Josun-Yuramga #Gyoungbu-choldoga #Manhan-choldochangga #Baek-palbonnoe #long_changga #Daejosun #Great_Josun #Japan`s_imper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특집 : 19세기 처사작(處士作) 금강산 기행가사에 나타난 금강산의 의미
    장정수
    2013
    韓國 詩歌硏究
    이 논문은 19세기 금강산 기행가사에 나타나는 금강산의 장소성(placeness)을 고찰 하였다. 현전하는 금강산 기행가사는 대부분 19세기에 창작되었는데, 그중 처사(處士)작으로 밝혀진 일군의 작품에는 여행 체험의 구체적 서술, 설화·고사·유적·유물 등에 대…
    #금강산 #기행가사 #紀行歌辭 #처사 #處士 #장소성 #場所性 #박물학 #博物學 #인문지리 #人文地理 #풍수사상 #風水思想 #유람 #遊覽 #택리지 #擇里志 #동국여지승람 #東國輿地勝覽 #Mt._Geumgang #Gihaeng_Gasa #Cheosa #placeness #the_study_of_nature #human_geography #feng-shui #風水 #travel #Taekriji #택리지 #擇里志 #Donggukyeojiseungram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술지
    |
    조선문화
    특집 : 19세기 처사작(處士作) 금강산 기행가사에 나타난 금강산의 의미
    장정수
    2013
    韓國 詩歌硏究
    이 논문은 19세기 금강산 기행가사에 나타나는 금강산의 장소성(placeness)을 고찰 하였다. 현전하는 금강산 기행가사는 대부분 19세기에 창작되었는데, 그중 처사(處士)작으로 밝혀진 일군의 작품에는 여행 체험의 구체적 서술, 설화·고사·유적·유물 등에 대한 관심, 금강산 지형에 대한 풍수적 해설이 공통적 요소로 등장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공통 요소를 통해 19세기 처사들은 금강산을 어떤 …
    #금강산 #기행가사 #紀行歌辭 #처사 #處士 #장소성 #場所性 #박물학 #博物學 #인문지리 #人文地理 #풍수사상 #風水思想 #유람 #遊覽 #택리지 #擇里志 #동국여지승람 #東國輿地勝覽 #Mt._Geumgang #Gihaeng_Gasa #Cheosa #placeness #the_study_of_nature #human_geography #feng-shui #風水 #travel #Taekriji #택리지 #擇里志 #Donggukyeojiseungram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석사학위논문
    |
    한일관계사
    일제강점기 관광지와 관광행위 연구
    원두희
    2011
    일제강점기는 한국인에게 있어 애증의 시기이다. 한일병합 이후의 식민지 생활에 대하여 대다수의 사람들은 수탈과 핍박의 역사로 표현한다. 하지만 이시기에 근대 문물의 유입과 함께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으며, 그 중에 하나가 관광(tourism)이다. 그렇지만 일제강점기 관광에 대한 지리학계의 연구는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조선인의 한반도 관…
    #지리교육 #일제강점기 #근대관광 #금강산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석사학위논문
    |
    선비문화
    |
    양반사회
    金剛山 紀行歌辭 硏究
    강대인
    2005
    The Travel-Gasa(紀行歌辭) of Mt. KumGang is a literature written by the authors who traveled through NaeKumGang, OeKumGang, and HaeKumGang by themsel…
    #The_Travel-Gasa(紀行歌辭) #Mt._KumGang #acception #exixting_poems #their_way_of_interpreting_nature #the_level_of_writers #the_lyricism #epic_characteristics_based_on_realistic_and_reportorial_trend #a_regular_form_grounded_on_the_fixed_rhythm #become_more_flexible #Kwan-yu_Gasa(觀游歌辭) #금강산 #기행가사 #시가 #양식 #수용 #교섭 #명칭 #작가의_계층 #인식태도 #제목 #서정성 #사실성 #보고성 #장편화 #정격가사 #변격가사 #서사성 #관유가사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First PagePreview Page1Next PageLast Page총 9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Report Error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