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The Korean Studies Content
MKSDB / DB / 한국학 연구논문 콘텐츠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DATABASE
  • 종류별
  • 시대별
  • 주제별

Korean Studies Content 16,776
Sort
Most recent publication year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석사학위논문
    |
    역사문화
    이전복원 된 역사마을의 문화재적 인식에 관한 연구
    이동현
    2020
    This thesis attempts to interpret the attributes as a cultural heritage of historic villages that this study deals with, starting from the essenc…
    #문화재 #역사마을 #가치 #이전복원 #보존 #인식론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석사학위논문
    |
    역사문화
    문화재 주변 행위규제와 도시계획의 정합성 제고 연구
    안호
    2019
    지금 우리가 발 딛고 서 있는 이 땅은 수천, 수만년간 수 많은 이들이 터 잡고 살아 온 곳이고, 그들의 흔적들이 남아서 당시 삶의 모습을 우리에게 전하고 있다. 이러한 흔적들 중에 특별한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 문화재라는 이름으로 보호되고 있으며, 그것들을 통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본질적인 모습을이해하는 실마리를 찾고 있다. 급격한 산업화와 경제발전 과정에서 소홀했던 문화재에 대한 인식…
    #문화재 #역사문화환경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 #현상변경 #문화재_규제 #도시계획 #지구단위계획 #광역도시계획 #도시군기본계획 #도시군관리계획 #문화재보호법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박사학위논문
    |
    조선시대
    |
    역사문화
    역사문화환경으로서 풍납토성 일대 변화과정의 도시형태학적 해석
    이난경
    201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Pungnaptoseong fortress(kingdom fortress), which is the core area of Hanseong Baekje period's capital city…
    #풍납토성 #도시형태 #역사문화환경 #고도 #문화재 #역사도시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술지
    |
    조선문화
    일제강점기 대만(臺灣)의 문화재 제도화 과정과 조선 비교
    오춘영
    2018
    문화재
    Taiwan and Korea have common memories of colonization by Japan. Therefore, for researchers studying colonial times, the two countries are becomin…
    #문화재 #대만총독부 #조선총독부 #사적 #고적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술지
    |
    조선문화
    일제강점기 문화재 정책 형성과정 연구
    오춘영
    2018
    문화재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y investigated and institutionalized Korea’s cultural properties for the purpose of governance. This process was co…
    #조선총독부 #문화재 #위원회 #세키노타다시 #구로이타가쓰미 #Joseon_Government-General #Cultural_property #Committee #Sekino_Tadashi #Guroita_Gatsumi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석사학위논문
    |
    고고학
    일제강점기 문화재 반출과 조선인의 대응
    박진이
    2016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가 조선에서 실시한 문화재 관련 정책과 이 과정에서 조선의 문화재가 일본으로 반출된 사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일제에 의해 조선의 문화재가 피해를 입는 상황에 대해 조선인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하였는가에 대해서도 파악하고…
    #문화재 #반출 #고적조사사업 #오구라_컬렉션 #전형필 #문화재_수장가 #송도서화연구회 #화양소제고적보존회 #개성보승회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석사학위논문
    |
    역사문화
    문화재 학습을 통한 초등학생의 역사인식 변화
    모웅서
    2015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수많은 역사왜곡과 독도 영유권 문제, 휴전상태, 남북한 대치 등은 학생들의 올바른 역사인식에 큰 혼란을 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의 역사에 대해서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북한과 아주 인접한 철원지역에 살면서 지역의 역사적 특수성에 기반 한 유적과 문화재에 전혀 관심도 가지고 있지 않고, 심지어는 잘못된 역사지식과 이해 속에 살아…
    #문화재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술지
    |
    조선문화
    한국 전통의 표상 공간, 인사동의 형성
    전우용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전통’은 현재에 살아 있는 과거이며, 현재와 과거가 연결되어 있음을 입증하는 상징들이자 표상이다. 이것은 스스로 역사를 ‘공유’한다고 믿는 사람들이 합의하여 특별한 가치를 부여하고, 보존과 전승의 필요성을 인정한 ‘낡은 것들’로서 사람들의 행동양식과 사고방식, 그들이 사용하는 물건 모두와 관계를 맺는다. 전통이라는 단어는 자주 ‘과거로부터 면면히 전승되어 온 공동체 문화의 정수’라는 의미의 접두어로…
    #인사동 #전통 #표상_공간 #고서점 #골동 #서화 #병원 #악기점 #문화재 #전통문화의_거리 #Insa-Dong #tradition #space_of_representation #antique_book_store #curio_shop #paintings_and_calligraphic_works #hospital #musical_instruments_store #cultural_assets #street_of_traditional_culture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석사학위논문
    |
    고고학
    고분 내부의 환경 분석을 통한 석실 및 벽화의 보존 방안 연구
    김지민
    2015
    고분은 습한 내부 환경에도 불구하고 밀폐된 상태의 조건하에서 오랜 시간 유지되어 왔지만, 발굴과 함께 일반에게 공개되면서부터 무분별한 관리와 급격한 환경의 변화로 인해 미생물의 증식 등으로 열화가 진행되어왔다. 기존의 고분 보존 연구는 고분이라는 공간의 환경적 특성과 자재에 따른 보존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공조기를 설치 및 운전한 결과, 고분의 훼손을 촉진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에 학술적?역사적?고…
    #고분 #문화재 #보존 #미기후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석사학위논문
    |
    고고학
    서울시 지정문화재 안내판 현황 및 관리에 관한 연구
    변진숙
    2015
    우리나라의 문화재 연구는 미술사적 가치 또는 고고학적 중요도에 따라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역사적, 학문적 가치를 부여하는 지정문화재에 대한 등록절차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지정문화재에 대한 문화재안내판 설치 및 관리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
    #문화재 #안내판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First PagePreview Page123Next PageLast Page총 25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Report Error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