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The Korean Studies Content
MKSDB / DB / 한국학 연구논문 콘텐츠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DATABASE
  • 종류별
  • 시대별
  • 주제별

Korean Studies Content 16,776
Sort
Most recent publication year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박사학위논문
    |
    조선시대
    |
    선비문화
    |
    역사문화
    금강산 歷史文化路 개발 연구
    박부원
    2020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nature of the Old Trails of Mt. Geumgang from various perspectives, summarize the historical s…
    #금강산 #역사문화로 #유산기 #금강산관광 #문화콘텐츠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석사학위논문
    |
    선비문화
    조선시대 유산기를 통해 본 삼각산의 경관특성 및 경관체험 연구
    이산하
    2017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선비들의 유산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삼각산의 경관특성과 경관체험의 행태를 고찰했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북한산국립공원의 옛 삼각산 지역이며, 본 연구의 주된 자료는 삼각산 유산기다. 연구를 위해 유산기 총 25편을 수집하였으며 이 중 경관특성과 향유행태를 파악할 수 있는 19편을 선정하여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유산기에 대한 선행연구와 경관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해 경관특성에…
    #삼각산 #유산기 #북한산_국립공원 #경관_특성 #경관_요소 #경관_유형 #경관_체험 #경관_향유방식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역대문집DB
    |
    학위논문
    芝山 曺好益의 <遊妙香山錄>에 대한 고찰
    전송열
    2008
    열상고전연구
    <유묘향산록>은 지산 조호익(1545~1609)이 쓴 유산기로 조선조에 들어서 지어진 묘향산에 대한 유산기 중 최초의 본격적인 유산기로 손꼽힌다. 이 유산기는 조선조에 창작된 수많은 유산기들이 거의 천편일률에 가까운 형태를 지니고 있음에 비해 자신만의 독특한 관점에서 산을…
    #조선 #조호익 #묘향산 #유산기 #삽화 #대화체 #성리학 #Joseon_Dinasty #illustration #sightseeing_book #Myohyang_Mountain #Jo_Ho-yik #dialogic_style #Sung_Confucianism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석사학위논문
    |
    선비문화
    丁時翰의 『山中日記』를 통해 본 當代人의 遊山文化 硏究
    김종구
    200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mountain travelling culture through 『Sanjungilgi』(山中日記) by Jeong Shi-han(丁時翰, 1625~1707…
    #유산기 #유산문화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술지
    |
    문집
    유산기(遊山記)의 시공간적 추이와 그 의미
    박영민
    2004
    民族文化硏究
    본고는 조선시대 유산기 데이터베이스의 현황을 보고하고, 이를 토대로 유산기의 시공간적 추이와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과제에서 구축한 유산기 데이터베이스의 총 작품 수는 347편이다. 이 중 금강산 유산기가 작품 전체의 15%에 해당하는 51편이나 된다. 금강산 다음으로 많은 유산기를 남긴 산은 지리산, 가야산, 청량산, 삼각산 순이다. 그러나 금강산, 지리산에 비하면 작품 수가 현저히 적다. 조…
    #유산기 #시간 #공간 #산 #실경산수화 #조선시대_행정구역 #창작추이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First PagePreview Page1Next PageLast Page총 5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Report Error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