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The Korean Studies Content
MKSDB / DB / 한국학 연구논문 콘텐츠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DATABASE
  • 종류별
  • 시대별
  • 주제별

Korean Studies Content 16,776
Sort
Most recent publication year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박사학위논문
    |
    역사문화
    조선시대 사료 기반 역사콘텐츠의 현대적 재현과 제작
    이규철
    2020
    본고는 조선시대 사료 기반의 역사콘텐츠를 현대적으로 재현하고 제작하는 방안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문화콘텐츠학과 역사학은 접목과 융합을 통해 많은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학문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많은 대학들의 역사학 전공 과정에 문화콘…
    #조선시대 #역사_자료 #역사교육 #역사문화콘텐츠 #강무(講武) #GIS #공간 #Joseon_Dynasty #Historical_data #History_education #Historical_contents #The_Military_Training #GIS #space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한국지리풍속지DB
    |
    학위논문
    이성부 시에 나타난 지리산의 공간 의식 연구
    백애송
    2015
    한민족문화연구
    이 연구의 목적은 이성부 시에 나타난 지리산의 공간 의식을 살펴보는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상향의 모습, 갈등과 대립의 모습, 삶의 터전으로서의 모습을 바탕으로 이성부의 시에 나타난 지리산이라는 공간을 면밀하게 살펴 새로운 차원에서 조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지리산 #공간 #이상향 #갈등 #대립 #삶의_터전 #Mt._Jiri #space #utopia #conflict #confrontation #foundation_for_life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술지
    |
    조선문화
    1930년대 초중반 김기림의 공간과 전체시론의 형성 -프로문학과 모더니즘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행선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김기림은 서구적 근대를 보편으로 삼았던 모더니스트였다고 평가되었다. 그래서 김기림 하면 흔히 지성, 서구적 보편으로서의 근대를 지향한 모더니스트, 과학적 정신 등을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진정성을 근저로 한다는 모더니스트의 고통을 깊이 들여다본 연구가 축적되면서 김기림의 모더니즘이 서구추수적이고 피상적이었다는 비판은 극복되어 왔다. 김기림에게 모더니즘 작가란 사회주의의 편내용주의를 극복하고 언어와 감…
    #프로문학 #임화 #사회주의 #전체시론 #풍자(새타이어) #공간 #구인회 #모더니티 #proletarian_literature #Im-Wha #socialism #total_poetics #satire #space #Guinhoe #modernity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국역 고려사DB
    |
    학위논문
    특집 : <정읍(井邑)> 전승사에서 “정읍”의 장소성에 대한 인식 변화 양상
    김명준
    2013
    韓國 詩歌硏究
    <정읍>은 백제 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궁중과 민간에서 전승되면서 ``정읍``의 의미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본고를 전개하였다. ‘정읍’의 장소적 의미는 전승 과정에서 크게 네 가지로 살필 수 있었다. 첫 번째 형성 단계에서 ‘남:녀=군:신’의 구도를 상…
    #정읍 #공간 #장소 #고려사 #악학궤범 #경국대전 #이익 #신증동국여지승람 #Jeong-eup #space #place #Ko-rye-osa #Gyong-guk-Dae-jon #Ak-hak-gwe-beom #Lee-Ik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술지
    |
    양반사회
    박지원의 "북학" 형성 과정 고찰
    김인석
    2007
    한민족문화연구
    박지원은 청의 선진문물을 통해 상공업의 발달과 백성들의 삶의 향상을 주장한다. 청에 대한 적개심이 주류를 이루던 양반사회에서 북학의 주장은 합리적 설명이 요구된다. 이 논고는 시·공간이라는 인식의 틀을 통해 박지원에게서 북학이 형성되는 과정을 규명한다. 박지원의 양반사회에 대한 회의는 새로운 인식의 출발점이다. 이 회의는 객관적 인식의 방법론이다. 그는 지구를 우주 공간의 시각에서 되돌아봄으로써 전통…
    #한국철학 #실학 #박지원 #북학 #북벌 #주자학 #시간 #공간 #개체 #선비 #Korean_philosophy #Shilhak #Pak_Jiwon #Bukhak #Bukbeol. #the_doctrines_of_Chu_Hsi #time #space #an_individual #Sunbi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술지
    |
    조선문화
    근대 초기 도시 이미지와 자연 체험
    김중철
    2005
    한국민족문화
    This study aims at studying the aspect of the urban image and the experience nature in early modern korea that appears in writings of that time. …
    #근대_초기_조선 #근대_산문 #근대성 #재현 #도시 #자연 #시각 #문명 #공간 #Early_modern_korea #modern_writings #modernity #representation #urban #nature #observation #civilization #space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석사학위논문
    |
    선비문화
    전통주택에 사용된 문양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최지연
    2001
    한국 현대건축은 사회적 변화기를 겪으면서 한국건축 및 실내디자인의 자생력을 키울 수 있도록 정체성이 있는 건축 및 실내디자인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즉, 사회가 다양하게 변화할수록 문화의 고유성을 찾으려는 노력은 사회전반에서 부각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
    #전통문양 #공간성 #문양 #조선시대 #상류주택 #traditional_pattern #space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First PagePreview Page1Next PageLast Page총 7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Report Error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