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朝鮮後期 夢記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8682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東國大學校,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東國大學校 大學院 國語國文學科 2020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810 판사항(6)

      • DDC

        895.7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 269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鄭煥局
        권말부록: 몽기 작품 일람
        참고문헌 수록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한문학의 장에서 오랫동안 창작되고 향유되어 왔던 체험적 꿈을 기록한 산문 즉 夢記에 대한 총론적 고찰이다. 그동안 고전문학에서 꿈이라는 주제에 대한 학적 관심이 적지...

      본 연구는 한국 한문학의 장에서 오랫동안 창작되고 향유되어 왔던 체험적 꿈을 기록한 산문 즉 夢記에 대한 총론적 고찰이다. 그동안 고전문학에서 꿈이라는 주제에 대한 학적 관심이 적지 않았지만 대개 꿈을 허구적 장치로 활용한 문학양식에 치중되어 있었다. 몽기에 대해서는 신변잡기의 하나 또는 몽유록의 미완태 정도로 취급한 탓에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던 것이다. 그러나 몽기는 이규보가 첫 작품을 낸 이래 조선조를 거쳐 20세기 초반에 이르기까지 수백편의 작품이 지속적으로 산생된 양식으로, 작품의 수효와 문학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보아 학적 조명의 가치가 충분히 타진되는 대상이다. 이에 몽기에 대한 양식적 이해의 토대를 마련하고 우리 문학사에 산재한 몽기를 수습하여 체계와 논리를 부여하는 것이 시급하다 판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몽기의 사적 전개 양상과 구도를 고구하여 문학사적 위상과 의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은 네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Ⅱ장에서 몽기의 개념과 범주를 규정하고 그 형성 저변을 살펴보았다. 몽기의 개념은 내적 자질과 외적 경계를 상보적으로 확인하여 도출하였다. 즉 기몽문학의 일종으로서 가진 양식적 특질을 정리하여 기초적인 정의를 내리고, 꿈을 소재로 한 문학의 지형 속에서 몽기의 입지를 따져 양식적 경계를 획정한 것이다. 이를 토대로 몽기로 선발한 자료를 개관하여 연구대상으로서 몽기의 상을 구체화하였다. 몽기의 형성 저변으로는 기몽시의 전통을 주목하였다. 이규보의 효시작이 나온 뒤 산문으로서 양산의 국면에 진입하기까지 약 300년의 간극이 있는데, 이 기간 동안 몽기는 기몽시의 지면에서 복류하며 양식적 틀을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 기몽시의 병서가 단순히 부대정보를 제공하는 것에서 산문적 구성과 미감을 갖추어가고 그것이 이후 산문으로서 자리를 잡은 몽기의 형태와 연속됨을 실증함으로써 둘의 관계를 입증하였다.
      몽기가 산문문학사의 전면에 부상한 16세기 전반부터 17세기까지 몽기는 양식적 정형과 고유의 서술구조를 확립하고 몽기의 전반을 관통하는 기본 유형을 갖춘다. 이에 16~17세기를 하나의 구간으로 설정하고 Ⅲ장에서 그 구체적인 양상을 규명하였다. 우선 16세기 초반 몽기와 접점을 갖고 있던 기몽시, 몽유록 등으로부터 양식적 독자성을 확인하고, 몽기의 정형을 추출하여 여러 작품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른바 ‘도입-술몽-후기’의 3단 구조와 각 부분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제시한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몽기에 대한 유형적 이해를 시도하였다. 우인형, 공간형, 예징형 등의 세 기본 유형을 도출하고 실례를 통해 그 면모를 살펴본 것인데, 이 시기 동안 나온 몽기의 대부분이 이 세 유형으로 수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후기가 거의 빠짐없이 첨부되어 있음에 주목하여 16~17세기 몽기의 창작태도와 작품경향을 정리하였다.
      16~17세기를 거치면서 양식적 정체성과 기본 유형을 확립하며 내적 질서를 다진 몽기는 18세기로 넘어가며 절정의 전성기를 맞이한다. 18~19세기 동안 몽기는 문예적 미감을 제고하며 여러 명작들을 탄생시키는 한편 새로운 실험을 시도하여 양식적 확장을 꾀하기도 하는데, Ⅳ장에서 그 면면을 고찰하였다. 이 시기 몽기의 문학적 성숙과 확장은 세 층위로 나누어 살폈다. 우선 전대에 구축된 기본 유형이 특색 있게 진화된 것으로, 성찰형 몽기와 회인형 몽기가 이에 해당한다. 둘은 우인형 몽기의 골격을 갖고 있으나 자기성찰의 사유 또는 꿈꾼 대상을 회억하는 과정이 극적으로 부각되며 유다른 성취와 미감을 이룬 형태라 하겠다. 다음으로 17세기 이전의 몽기와는 이질적인 성격의 작품들을 주목하였다. 18세기로 접어들며 후기가 탈락되고 꿈 내용만 적은 단형 몽기가 폭증하고 그와 궤를 같이 하여 여러 편의 꿈 기록을 묶는 집편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이는 꿈 그 자체가 관심과 수집의 대상으로 부상됨을 보여주는 단서였다. 아울러 臥遊의 목적에 최적화된 와유형의 몽기, 꿈의 내용보다 작자의 논술이 분량의 과반을 차지하는 논변형의 몽기 또한 이 시기 들어 포착되는 몽기의 새로운 조류로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꿈을 기록하는 가운데 허구적 가필이 분명하게 감지되는 작품들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였는데, 이들에 대해서는 전대에 활발했던 몽유록과의 교섭에 주목하여 그 내력과 양상을 분석하였다.
      V장에서는 조선후기 유력한 산문양식으로서 몽기의 문학사적 위상과 의의를 검토하였다. 조선후기는 문학관과 문예사조의 변화로 한문산문의 문학적 가치와 예술적 가능성이 부각되며 여러 산문양식이 발달하는 시기이다. 이런 가운데 몽기는 조선후기에 약진하는 유기, 소품문, 자술문학 등의 양식과 의미 있는 접점을 이루며 하나의 산문양식으로서 유행을 구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몽기의 유행을 이끈 배경으로 꿈에 대한 관심에 바탕한 기몽문화 및 해몽문화의 존재와 실상을 확인함으로써 몽기에 대한 이해의 외연을 넓힐 수 있었다. 끝으로 창작 및 향유의 과정에서 발현되는 몽기의 기능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몽기의 문학적 의의를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몽기는 자향적 관심에 기초한 일상과 삶에 대한 기록으로, 자술문학의 한 형태로서 자격을 갖춘 문학양식이다. 둘째, 몽기는 작자의 내면 및 당대의 시대상 및 사회상을 들여다볼 수 있는 자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셋째, 몽기의 존재를 통해 허구적 꿈 활용 양식에 경도되어 있던 꿈 소재 문학사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힐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몽기가 몇몇 흥미로운 작품이 산재한 정도가 아니라 뚜렷한 정체성을 갖고 오랜 기간 문학사와 호흡하며 독자적인 역사를 일구어온 산문양식의 하나임을 확인하였다. 또 문학에서 꿈의 所用이 허구의 서사를 구축하는 요긴한 틀에 국한되지 않으며 자신의 삶과 내면을 관조하고 기록하는 데도 못지않은 역할을 해왔음을 알 수 있었던 것도 본 연구의 중요한 수확이라 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구성과 내용 7
      • Ⅱ. 夢記의 개념과 형성 저변 11
      • Ⅰ. 서론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구성과 내용 7
      • Ⅱ. 夢記의 개념과 형성 저변 11
      • 1. 꿈 관련 문학의 지형과 夢記의 획정 11
      • 2. 記夢詩의 전통과 夢記의 형성 26
      • Ⅲ. 16~17세기 夢記 양식의 정립과 성격 53
      • 1. 夢記의 양식성과 定型 53
      • 2. 類型의 성립과 그 면모 76
      • 3. 16~17세기 夢記의 성격과 경향 126
      • Ⅳ. 18~19세기 夢記의 변모와 확장 131
      • 1. 前代 類型의 지속과 변화 131
      • 2. 기록 태도의 전환과 새로운 형태의 등장 160
      • 3. 夢遊錄과의 교섭과 夢記의 확장 185
      • Ⅴ. 조선후기 산문양식으로서 夢記의 위상 212
      • 1. 다양한 산문양식의 동향과 夢記의 유행 212
      • 2. 夢記의 문학적 기능과 문학사적 의의 227
      • Ⅵ. 결론 239
      • 참고문헌 242
      • ABSTRACT 252
      • 中文提要 257
      • [부록] 몽기 작품 일람 26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작자미상, "󰡔解夢󰡕", 장서각 소장, null

      2 辛夢參, "󰡔一庵集󰡕", 한국문집총간 158, null

      3 鄭道傳, "󰡔三峯集󰡕", 한국문집총간 5, null

      4 郭 𡺽, "󰡔丹谷集󰡕", 한국문집총간 속15, null

      5 李好閔, "󰡔五峯集󰡕", 한국문집총간 59, null

      6 趙宗, "󰡔南岳集󰡕", 한국문집총간 속39, null

      7 朴世采, "󰡔南溪集󰡕", 한국문집총간 138, null

      8 趙裕壽, "󰡔后溪集󰡕", 한국문집총간 속55, null

      9 徐居正, "󰡔四佳集󰡕", 한국문집총간 10~11, null

      10 尹鳳朝, "󰡔圃巖集󰡕", 한국문집총간 193, null

      1 작자미상, "󰡔解夢󰡕", 장서각 소장, null

      2 辛夢參, "󰡔一庵集󰡕", 한국문집총간 158, null

      3 鄭道傳, "󰡔三峯集󰡕", 한국문집총간 5, null

      4 郭 𡺽, "󰡔丹谷集󰡕", 한국문집총간 속15, null

      5 李好閔, "󰡔五峯集󰡕", 한국문집총간 59, null

      6 趙宗, "󰡔南岳集󰡕", 한국문집총간 속39, null

      7 朴世采, "󰡔南溪集󰡕", 한국문집총간 138, null

      8 趙裕壽, "󰡔后溪集󰡕", 한국문집총간 속55, null

      9 徐居正, "󰡔四佳集󰡕", 한국문집총간 10~11, null

      10 尹鳳朝, "󰡔圃巖集󰡕", 한국문집총간 193, null

      11 南龍翼, "󰡔壺谷集󰡕", 한국문집총간 131, null

      12 石之珩, "󰡔壽峴集󰡕", 한국문집총간 속31, null

      13 金昌集, "󰡔夢窩集󰡕", 한국문집총간 158, null

      14 吳 䎘, "󰡔天坡集󰡕", 한국문집총간 95, null

      15 金 容, "󰡔太疎集󰡕", 규장각 소장, null

      16 鄭 暄, "󰡔學圃集󰡕", 한국역대문집총서 2172, null

      17 白慶楷, "󰡔守窩集󰡕", 한국문집총간 속108, null

      18 朴泰輔, "󰡔定齋集󰡕", 한국문집총간 168, null

      19 李尙質, "󰡔家州集󰡕", 한국문집총간 101, null

      20 李 荇, "󰡔容齋集󰡕", 한국문집총간 20, null

      21 申 昉, "󰡔屯菴集󰡕", 한국문집총간 속66, null

      22 金正國, "󰡔思齋集󰡕", 한국문집총간 23, null

      23 鄭經世, "󰡔愚伏集󰡕", 한국문집총간 68, null

      24 鄭 侙, "󰡔愚川集󰡕", 한국문집총간 속29, null

      25 金守溫, "󰡔拭疣集󰡕", 한국문집총간 9, null

      26 閔在南, "󰡔晦亭集󰡕", 한국문집총간 속126, null

      27 李彦迪, "󰡔晦齋集󰡕", 한국문집총간 24, null

      28 洪可臣, "󰡔晩全集󰡕", 한국문집총간 51, null

      29 高用厚, "󰡔晴沙集󰡕", 한국문집총간 84, null

      30 吳 瑗, "󰡔月谷集󰡕", 한국문집총간 218, null

      31 魚有鳳, "󰡔杞園集󰡕", 한국문집총간 183, null

      32 李敏求, "󰡔東州集󰡕", 한국문집총간 94, null

      33 宋鼎鋎, "󰡔東渠集󰡕", 한국역대문집총서 1634, null

      34 趙龜命, "󰡔東谿集󰡕", 한국문집총간 215, null

      35 宋柟壽, "󰡔松潭集󰡕", 한국문집총간 속4, null

      36 具鳳齡, "󰡔栢潭集󰡕", 한국문집총간 39, null

      37 宋命基, "󰡔梅軒集󰡕", 한국역대문집총서 977, null

      38 李元翼, "󰡔梧里集󰡕", 한국문집총간 56, null

      39 吳相奎, "󰡔槐庭集󰡕", 한국역대문집총서 2804, null

      40 蔡濟恭, "󰡔樊巖集󰡕", 한국문집총간 236, null

      41 李石亨, "󰡔樗軒集󰡕", 한국문집총간 9, null

      42 朴 瀰, "󰡔汾西集󰡕", 한국문집총간 속25, null

      43 張經世, "󰡔沙村集󰡕", 한국문집총간 속6, null

      44 李玄錫, "󰡔游齋集󰡕", 한국문집총간 156, null

      45 李 植, "󰡔澤堂集󰡕", 한국문집총간 88, null

      46 朴趾源, "󰡔燕巖集󰡕", 한국문집총간 252, null

      47 權 燮, "󰡔玉所稿󰡕", 제천본 문경본, null

      48 金萬基, "󰡔瑞石集󰡕", 한국문집총간 144, null

      49 高聖謙, "󰡔甪里集󰡕", 한국문집총간 속130, null

      50 李端夏, "󰡔畏齋集󰡕", 한국문집총간 125, null

      51 鄭弘溟, "󰡔畸庵集󰡕", 한국문집총간 87, null

      52 金德五, "󰡔癡軒集󰡕", 한국문집총간 193, null

      53 尹 淳, "󰡔白下集󰡕", 한국문집총간 192, null

      54 金始鑌, "󰡔白南集󰡕", 한국문집총간 속66, null

      55 權五福, "󰡔睡軒集󰡕", 한국문집총간 17, null

      56 申弘遠, "󰡔石洲集󰡕", 한국역대문집총서 1333~1334, null

      57 金昌熙, "󰡔石菱集󰡕", 한국문집총간 속149, null

      58 鄭榮邦, "󰡔石門集󰡕", 한국문집총간 속19, null

      59 南孝溫, "󰡔秋江集󰡕", 한국문집총간 16, null

      60 金友伋, "󰡔秋潭集󰡕", 한국문집총간 속18, null

      61 盧守愼, "󰡔穌齋集󰡕", 한국문집총간 35, null

      62 申 濡, "󰡔竹堂集󰡕", 한국문집총간 속31, null

      63 金鎭圭, "󰡔竹泉集󰡕", 한국문집총간 174, null

      64 편자미상, "󰡔臥遊錄󰡕", 장서각 소장, null

      65 許 薰, "󰡔舫山集󰡕", 한국문집총간 329, null

      66 李獻慶, "󰡔艮翁集󰡕", 한국문집총간 234, null

      67 李晬光, "󰡔芝峯集󰡕", 한국문집총간 66, null

      68 李喜朝, "󰡔芝村集󰡕", 한국문집총간 170, null

      69 柳宜健, "󰡔花溪集󰡕", 한국문집총간 속68, null

      70 柳成龍, "󰡔西厓集󰡕", 한국문집총간 52, null

      71 吳道一, "󰡔西坡集󰡕", 한국문집총간 152, null

      72 林 椿, "󰡔西河集󰡕", 한국문집총간 1, null

      73 崔 晛, "󰡔訒齋集󰡕", 한국문집총간 67, null

      74 李光庭, "󰡔訥隱集󰡕", 한국문집총간 187, null

      75 河弘度, "󰡔謙齋集󰡕", 한국문집총간 97, null

      76 金壽增, "󰡔谷雲集󰡕", 한국문집총간 125, null

      77 趙持謙, "󰡔迂齋集󰡕", 한국문집총간 147, null

      78 朴光一, "󰡔遜齋集󰡕", 한국문집총간 171, null

      79 朴尙淵, "󰡔金谷集󰡕", 한국역대문집총서 396, null

      80 趙存榮, "󰡔鍾山集󰡕", 한국역대문집총서 648, null

      81 李宜顯, "󰡔陶谷集󰡕", 한국문집총간 180~181, null

      82 蘇世讓, "󰡔陽谷集󰡕", 한국문집총간 23, null

      83 李光翼, "󰡔雲軒集󰡕", 한국역대문집총서 1270, null

      84 安錫儆, "󰡔霅橋集󰡕", 한국문집총간 233, null

      85 金德謙, "󰡔靑陸集󰡕", 한국문집총간 속7, null

      86 趙錫喆, "󰡔靜窩集󰡕", 한국역대문집총서 1001, null

      87 睦萬中, "󰡔餘窩集󰡕", 한국문집총간 속90, null

      88 趙文命, "󰡔鶴巖集󰡕", 한국문집총간 192, null

      89 朴弼周, "󰡔黎湖集󰡕", 한국문집총간 196, null

      90 柳景深, "󰡔龜村集󰡕", 한국문집총간 속3, null

      91 朴仁老, "󰡔蘆溪集󰡕", 한국문집총간 65, null

      92 작자미상, "󰡔三師秘訣󰡕", 필자 소장, null

      93 南溟學, "󰡔五龍齋錄󰡕",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null

      94 金尙容, "󰡔仙源遺稿󰡕", 한국문집총간 65, null

      95 金宗直, "󰡔佔畢齋集󰡕", 한국문집총간 12, null

      96 鄭景淳, "󰡔修井遺稿󰡕", 규장각 소장, null

      97 金龜柱, "󰡔可庵遺稿󰡕", 한국문집총간 속98, null

      98 李裕元, "󰡔嘉梧藁略󰡕", 한국문집총간 315, null

      99 尹善道, "󰡔孤山遺稿󰡕", 한국문집총간 91, null

      100 宋時烈, "󰡔宋子大全󰡕", 한국문집총간 112, null

      101 陸用鼎, "󰡔宜田文稿󰡕", 규장각 소장, null

      102 許 鍊, "󰡔小癡實錄󰡕", 규장각 소장, null

      103 金令行, "󰡔弼雲文稿󰡕", 한국문집총간 속58, null

      104 奇 遵, "󰡔德陽遺稿󰡕",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null

      105 金秀三, "󰡔恥恥齋集󰡕", 한국역대문집총서 533, null

      106 金夢洙, "󰡔懼齋遺稿󰡕", 한국역대문집총서 587, null

      107 李玄祚, "󰡔景淵堂集󰡕", 한국문집총간 168, null

      108 李義秉, "󰡔木石遺稿󰡕", 규장각 소장, null

      109 蘇 軾, "󰡔東坡全集󰡕", 사고전서 집부 별집류, null

      110 曺毅坤, "󰡔東塢遺稿󰡕", 한국역대문집총서 514, null

      111 成悌元, "󰡔東洲逸稿󰡕",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null

      112 李時善, "󰡔松月齋集󰡕", 한국문집총간 속37, null

      113 宋柟壽, "󰡔松潭續集󰡕", 은진송씨송담공종중, null

      114 裵相說, "󰡔槐潭遺稿󰡕", 한국문집총간 속105, null

      115 李正臣, "󰡔櫟翁遺稿󰡕", 한국문집총간 속53, null

      116 黃胤錫, "󰡔海東異蹟󰡕",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 null

      117 尹 愭, "󰡔無名子集󰡕", 한국문집총간 256, null

      118 姜冕永, "󰡔無貳齋集󰡕", 한국역대문집총서, 1933

      119 盧 禛, "󰡔玉溪續集󰡕", 한국문집총간 37, null

      120 李命宰, "󰡔琴漁遺稿󰡕", 규장각 소장, null

      121 李鼎益, "󰡔甘華文集󰡕", 한국역대문집총서 2511, null

      122 李恒福, "󰡔白沙別集󰡕", 한국문집총간 62, null

      123 李容穆, "󰡔白石所著󰡕", 규장각 소장, null

      124 李文載, "󰡔石洞遺稿󰡕", 한국문집총간 속33, null

      125 元天錫, "󰡔耘谷行錄󰡕", 한국문집총간 6, null

      126 李晬光, "󰡔芝峯類說󰡕", 규장각 소장, null

      127 洪來輔, "󰡔菊泉遺稿󰡕", 규장각 소장, null

      128 吳光運, "󰡔藥山漫稿󰡕", 한국문집총간 210~211, null

      129 徐宗華, "󰡔藥軒遺集󰡕", 한국문집총간 속76, null

      130 尹致邦, "󰡔謾翁遺稿󰡕",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null

      131 李秉休, "󰡔貞山雜著󰡕",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null

      132 安邦俊, "󰡔隱峯全書󰡕", 한국문집총간 80, null

      133 申維翰, "󰡔靑泉續集󰡕", 한국문집총간 200, null

      134 작자미상, "󰡔靑邱野談󰡕", 미국 버클리대학교 소장, null

      135 睦萬中, "󰡔餘窩文稿󰡕", 규장각 소장, null

      136 李種學, "󰡔麟齋遺稿󰡕", 한국문집총간 7, null

      137 金止男, "󰡔龍溪遺稿󰡕", 한국문집총간 속11, null

      138 張顯光, "󰡔旅軒續集󰡕", 한국문집총간 60, null

      139 金昌翕, "󰡔三淵集拾遺󰡕", 한국문집총간 167, null

      140 金春澤, "󰡔北軒居士集󰡕", 한국문집총간 185, null

      141 李道翼, "󰡔喜懼齋遺稿󰡕", 규장각 소장, null

      142 沈 義, "󰡔大觀齋亂稿󰡕", 한국문집총간 19, null

      143 許得良, "󰡔尙武軒遺稿󰡕", 규장각 소장, null

      144 金安老, "󰡔希樂堂文稿󰡕", 한국문집총간 21, null

      145 王世貞, "󰡔弇州四部稿󰡕", 사고전서 집부 별집류, null

      146 許 筠, "󰡔惺所覆瓿藁󰡕", 한국문집총간 74, null

      147 柳夢寅, "󰡔於于集後集󰡕", 한국문집총간 63, null

      148 趙弼鑑, "󰡔瞻猗軒遺稿󰡕", 규장각 소장, null

      149 成海應, "󰡔硏經齋全集󰡕", 한국문집총간 275, null

      150 丁若鏞, "󰡔與猶堂全書󰡕", 한국문집총간 281~286, null

      151 金錫一, "󰡔虛舟窩遺稿󰡕", 규장각 소장, null

      152 申 緯, "󰡔警修堂全藁󰡕", 한국문집총간 291, null

      153 許楚姬, "󰡔蘭雪軒詩集󰡕", 한국문집총간 67, null

      154 주기평, "「陸游詩歌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55 李 滉, "󰡔退溪集 別集󰡕", 한국문집총간 31, null

      156 이은진, "「張岱 散文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57 金鍾正, "󰡔雲溪漫稿拾遺󰡕", 한국문집총간 속86, null

      158 김하라, "󰡔일기를 쓰다 1󰡕", 돌베개, 2015

      159 이월영, "󰡔꿈과 고전문학󰡕", 태학사, 2011

      160 김현룡, "󰡔한국문헌설화 6󰡕",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0

      161 정재철, "󰡔한유 문집 연구󰡕", 한국학술정보, 2019

      162 유종국, "󰡔夢遊錄小說硏究󰡕", 아세아문화사, 1987

      163 李奎報, "󰡔東國李相國全集󰡕", 한국문집총간 1, null

      164 李奎報, "󰡔東國李相國後集󰡕", 한국문집총간 2, null

      165 魏仲擧, "󰡔五百家注昌黎文集󰡕", 사고전서 집부 별집류, null

      166 李瑢, "󰡔夢遊桃園圖詩畵卷󰡕", 일본 천리도서관 소장, null

      167 신재홍, "󰡔韓國夢遊小說硏究󰡕", 계명문화사, 1994

      168 임형택, "󰡔韓國文學史의 視角󰡕", 창작과비평사, 1984

      169 이문규, "󰡔許筠 散文文學 硏究󰡕", 삼지원, 1986

      170 신재홍, "「夢遊錄의 類型的 考察」",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171 신재홍, "󰡔한국 몽유 소설 연구󰡕", 역락, 2012

      172 김승호, "󰡔韓國僧傳文學의 硏究󰡕", 민족사, 1992

      173 윤주필, "󰡔한국 우언산문 선집 1󰡕", 박이정, 2008

      174 김기동, "󰡔李朝時代小說의 硏究󰡕", 성문각, 1974

      175 윤선도, "이상현 역, 󰡔고산유고 3󰡕", 한국고전번역원, 2015

      176 심경호, "󰡔한문산문의 내면 풍경󰡕", 소명출판, 2001

      177 陳必祥, "심경호 역, 󰡔한문문체론󰡕", 이회문화사, 1995

      178 윤기, "이상아 역, 󰡔무명자집 16󰡕",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3

      179 박진성, "「조선후기 자전문학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8

      180 최 식, "「홍길주의 실험적 글쓰기」", 동양한문학회, 󰡔동양한문학연구󰡕 25, 2007

      181 송남수, "송각헌 역, 󰡔국역 송담집󰡕", 은진송씨송담공종중, 1997

      182 김경미, 호승희, 정하영, 이혜순, "󰡔조선중기의 유산기 문학󰡕", 집문당, 1997

      183 정경세, "정선용 역, 󰡔국역 우복집 1󰡕", 민족문화추진회, 2003

      184 안득용, "󰡔한국 고전 자기서사 연구󰡕", 태학사, 2019

      185 김성진, "「朝鮮後期 小品體 散文 硏究」",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186 양언석, "「夢遊錄小說의 敍述類型硏究」",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187 심경호, "󰡔조선시대 漢文學과 詩經論󰡕", 일지사, 1999

      188 심경호, "󰡔(개정증보판) 한문산문미학󰡕",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3

      189 장덕순, "「夢遊錄 小考」, 󰡔동방학지󰡕 4",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59

      190 이규운, "「許筠의 文章論과 그 구현 양상」",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91 이월영, "「記夢詩 연구」, 󰡔어문연구󰡕 52", 어문연구학회, 2006

      192 차용주, "󰡔夢遊錄系 構造의 分析的 硏究󰡕", 창학사, 1979

      193 심경호, "󰡔安平: 몽유도원도와 영혼의 빛󰡕", 알마, 2018

      194 김광수, "박종훈·서신혜 역, 󰡔만하몽유록󰡕",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5

      195 김정녀, "󰡔조선후기 몽유록의 구도와 전개󰡕", 보고사, 2005

      196 이홍식, "󰡔홍길주의 꿈, 상상, 그리고 문학󰡕", 태학사, 2009

      197 박경남, "「兪漢雋의 道文分離論과 散文 세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98 송혁기, "󰡔조선후기 한문산문의 이론과 비평󰡕", 월인, 2006

      199 김철범, "󰡔한문산문 글쓰기론의 논리와 전개󰡕", 보고사, 2012

      200 권 섭, "이창희·장정수·최호석 편, 󰡔玉所稿󰡕", 다운샘, 2007

      201 신재홍, "「夢記類 작품의 검토」, 󰡔선청어문󰡕 18",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1989

      202 이월영, "「許筠의 夢記類 硏究」, 󰡔국어문학󰡕 29", 국어문학회, 1994

      203 강명관, "「16세기 17세기 초 秦漢古文派의 산문비평론」", 󰡔대동문화연구󰡕 41, 2002

      204 임형택, "「高麗末 益齋의 古文倡導」, 󰡔진단학보󰡕 51", 진단학회, 1981

      205 배상열, "박권수·서대원·남경욱 역, 󰡔국역 괴담유고󰡕", 한국국학진흥원, 2014

      206 이종묵, "「조선시대 臥遊 文化 硏究」, 󰡔진단학보󰡕 98", 진단학회, 2004

      207 박혜숙, 최경희, 박희병, "「한국여성의 자기서사(1)」, 󰡔여성문학연구󰡕 7", 한국여성문학학회, 2002

      208 김영진, "「朝鮮後期 明淸小品 수용과 小品文의 전개 양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209 김남형, "「星湖 李瀷의 記夢詩에 대하여」, 󰡔어문논집󰡕 27", 민족어문학회, 1987

      210 김동하, "「訥齋 朴祥의 賦 硏究」, 󰡔한국시가문화연구󰡕 26", 한국시가문화학회, 2010

      211 하지영, "「陸用鼎의 記夢 연작 연구」, 󰡔한국고전연구󰡕 22", 한국고전연구학회, 2010

      212 이원주, "「大觀齋의 夢記 夢謝自然志考」, 󰡔한국학논집󰡕 5",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78

      213 홍길주, "박무영·이은영·이주해·이현우 역, 󰡔항해병함 상󰡕", 태학사, 2006

      214 정도전, "신호열·김도련·조준하·홍찬유 역, 󰡔국역 삼봉집󰡕", 민족문화추진회, 1977

      215 강동욱, "「學圃의 生涯와 圃隱崇慕 樣相」, 󰡔포은학연구󰡕 7", 포은학회, 2011

      216 홍순래, "「韓國 記夢詩의 展開樣相 硏究: 夢中作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217 손유경, "「16C 己卯士林의 記夢詩 硏究」, 󰡔한문고전연구󰡕 16", 한국한문고전학회, 2008

      218 이병순, "「前後七子에 대한 許筠의 인식」, 󰡔한문학논집󰡕 27", 근역한문학회, 2008

      219 윤주필, "「寓言의 전통과 조선전기 夢遊記」, 󰡔민족문화󰡕 16",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93

      220 강혜규, "「霅橋 安錫儆의 꿈과 내면세계」, 󰡔한문학논집󰡕 34", 근역한문학회, 2012

      221 안대회, "「조선후기 自撰墓誌銘 연구」, 󰡔한국한문학연구󰡕 31", 한국한문학회, 2003

      222 박영호, "「認齋 崔晛의 現實認識과 文學觀」, 󰡔동방한문학󰡕 18", 동방한문학회, 2000

      223 송시열, "권정안·이동희·안승춘·신승운 역, 󰡔국역 송자대전 7󰡕", 민족문화추진회, 1983

      224 이창희, "󰡔옥소 권섭의 꿈세계: 내 사는 곳이 마치 그림 같은데󰡕", 다운샘, 2003

      225 劉文英, "하영삼 김창경 역, 󰡔꿈의 철학: 꿈의 미신과 꿈의 탐색󰡕", 동문선, 1993

      226 우응순, "「17세기 古文論의 배경과 역사적 성격」, 󰡔어문논집󰡕 30", 민족어문학회, 1991

      227 심경호, "「일본의 자술문학 전통에 관하여」, 󰡔민족문화연구󰡕 76",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228 김영진, "「조선후기 ‘臥遊錄’ 이본 연구」, 󰡔고전문학연구󰡕 48", 한국고전문학회, 2015

      229 강민경, "「李晬光 遊仙詩의 幻想과 超越」, 󰡔한국한문학연구󰡕 26", 한국한문학회, 2000

      230 윤진영, "「玉所 權燮의 소장 화첩과 權信應의 회화」, 󰡔장서각󰡕 20",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231 안득용,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산문 연구: 公에서 私로의 전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 연구원, 2015

      232 박영민, "「遊山記의 시공간적 추이와 그 의미」, 󰡔민족문화연구󰡕 40",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 원, 2004

      233 서대석, "「夢遊錄의 장르적 性格과 文學史的 意義」, 󰡔한국학논집󰡕 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 원, 1975

      234 리하르트 반 뒬멘, "최윤영 역, 󰡔개인의 발견: 어떻게 개인을 찾아가는가 1500~1800󰡕", 현 실문화연구, 2005

      235 조영임, "「玉所 權燮의 「夢記」에 관한 고찰」, 󰡔고전문학과 교육󰡕 17",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9

      236 심경호, "「한국 한문산문의 발달과 韓愈 문장의 수용」, 󰡔어문논집󰡕 50", 민족어문학회, 2004

      237 소재영, "「許筠의 생애와 文學」, 김동욱 편 󰡔許筠의 문학과 혁신사상󰡕", 새문사, 1981

      238 이규호, "「詩話的 側面에서 본 󰡔大觀齋記夢󰡕」, 󰡔한국한문학연구󰡕 5", 한국한문학회, 1980

      239 진재교, "「조선조 후기 文藝 공간에서의 王世貞」, 󰡔한국한문학연구󰡕 54", 한국한문학회, 2014

      240 강민경, "「大自由를 향한 逸脫, 許筠 유선문학 小考」, 󰡔도교문화연구󰡕 21", 한국도교문화학회, 2004

      241 윤진영, "「玉所 權燮(1671~1759)의 그림 취미와 繪畵觀」, 󰡔정신문화연구󰡕 30", 한국학중앙연구 원, 2007

      242 황경일, "「玉所 權燮의 山水 散文 硏究: 「海山錄」과 「夢記」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4

      243 안대회, "「조선후기 小品文의 성행과 글쓰기의 변모」, 󰡔한국한문학연구󰡕 28", 한국한문학회, 2001

      244 최호석, "「󰡔玉所稿󰡕 所載 夢畵의 製作에 대한 硏究」, 󰡔역사민속학회󰡕 28",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245 정우봉, "「散文論의 형성과 전개: 삼국시대~무신집권기」, 󰡔민족문화연구󰡕 30", 고려대 민족문 화연구소, 1997

      246 신태영, "「訥齋 朴祥의 賦 硏究: 유가적 충의와 장자적 초탈」, 󰡔온지논총󰡕 17", 온지학회, 2007

      247 심경호, "「꿈에 관한 한문산문, 그 다양한 변주와 한계」, 󰡔한겨레어문연구󰡕 3", 한겨레어문학 회, 2006

      248 양승목, "「옥수 조면호의 기몽류 글쓰기와 자아의 탐색」, 󰡔민족문학사연구󰡕 64", 민족문학사연 구소, 2017

      249 허균, "최제숙·박석무·신승운·정학성·정양완·임정기 역, 󰡔국역 성소부부고 3󰡕", 한국고전번역 원, 1984

      250 신병주, "「16세기 일기 자료에 나타난 꿈의 기록과 그 의미」, 󰡔조선시대사학보󰡕 74", 조선시대 사학회, 2015

      251 김철범, "「19世紀 古文家의 文學論에 대한 硏究: 洪奭周, 金邁淳, 洪吉周를 中心으로」", 성균관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252 김영주, "「18세기 少論系 文人의 記夢詩에 나타난 意識의 諸樣相」, 󰡔동방한문학󰡕 51", 동방한 문학회, 2012

      253 안계복, "「옥소 권섭의 꿈의 세계에 나타난 경관 특징」,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3", 한국전 통조경학회, 2004

      254 장유승, "「前後七子 수용과 秦漢古文派 성립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문학논집󰡕 36", 근역한 문학회, 2013

      255 김진경, "「訥齋 朴祥 賦文學 연구: 주제 형상화 방식을 중심으로」, 󰡔한문고전연구󰡕 26", 한국한 문고전학회, 2013

      256 강명관, "「16세기 말 17세기 초 擬古文派의 수용과 秦漢古文派의 성립」, 󰡔한문학연구󰡕 18", 한 국한문학회, 1995

      257 이성민, "「‘秦漢古文派’의 성립 배경과 秦漢古文에 대한 인식」, 󰡔한국어문학연구󰡕 46", 동악어 문학회, 2007

      258 안득용,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自傳的 敍事의 창작 경향과 그 의미」, 󰡔한국한문학연구󰡕 51", 한국한문학회, 2013

      259 박혜숙, "「여성적 정체성과 자기서사: 󰡔긔록󰡕과 「규한록」의 경우」, 󰡔고전문학연구󰡕 20", 한국 고전문학회, 2001

      260 진재교, "「李朝 後期 箚記體 筆記 硏究: 지식의 생성과 유통의 관점에서」, 󰡔한국한문학연구󰡕 39", 한국한문학회, 2007

      261 양승민, "「仁興君 瑛과 「醉隱夢遊錄」: 인흥군 문학의 종합적 소개를 겸하여」, 󰡔고소설연구󰡕 5", 한국고소설학회, 1998

      262 하지영, "「18~19세기 꿈의 형상화와 자기표현 방식: 記夢류 산문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 구󰡕 76",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263 허균, "송기채·김혜숙·김명호·임형택·정학성·신승운·정양완·최제숙 역, 󰡔국역 성소부부고 2󰡕", 한국고전번역원, 1983

      264 김청아, "「허균 문학에 나타난 꿈 형상화와 그 의미: 󰡔惺所覆瓿藁󰡕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78", 어문연구학회, 2013

      265 임형택, "「高麗末의 역사전환과 文人知識層의 文明意識」, 이병혁 편, 󰡔麗末鮮初 漢文學의 再照 明󰡕", 태학사, 2003

      266 전형대, "「大觀齋夢遊錄」, 완암 김진세 선생 회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편, 󰡔韓國古典小說作 品論󰡕", 집문당, 1990

      267 정길수, "「許筠 文學論의 모순과 一貫: 王世貞 혹은 擬古文派 문학론과의 연관」, 󰡔한국한문학 연구󰡕 51", 한국한문학회, 2013

      268 박태진, "「권섭의 ‘記夢詩’ 창작에 나타난 자아탐색의 가치 고찰: 󰡔몽기󰡕의 ‘기몽시’를 중심으로」", 󰡔고전문학과 교육󰡕 22,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1

      269 정난영, "「玉所 權燮의 夢畵記 연구: 내면세계의 흐름과 산수의 기능을 중심으로」, 󰡔한민족문 화연구󰡕 49", 한민족문화학회, 2015

      270 김승호, "「佛家 自傳의 성격과 서술유형의 고찰: 有一, 草广, 梵海의 自傳을 중심으로」, 󰡔한국 문학연구󰡕 35",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8

      271 정우봉, "「朝鮮 後期 散文理論의 展開와 그 性格(Ⅰ): 16세기 말-17세기 초중반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 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0

      272 김승호, "「淸虛 休靜의 傳記文學 연구: 󰡔三老行蹟󰡕과 󰡔三夢錄󰡕의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새국 어교육󰡕 88", 한국국어교육학회, 2011

      273 최원경, "「조선 후기 지식인의 주체와 타자 인식의 문제: 항해 홍길주의 「釋夢」과 「釋夢」繫 분석을 중심으로」, 󰡔한문학보󰡕 24", 우리한문학회, 2011

      274 김혈조, "「益齋의 古文倡導와 그 역사적 의의」, 벽사 이우성 교수 정년퇴직기념논총 간행위원 회 편, 󰡔民族史의 展開와 그 文化 上󰡕", 창작과비평사, 1990

      275 이강옥, "「朝鮮中期의 道仙的 경향과 許筠의 文學: 夢記 및 세 편의 「傳」에 나타난 時間 空間 設定을 中心으로」, 󰡔관악어문연구󰡕 4-1",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79

      276 박경남, "「18세기 文學觀의 변화와 ‘개인’과 ‘개체’의 발견(1): 程朱學的 이념의 해체와 ‘개인’ 중심 문학관의 출현」, 󰡔동양한문학연구󰡕 31", 동양한문학회, 2010

      277 안세현, "「조선후기 상상의 공간을 소재로 한 기문의 창작 배경과 특징: 權燮(1671-1759) 「夢 記」와 柳慶種(1714-1784)의 「意園誌」를 중심으로」, 󰡔한문고전연구󰡕 27", 한국한문고전 학회,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