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텍스트 상호성을 이용한 교수-학습 방안 연구 : <태평천하>와 판소리·판소리계 소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eaching-learning plans using text mutuality : centered on <T'aepyongchonha> and pancori (a theatrical song) and the novels in line of pansor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3566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문학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바람직한 개선 방향으로 텍스트 상호성을 이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채만식의 <태평천하>와 판소리·판소리계 소...

      본고에서는 문학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바람직한 개선 방향으로 텍스트 상호성을 이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채만식의 <태평천하>와 판소리·판소리계 소설을 중심으로 이야기 전달 방식에 있어서 관련성이 있는 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문학 교육의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고에서 얻은 결과를 장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고전 문학과 현대 문학의 구분으로 인한 문학사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개별 작품들의 이론적인 주입서 수업의 문제점도 더불어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텍스트 상호성을 제안하였다. 텍스트 상호성이 현행 문학 교과서에서는 내면화 과정의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비효율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따라서 교수 -학습 활동의 방법으로써 텍스트 상호성과 협동학습을 접목시킴 새로운 교수-학습 모형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를 위해 <태형천하>의 연구사와 서술 양식의 특징을 검토하고 함께 연구할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의 범위와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 2장에서는 문학 텍스트는 기존의 문학적 규칙과 관습을 습득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라는 사실을 전제로 텍스트 상호성의 개념을 살펴보고 그 필요성을 제기하려다. 또한 문학사가 문학 작품의 배경 지식만을 담당하는 것에 대한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학습자가 스스로 문학의 발달사를 분석할 수 있는 텍스트 상호성을 제기하였다. 이는 텍스트와 텍스트 사이의 모든 면이 동일하다는 전제가 아니라 다양한 측면에서의 유사성이 있다면 이들 모두를 고려할 수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제 3장에서는 이상의 논의에 근거하여 새로운 문학 영역의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가장 널리 알려진 문학 영역의 모형 종류를 먼저 검토하였다. 이들의 공통점은 텍스트 상호성을 마지막 단계에서 내면화의 한 방법으로 제시하는데 그��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는 효과적인 문학 교육을 기대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텍스트 상호성 학습이 교수-학습의 전 과정에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모형의 실현은 단순히 교사의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이나 주입식 수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학습자의 주체적 참여에 의해 진행되는 협동학습을 교수-학습의 방법으로 택하였다. 이를 위해서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협동학습 모형들을 검토하고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과제 분담 협동학습 모형을 택하였다.
      제 4장에는 이야기 전달 방식의 공통��차이점을 이용한 교수-학습 요소를 분석하였다. <태평천하>와 판소리 <흥보가>, <춘향가>와 판소리계 소설 <흥부전>, <춘향전>의 공통적인 서술 향식을 비교함으로써 텍스트 사이의 관련성을 발견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채만식은 판소리의 서술 특성을 그대로 수용한 것이 아니라 자신이 처한 시대적 배경의 특수성으로 인해 표현 방법에 변화를 주었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학습자들이 작품 분석을 통해서 발견해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텍스트의 새로운 창조는 다른 텍스트들을 감상하고 내면화한 결과를 바탕으로 그 토대 위에 새롭게 창조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태평천하>의 서술자의 특성에서부터 풍자와 해학을 통한 웃음의 형상화, 인물의 형상화, 작가 의식과 소설사적인 측면 등의 학습 요소를 지문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또한 <태평천하>에서 드러난 판소리의 서술 특성 변모와 그 원인을 각각 규명 하려고 하였다.
      제 5장에서는 앞에 제시한 모형에 근거하여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먼저 대단원을 교육과정에 명시된 문학 목표에 근거하여 '한국 문학의 전통과 창조적 계승'이라고 설정하고 이를 효과적인 수업으로 이끌기 위한 학습 목표를 설정 보았다. 적용의 실제는 교수-학습 단계를 크게 계획 단계 , 진단 단계, 텍스트 상호성을 이용한 교수-학습 활동, 평가 단계, 창작과 적용 단계로 나누고 각각의 단계에 알맞은 교수-학습 내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교수-학습 활동시 유의할 사항들도 제안해 보았다.
      본고에서 제시한 텍스트 상호성을 이용한 교수-학습 방안은 실천적인 면에서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직접 교실 현장에서 효율성을 판단하고 검증해야 하나 그러한 문제점의 보완은 앞으로의 과제로 남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imed at pointing out the problems of literary education and presenting teaching-learning plans using text mutuality as a desirable improving direction. If I arrang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thesis on a chapter-by-chapter basis, ...

      This thesis is aimed at pointing out the problems of literary education and presenting teaching-learning plans using text mutuality as a desirable improving direction.
      If I arrang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thesis on a chapter-by-chapter basis, they are as follows.
      In Chapter 1, I pointed out the problems in educating literary history due to the division of classical and modern literatures. Text mutuality is being presented as a method of internalizing process in current literary textbooks and the inefficiency for this was presented as a problem. Thus, I raised the necessity of a new teaching-learning model of grafting text mutuality into cooperative learning as a means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n Chapter 2, I examined the concept of text mutuality presupposing the fact that literary texts are obtained by acquiring the exiting literary rules and customs and raised its necessity. Also, I examined the problems for it that literary history took charge only of background knowledge of literary works and, as one plan by which these can be overcome, raised text mutuality by which learners can analyze literary developmental history by themselves.
      In Chapter 3, I presented the teaching-learning plan of a new literary area based on the above argument. For this, I examined first three kinds of models of most widely known literary areas. Since these models have limits in expecting effective literary education, as a plan by which these can be overcome, learning text mutuality chose teaching-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as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hapter 4, I analyzed teaching-learning elements using common things and differences of the methods of conveying stories. I could find out the relatedness among texts by comparing the common descriptive modes of <T'aepyo˘gcho˘nha> and <The song on Hu˘ngbo> and <The song on Ch'unhyang> of pansori, and <A narrative on Hu˘ngbu> and <A narrative on Ch'unhyang> of the novels in line of pansori. Thus, I enabled the fact to be known that the new creation of texts is don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appreciating and internalizing other texts. I have analyzed through fingerprints the learning elements such as formalizing laughter through satire and humor, formalizing characters, author's consciousness and the aspects from the history of novel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criptor of <T'aepyo˘ngcho˘nha>. Also, I tried to examine each of the transformations of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pansori revealed in <T"aepyo˘ngcho˘nha> and the causes.
      In Chapter 5, I wanted to establish teaching-learning plans based on the models presented earlier. I have set up the denouement as 'The tradition and the creative succession of Korean literature' based on the literary objective explicit in the curriculum and have ever set up the learning objectives for leading this to effective classes. For the practice of application, I have divided the teaching-learning stage broadly into planning stage, diagnostic stag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of using text mutuality, evaluation stage, creation and application stage and presented teaching-learning contents fit for each stage. Also, I have also suggested cautions at the time of doing such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e teaching-learning plan using text mutuality which has been presented in this thesis has limites in practical aspects. One has to judge and verify the efficiency directly in class fields, but complementing such problems is left as a future tas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초록>
      • 제1장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선행 연구사 검토 = 3
      • 목차
      • <국문초록>
      • 제1장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선행 연구사 검토 = 3
      • 3. 연구 방법 및 범위 = 7
      • 제2장 텍스트 상호성과 문학사 교육의 필요성
      • 1. 텍스트 상호성의 개념 = 9
      • 2. 텍스트 상호성을 이용한 문학사 교육 = 11
      • 제3장 교수-학습 모형 설계
      • 1. 교수-학습 모형 설계를 위한 이론적 탐색 = 14
      • 2. 텍스트 상호성을 이용한 교수-학습 모헝 제안 = 15
      • 제4장 이야기 전달 방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용한 교수-학습 요소 분석
      • 1. 서술자의 특성 면에서 = 25
      • 2. 웃음의 구현 방식 면에서 = 32
      • 3. 인물의 형상화 면에서 = 38
      • 4. 작가 의식과 문학사적인 면에서 = 45
      • 제5장 교수-학습의 실제
      • 1. 대단원 및 목표 설정 = 52
      • 2. 교수-학습 운영 방안 = 54
      • 제6장 결론 = 58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