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패러디를 통한 고전 소설 지도방안 연구 : '춘향전'의 현대적 각색과 수용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3048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학수업은 마땅히 흥미를 이끌어내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흥미를 ‘어디서 어떻게 이끌어 올 수 있을까’하는 의문에서 본 연구는 시작한다. 1997년 제 7차 교육과정이 제정되면서 문...

      문학수업은 마땅히 흥미를 이끌어내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흥미를 ‘어디서 어떻게 이끌어 올 수 있을까’하는 의문에서 본 연구는 시작한다.
      1997년 제 7차 교육과정이 제정되면서 문학의 창작지도 부문에 ‘문학 작품의 改作, 模作, 생활 서정의 표현 등 작품의 심층적 감상을 돕는 활동’이 포함되면서, 학습자들의 능동적 참여를 통한 문학작품의 수용과 창작이 중시되고 있다. 특히 눈길을 끄는 부분은 문학수업에 있어서 창작 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점이다. 문학수업에서 능동적인 창작수업이 이루어지려면 학습자 스스로 학습의 주체가 되는 수업이 행해져야 하는데, 학습자가 수업의 주체가 되려면 교사의 일방적인 강의나 강독에 의한 수업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가 작품에 대해 탐구하고 사고하는 자기 주도적인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선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의 청소년들을 ‘영상세대’ 또는 ‘감성세대’라고 하는데, ‘다양성’을 그들의 정체성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남과 비교되는 것을 싫어하고 자신만의 울타리를 중요시하는 청소년들에게 도식적 대답을 요구하는 현행의 학교 수업은 흥미를 부여할 수 없다. 더구나 영상매체에 익숙한 학습자들은 문자언어로 인쇄된 텍스트의 일방적인 소통인 책읽기를 좋아하지 않는다. 이러한 사회 변화나 교육 현실로 인해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문학에 대한 선호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더욱이 유교적 덕목을 강조하는 고전문학에 친숙함과 동기를 부여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고전문학은 우리의 문화전통이 담겨진 보고이다. 당연히 고전문학의 가치나 정서는 현재의 우리와 연계되어 있다. 그러나 이를 교육하거나 그 현대적 가치 구현을 의도할 때 수반되는 괴리감은 아주 크다. 그 결과 학생들에게 고전문학은 천편일률적인 답을 요구하는 ‘고리타분한 것’이라는 인식이 널리 확산되어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자는 ‘패러디(모방학습)학습’을 그 대안으로 제안한다.
      패러디(parody)란 문학이나 음악 등에서 원작을 풍자적이고 익살스럽게 바꾼 ‘개작(改作)’을 의미한다. 엄숙한 작품의 장중한 스타일을 기교 있게 모방하면서, 그것을 경쾌하고 익살스러운 작품으로 꾸며 야유 · 풍자하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가장 기초적인 패러디 방법은 과거의 모방이다. 이것은 지금까지 습작기 예술가의 기초적인 학습방법의 정수로 인정받아 온 방법으로서, 예술적으로 뛰어난 성과를 거둔 옛 작품의 모방과 모사를 통해 그 기법을 전수받거나 예술성을 성취하는 수단으로 여겨졌다.
      긍정적이건 부정적이건 간에 패러디는 초보적인 글쓰기 교육에서 기존의 작품을 모방하는 과정을 이용한 작문교육으로 학교현장에서 이미 활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감수성은 살아 있으나 그것을 표현하는 방법에서 미숙성을 보이는 학습자들에게 모방과 모사학습은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패러디는 다분히 ‘의도적 모방’의 성격이 짙다. ‘문학 작품의 개작, 모작, 생활 서정의 표현’이라고 교육과정에서 국어 교육의 범위를 설정하였으니만큼 패러디의 모든 방법이 다 용인되어야 한다. 개작이나 모방은 텍스트의 일부를 바꾸어 쓸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존의 텍스트를 돌려보고 해체하고 거꾸로 보면서 재구성하는 과정을 거치는 동안에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와 창작 욕구는 자극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한 즉답적 대화 방식에 익숙한 현 학습자들에게 이러한 패러디 학습은 그들의 구미에 맞는 새로운 문학 교육의 한 방안이 될 수 있으며, 학교 수업에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좋은 호재이다.
      패러디 수업을 할 때의 적절한 수업모형은 토의(협동) 학습이다. 학습자 자신의 배경지식을 통한 작품의 이해가 객관성을 얻기 위해서는 사회적 공감대를 획득해야 하는 데, 이는 문화적 동질감을 갖고 있는 집단 구성원들과의 교감을 통해 얻어진다. 토의(협동)학습은 의사소통을 통해 학습자들끼리 자신의 의사를 조율하고 상호 협력의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인간관계의 바람직한 모습을 형성하게 한다. ‘내신과 수능’이라는 경쟁체재 속에서 우리의 교육 현장은 ‘정답과 오답’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만을 강요해왔다. ‘정글의 법칙’이 상존하는 사회의 축소판이 되어 버린 살벌한 교육 현장에서 경쟁보다는 협력과 조율을 강조하는 이러한 수업 형태는 감수성이 높은 청소년들에게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형성시켜 준다. 상호 조율과 협동을 중시하는 이러한 토의(협동)수업에다가 학습자들의 능동적 참여를 지향하는 패러디 수업을 적용한다면 큰 교육적 효과를 얻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terature education can be effective only with the students' interest. How can students get interested in literature? That is the question of which the answer this thesis intends to find out. Students don't understand literature in itself. They tak...

      Literature education can be effective only with the students' interest. How can students get interested in literature? That is the question of which the answer this thesis intends to find out.
      Students don't understand literature in itself. They take it as a means to enter the university they want. They think literature as a subject requiring bothersome and boring mechanical memorization. On the third January 2005, the drama "Kwegul Chun-hyang", attracting a lot of youths, gave considerable suggestion. Only with the half of the attention, literature education can be greatly changed.
      It is school education only aiming at entrance examination that makes literature education distorted. In spite of this coarse educational condition, teachers are eager for the real education. They hope to make the students have a dream, grow more through the pain of love, and reflect their lives. Almost every teacher and student has some expectations for literature. Thus, the teachers always reflect themselves after their instruction missing something.
      With the star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education of literature creation includes the reformation and the imitation of literary works and the expression of lyricism, etc. helping the profound appreciation of the works, which emphasizes the acceptance and the creation of literary works and requires the learners' positive and creative participation in class.
      What is conspicuous in the direc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he emphasis of creation in literature.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learners should be active and the level of instruction should match their ability. To participate in the class actively, they should be motivated to be instructors not just spectators. When learners study and think about the works by themselves and write something about that, self-initiated cre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can be possibl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youths' culture to consider their interest. Nowadays, they are called "visual generation", "emotional generation" and their identity is "variability". The unidirectional instruction requiring only standardized answer can not make the learners interested as they hate to be compared with others, focus on their personality and express the hatred toward the existing order through their whole body. Additionally, they do not like reading, the unilateral communication of the printed text since they are accustomed to visual media. These social changes and educational condition cause the preference for the literature to decrease. Moreover, it is difficult to impose familiarity and motivation on the classic literature focusing on the virtue of confucianism.
      The classic literature is the treasure house containing our cultural tradition. It is natural that its value and sentiment is liked to us in the present. The separation is great in the education and the intention to realize the present value, though. As a result, learners consider the classic literature "the stereotype" requiring monotonous answers.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is thesis proposes "parody learning" as an alternative.
      "Parody" is the satirical and humorous reformation of musical and literary works. It is marked by the satire and ridicule of the solemn original works, imitating its grave style skillfully and changing it into cheerful and humorous one. The most basic way of parody is to copy the past. This has been accepted as a fundamental way for a beginning writer and considered as a means to inherit the strategy or to achieve the art through the imitation of old outstanding works. After realizing what is writing and what is literature, the writer constructed his own creative world. The parody has been used to criticize and satirize the opponent and other works. However, whatever the purpose is, the copy or the imitation of others' picture and writing made the art of text look better.
      Whether it is positive or negative, the parody has been adapted in educating beginners as a way of writing instruction through the process of imitating existing works. With the beginning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iming at the learners' voluntary and creative participation, the parody, 'the learning of creation through imitation' has played a great role, which had been tried experimentally by several teachers. The learning of imitation and copy can be a great help for those learners whose sensibility is alive but who lack how to express it. Confirming the reaction of those who have the same experience as them, learners can study the expression of their own emotion. In that, the parody learning can be one of the effective ways of literature creation education.
      When the parody is defined as an active creation to express his opinion, not a simple piracy, it means 'intentional imitation'. As far as the Curriculum extends the ext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e reformation and the imitation of literary works and the expression of lyricism, any methods of parody should be accepted. The reformation and the copy mean that the writer can change some part of the text. The relay novel on the internet which has been popular among youngsters can be a good model. Reinterpreting, analyzing, and reforming the existing text, learners can be motivated in their active participation and desire for creation. For those who are accustomed to their own chatting and life on the web, the parody can be a new alternative for literature education and a good chance for attracting their interest.
      The proper model of parody learning is cooperation one. Learners should gain social sympathy so that their understanding of works through their background knowledge can be objective, which can be gained through the consensus among the members of a group with cultural homogeneity. Cooperation learning enables learners to adjust their opinion and cooperate with one another by communication, which can form the desirable human relationship. In the system of competition for school score and SAT, our educational environment has forced our students to have the concept of 'black or white' i.e. 'opponent or me'. In the brutal educational environment or the small society where the 'Laws of Jungle' are prevalent, this method can help the youths have the desirable human relationship. The application of parody aiming at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in addition to the cooperation learning can have great educational effe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 초록 = ⅲ
      • Ⅰ. 머리말 = 1
      • 1) 연구 목적 = 1
      • 2) 선행연구 검토 = 3
      • 목차
      • 국문 초록 = ⅲ
      • Ⅰ. 머리말 = 1
      • 1) 연구 목적 = 1
      • 2) 선행연구 검토 = 3
      • 3) 연구 범위와 방법 = 5
      • Ⅱ. 현행 고등학교 고전 소설 교육에 대한 검토 = 8
      • 1) 고전 문학 교육의 의의 = 8
      • 2) 고전문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 11
      • 3) 현행 고전소설교육의 문제점 = 18
      • Ⅲ. 패러디를 통한 고전 소설 수업 연구 - ‘춘향전’의 현대적 각색 또는 수용을 중심으로 = 26
      • 1) 패러디의 정의 = 26
      • 2) 고전소설 ‘춘향전‘과 드라마 ‘쾌걸 춘향’ 비교 = 29
      • 3) 패러디 수업의 실제 = 34
      • 가) ‘평강공주형’의 능동적 여성 ‘춘향’ = 36
      • 나) 순애보적인 여성 ‘춘향’ = 40
      • 다) 신분상승의 화신 ‘춘향’ = 45
      • 4) 패러디 학습의 수업 모형과 교사의 역할 = 49
      • 5) 패러디 수업의 의의 = 53
      • Ⅳ. 맺음말 = 55
      • 참고문헌 = 58
      • 영문 초록 = 60
      • 부록 = 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