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 선흘곶자왈 내 역사문화유적의 분포실태와 특성 =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Cultural Heritage at Seonheul Gotzawal in Je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700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 선흘곶자왈 내 역사문화유적의 분포상황을 확인함과 동시에 그 유적들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2012∼2013년 현지조사를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 선흘곶자왈 내 역사문화유적의 분포상황을 확인함과 동시에 그 유적들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2012∼2013년 현지조사를 통해 선흘곶자왈에는 다양한 역사문화유적이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숯가마 80기(돌숯가마 2기, 1회용 숯가마 78기)를 비롯하여 숯막(움막) 50기, 노루텅(석축함정) 7기, 경작지 20개소, 물텅(통) 10개소가 주를 이루며, 이외에 신앙 유적(신당 및 포제단) 2개소와 동굴 유적 1개소도 포함된다. 이들 유적은 인위적으로 축조하여 사용한 시점은 다르지만,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과거 또는 현재를 살아가는 선흘리 주민들의 생활관련 유적이라는 것이다. 둘째로, 선흘곶자왈 내에서도 역사문화유적이 특정지구에 대거 밀집된 곳이 말하자면 단위생활지구라 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돌숯가마 1기를 비롯하여 1회용 숯가마 12기, 숯막 1기, 경작지 6개소, 머들, 머들 + 경작지 경계 돌담 41개소, 노루텅 3기 등이 분포하는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유적은 조선시대 말∼일제강점기 이전 시기에 축조하여 사용한 것이 있는 반면, 조선시대말∼1960년대 중반까지, 혹은 해방 이후∼1960년대 중반 사이에 축조하여 사용해온 유적들도 있다. 그리고 경작지는 1894년 이후부터 1950년대 말 사이에 주민들이 직접 개간하여 사용해온 유적이다. 이처럼 단위생활지구에는 사용 시기가 서로 다른 역사문화유적이 밀집하고 있어, 결과적으로는 선흘리 주민들의 생활사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다. 셋째로, 선흘곶자왈에 분포하는 역사문화유적들 중에서 대표성과 원형 유지의 정도를 고려하여 5종류의 유적을 세부 측량과 함께 실측하였다. 이들 유적의 측량과 실측을 통해 유적별 단면도, 평면도 및측면도를 제시한 것은 본 연구가 처음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동시에 이들 유적의 실측 자료는 앞으로 제주의 여러 곶자왈에 분포하는 동일한 유적과 비교·분석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piece together and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the historical cultural heritage in Seonheul Gotzawal, Jeju, and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remain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his research aims to piece together and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the historical cultural heritage in Seonheul Gotzawal, Jeju, and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remain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n-site inspection(2012∼2013) discovered many historical and cultural sites in Seonheul Gotzawal in Jeju. The historical sites mainly include 80 charcoal kilns, 50 charcoal burner`s sheds(hut), 7 stonework traps(snare) for wild roe deer, 20 units of farmlands, 10 ponds(well), as well as two religious remains(shrine and community altar) and one cave site. The obvious fact is that the historical sites are the living heritage of the residents of Seonheul-ri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lthough the remains have been used at different times depending on when they were established. Second, the particular district wher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ites were concentrated within Seonheul Gotzawal can be considered to be the living unit district. It was discovered that the district had one stone charcoal kiln(the charcoal kiln made of stone), 12 disposable charcoal kilns(the charcoal kiln to be discarded after using one time), one charcoal burner`s shed, six units of farmlands, Meodle(the pile of stones and pebbles stacked at one place, which were useless for farming), 41 units of stone walls that served as boundaries of Meodle and farmlands and three stone work traps(snare) for wild roe deer. The historical remains include those established in the period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before the Japanese occupation, as well as those established and used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mid-1960s or during the period after liberation to the mid-1960s. The farmlands were also historical sites that were cultivated and used by the residents from 1894 to the late 1950s. A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mains used in different periods are concentrated in the living unit district, the district serves as critical evidence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one side of the life of the residents in Seonheul Gotzawal. Third, the study actually surveyed and measured five types of remains on the spot in detail, given the representativeness and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forms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distributed in Seonheul Gotzawal. This holds great significance as the research revealed the section, floor plan and side view with measurements and actual survey of the historical sites for the first time. The actual measured values of the historical sites are also considered as an important basis for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same types of historical remains distributed in many Gotzawal areas in Jeju.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창화, "한라산의 역사⋅유적"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006

      2 정광중, "제주의 숲, 곶자왈의 인식과 이용에 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 22 (22): 11-28, 2012

      3 송시태, "제주의 곶자왈"

      4 송시태, "제주도 암괴상 아아용암류의 분포 및 암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5 김대신, "제주도 곶자왈지대의식물상" 2 (2): 91-103, 2008

      6 전용문, "제주도 곶자왈 지역에 대한 지질학적 고찰: 예비 연구결과" 대한지질학회 48 (48): 425-434, 2012

      7 신정훈, "제주고사리삼(고사리삼과) 서식지의 환경 특성, 개체군 동태와 환경처리에 따른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태학적 반응"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

      8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세계자연유산마을-선흘1리" 도서출판 각 2010

      9 정광중, "제주 선흘 곶자왈에서의 숯 생산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 23 (23): 37-55, 2013

      10 호남문화재연구원, "제주 서광리 숯가마 발굴조사보고서" 호남문화재연구원 2009

      1 강창화, "한라산의 역사⋅유적"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006

      2 정광중, "제주의 숲, 곶자왈의 인식과 이용에 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 22 (22): 11-28, 2012

      3 송시태, "제주의 곶자왈"

      4 송시태, "제주도 암괴상 아아용암류의 분포 및 암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5 김대신, "제주도 곶자왈지대의식물상" 2 (2): 91-103, 2008

      6 전용문, "제주도 곶자왈 지역에 대한 지질학적 고찰: 예비 연구결과" 대한지질학회 48 (48): 425-434, 2012

      7 신정훈, "제주고사리삼(고사리삼과) 서식지의 환경 특성, 개체군 동태와 환경처리에 따른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태학적 반응"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

      8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세계자연유산마을-선흘1리" 도서출판 각 2010

      9 정광중, "제주 선흘 곶자왈에서의 숯 생산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 23 (23): 37-55, 2013

      10 호남문화재연구원, "제주 서광리 숯가마 발굴조사보고서" 호남문화재연구원 2009

      11 정광중, "북촌리 주민들의 거주환경에 따른 돌문화 관련자원의 형성과 배경" 한국사진지리학회 18 (18): 7-26, 2008

      12 이경미, "멸종위기 식물 제주고사리삼의 입지와 식생구조의 특징에 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 14 (14): 35-45, 2012

      13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사), "곶자왈의 역사유적 현황조사"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2012

      14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사), "곶자왈의 역사문화자원 현황조사"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2012

      15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사), "곶자왈의 보전 및이용 기술 개발: 곶자왈의 역사유적분포⋅실측조사 및 역사문화자원 평가⋅활용 기술개발 연구"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2013

      16 정광중, "곶자왈과 제주인의 삶" 33 : 41-65, 2004

      17 제주특별자치도, "개정 증보 제주어사전"

      18 장용창, "Gotjawal Forest In Jeju Island as an Internationally Important Wetland" 한국습지학회 11 (11): 99-104,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4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