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주 최부자 가문의 양택을 통해 본 풍수인식에 관한 연구 = The Recognition of Feng-shui of The Gyeong-Ju Choi family Moneyed Class -The Case of Yang Tae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718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feng-shui theory reflected in the philosophy of the Choi family upper class by analyzing the conditions of the feng-shui locations of the family-related sites. For this purpose, two residential areas(Chung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feng-shui theory reflected in the philosophy of the Choi family upper class by analyzing the conditions of the feng-shui locations of the family-related sites. For this purpose, two residential areas(Chunguidang and Choi's Old House) have been selected. This study shows that two locations are highly suitable to feng-shui theory. The Choi family upper class was a Sajok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Gyeong-Ju region who understood feng-shui theory very well. Their recognition of feng-shui was expressed via their search for the best site(Myungdang) and their application of the Bibo concept to improve minor defects in their settlement area in terms of feng-shui. This study is limited to analysis of two residential areas of the Choi family except their graves. Nevertheless, this study shows a part of recognitions of feng-shui of Sajok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Gyeong-Ju region. This study helps people better understand the philosophy and thought of the Choi family upper cla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경주 최부자 가문 유적지의 風水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담겨 있는 최부자 가문의 풍수적 인식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으로 최부자 가문의 주요 양택지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주 최부자 가문 유적지의 風水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담겨 있는 최부자 가문의 풍수적 인식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으로 최부자 가문의 주요 양택지 두 곳인 내남 이조리 충의당과 교동 고택을 선정하였다.연구 결과, 충의당과 교동 고택 모두 양택지로서의 길지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경주지역 사족인 최부자 가문 역시 그들의 생활 철학 속에 풍수적 인식을 상당 부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풍수적인식이 吉地를 찾고 定住地의 풍수적 결함을 裨補하는 등의 실제적인 노력으로 표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들의 풍수적 인식이 교동 시대인 조선 후기로 갈수록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최부자 가문의 양택에만 국한된 분석이며, 음택을 연구 대상에서 제외시킨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조선후기 경주지역 사족의 풍수 인식의 일면을 보여주고, 동시에 최부자 가문의 생활철학과 사상에 대한 이해를 한층 높이는 데에도 일조할 수 있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원석, "한국의 풍수와 비보" 민속원 2004

      2 성동환, "학교 교가에 담겨 있는 풍수적 요소 연구 -경주시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3 (33): 283-317, 2012

      3 김두규, "풍수학사전" 비봉출판사 2005

      4 천인호, "풍수지리학 연구" 한국학술정보 2012

      5 김병주, "풍수로 본 한국 전통마을의 생태적 환경 친화성"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6 성동환, "풍수 논리 속의 생태개념과 생태기술" 대동문화연구원 (50) : 503-534, 2005

      7 이중환, "택리지" 서해문집 2007

      8 최창조, "청오경, 금낭경" 민음사 1993

      9 박성대, "지리적 특성을 담고 있는 지명과 풍수의 연관성"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5) : 327-360, 2012

      10 최원석, "조선후기의 주거관과 이상적 거주환경 논의 : 건강장수도시의 한국적 원형 탐구를 위한 문헌 고찰" 국토연구원 73 : 3-27, 2012

      1 최원석, "한국의 풍수와 비보" 민속원 2004

      2 성동환, "학교 교가에 담겨 있는 풍수적 요소 연구 -경주시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3 (33): 283-317, 2012

      3 김두규, "풍수학사전" 비봉출판사 2005

      4 천인호, "풍수지리학 연구" 한국학술정보 2012

      5 김병주, "풍수로 본 한국 전통마을의 생태적 환경 친화성"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6 성동환, "풍수 논리 속의 생태개념과 생태기술" 대동문화연구원 (50) : 503-534, 2005

      7 이중환, "택리지" 서해문집 2007

      8 최창조, "청오경, 금낭경" 민음사 1993

      9 박성대, "지리적 특성을 담고 있는 지명과 풍수의 연관성"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5) : 327-360, 2012

      10 최원석, "조선후기의 주거관과 이상적 거주환경 논의 : 건강장수도시의 한국적 원형 탐구를 위한 문헌 고찰" 국토연구원 73 : 3-27, 2012

      11 최원석, "조선후기 영남지방 士族村의 풍수담론" 한국지역지리학회 16 (16): 265-274, 2010

      12 최원석, "조선시대 지방도시의 풍수적 입지분석과 경관유형- 경상도 71개 읍치를 대상으로 -" 대한지리학회 42 (42): 540-559, 2007

      13 박찬용, "조선시대 사대부 마을 풍수의 시각적 구조-닭실, 내앞, 한개마을의 사례 연구" 한국정원학회 17 (17): 1999

      14 박정해, "조선 유학자들의 동기감응론 인식"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1) : 129-164, 2011

      15 정경연, "정통풍수지리" 평단 2003

      16 이도원, "전통생태와 풍수지리" 지오북 2012

      17 이학동, "전통마을의 분석과 풍수지리 이론을 통해서 본 주거환경" 주거환경학회 1 (1): 2003

      18 신상섭, "전통마을에서 추출된 환경적 건전성과 풍수지리의 가능성" 한국녹지환경디자인학회 3 (3): 2007

      19 한동환, "자연을 읽는 지혜" 푸른나무 1993

      20 조해식, "영남 사대 길지마을의 풍수지리적 고찰"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06

      21 권선정, "생태중심적 환경관으로서의 풍수 - 풍수'동기감응론(同氣感應論)'의 지리학적 해석-" 국토지리학회 38 (38): 259-272, 2004

      22 박정해, "밀양관아의 전통입지환경"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5) : 299-326, 2012

      23 이강식, "교촌최부자의 경영이념과 최부자고택의 문화마케팅전략 구축" 경주문화원 10 : 2007

      24 최재영, "교촌의 외부 공간 특성 및 정비방향" 경주문화원 10 : 2007

      25 조철제, "교촌 최씨가의 가계형성과 경제적 기반" 경주문화원 10 : 2007

      26 최영기, "교촌 최씨 큰집의 건축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경주문화원 10 : 2007

      27 노웅희, "교실밖 지리여행" 사계절 2006

      28 이화리, "교리 최부자 이야기" 경주문화원 10 : 2004

      29 전진문, "교리 최부자 이야기" 경주문화원 10 : 2004

      30 경주최씨 교동종친회, "교동의 얼" 대보사 1998

      31 최인환, "교동의 얼" 보문사 1998

      32 황상일, "고대 경주 지역의 홍수 가능성과 인간 활동" 대한지리학회 42 (42): 879-897, 2007

      33 경주문화원, "경주문화 제10호, 교리 최부자 이야기" 글밭출판사 2004

      34 한석수, "경주 최부자네 개무덤 설화에 관한 연구" 1984

      35 이선우, "경주 최부자가문 형성에 미친 풍수지리 연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04

      36 경주최부자민족정신선양회, "경주 최부자 문파제의 경영특성과 민족운동 실기집 제1권" 2012

      37 최해진, "경주 최부자 500년의 신화" 뿌리깊은나무 2006

      38 전진문, "경주 최부자 300년 부의 비결" 황금가지 2004

      39 최원석, "경남의 풍수-풍수로 본 경남지역의 조선시대 취락" 경남문화연구원 30 : 2009

      40 최창조, "風水思想에서의 水" 대한건축학회 36 (36): 1992

      41 이진삼, "風水 同氣感應은 親子感應인가?" 한국학연구원 (49) : 379-404, 2012

      42 양균송, "撼龍經" 비봉출판사 2009

      43 박성대, "慶州地域 新羅 廢寺址 風水立地 硏究" 대구한의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2

      44 장동수, "慶州 邑藪의 變遷에 관한 硏究"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1 (31): 1996

      45 양삼열, "慶州 崔富者 家門의 風水地理 立地 硏究" 대구한의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3

      46 호순신, "地理新法" 비봉출판사 2001

      47 심호, "地學" 육일문화사 2001

      48 서선계, "人子須知" 명문당 2008

      49 박헌영, "《葬書》에 나타난 同氣感應說" 한국도교문화학회 (20) : 279-312, 2004

      50 김기문, "[단행본] 慶州 風物地理誌" 경주문화원 2006

      51 최희만, "GIS를 이용한 전통취락의 지형적 주거입지 적합성 분석"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4 : 2005

      52 조용헌, "5백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푸른역사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3 1.36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