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집 : 조선후기 시가를 통해 본 서울의 장소성과 그 의미 = The Placeness and it`s Meaning of Seoul in Poetry of Late Chos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035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후기 시가를 대상으로 서울의 ‘장소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본고에서는 시적 화자가 서울 안에서 바라보는가 서울 밖에서 바라보는가 또는 서울인으로 바라보...

      본고는 조선후기 시가를 대상으로 서울의 ‘장소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본고에서는 시적 화자가 서울 안에서 바라보는가 서울 밖에서 바라보는가 또는 서울인으로 바라보는가 외부인으로 바라보는가 하는, 서울을 바라보는 시적 화자의 입장과 거리를 고려하여 논의하였다. 먼저 서울 안에서 바라본 서울의 장소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서울은 왕도로서의 상징적 공간으로 의미화 된다. 이는 조선왕조가 추구하는 유교적 이념과 가치를 표방하는 것이기도 하다. 왕도로서의 위세와 자긍심을 드러내면서 이상적이고 조화로운 공간으로 재현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서울은 생활 풍속의 역동적 공간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도시적 활력이나 시정풍경의 생기발랄한 모습과 더불어 세시에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풍속도 포착된다. 특히 이세보의 시조 가운데 서울의 세시풍속을 소재로 한 작품을 통해 생활 풍속 공간으로서의 서울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서울은 관계 맺고 싶은 공간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향촌 사족인 강복중은 서울의 권력가와 교유하고자 했고 그런 소망을 <경증월사대감가>를 통해 과감히 드러내었다. 여기에는 권력 중심부를 향한 소망과 더불어 소망의 불투명한 실현 가능성으로 인한 불안감과 초조함도 함께 포착된다. 다음으로 서울 밖에서 바라본 서울의 장소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서울은 유배객에게 있어 반드시 복귀해야 할 공간으로 의미화 된다. 이세보의 유배시조에는 서울로의 복귀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소망이 표출되어 있다. 그런가 하면 서울은 다가갈 수 없는 공간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서울은 이별한 님이 머물러 있는 사랑과 그리움의 원천지이지만 시적 화자는 물리적·심리적으로 단절되어 있는 상황이다. 『염요』에 수록된 공주 기녀의 시조와 가사, 잡가 <수심가>의 예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서울은 인간 시비가 끊이지 않는 불안하고 위험한 공간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안전을 위해서는 그곳을 떠나와야 하고 거리를 두어야 한다. 이렇게 다양하게 형성된 서울의 의미를 서울의 장소성이라고 한다면, 이 장소성은 후대에 지속 또는 변모되는 양상을 보인다. 예를 들면 수도로서의 상징성을 나타내는 풍수 지리적 요소는 관습적 표현으로 지속되면서도, 달라진 역사적 상황 속에서 지리적 정체성은 탈색되고 왕도의 위엄과 자긍심은 더 이상 발견할 수 없는 작품도 등장하게 된다. 이처럼 서울은 시가를 통해 다양하게 포착되어 왔고 그 속에서 형성된 서울의 장소성은 면면히 지속되고 또 변모되어 왔던 것으로 확인된다. 다양한 문화적 가치가 서로 겨루며 혼재하던 시기를 거쳐 오늘날 서울의 모습에 이르게 되었다고 할 때, 서울의 장소성에 주목하고 그 지속과 변모 과정을 추적하는 과정은 서울이라는 도시의 역사와 정체성을 밝히는 중요한 밑거름이 되리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laceness and it`s meaning of Seoul in poetry of late Chosun. It is important whether poetic speaker is a insider or no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insider or outsider, the placeness of Seoul is different. I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laceness and it`s meaning of Seoul in poetry of late Chosun. It is important whether poetic speaker is a insider or no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insider or outsider, the placeness of Seoul is different. It is also important whether poetic speaker is in Seoul or not. Therefore this paper is discussed by considering poetic speaker`s position and the recognition of distance from Seoul. The placeness of Seoul in a point of view from inside as follows. First of all Seoul is a symbolic space as the capital of a kingdom. It is represented as a city of confucian ideology and value. On the other hand Seoul is a dynamic space of living customs. The text shows urban vitality and seasonal customs. And Seoul is a space that is wanted to be related with. The text shows desire for a center of power. Next the placeness of Seoul in a point of view from outside as follows. First of all Seoul is a space that return to in any case. Especially poetic speaker express his self-identity through the hope of return to Seoul in exile Sijo. On the other hand Seoul is a space that cannot come closer. Poetic speaker`s lover is in Seoul, but she cannot go there. And Seoul is a dangerous and unsafe space. The strife is constant in Seoul, so poetic speaker have to leave there. In this way Seoul was represented through the poetry in late Chosun, the placeness of Seoul continued and transformed after ag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laceness of Seoul in order to find out history and identity of Seoul.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