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경성의 삶과 회화: 조선미술전람회 입선작으로 본 1920~30년대 미술과 도시 = The Painting of Modern Life in Colonial Korea: Gyeongseong in the Joseon Art Exhibition during the 1920s and 30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술사학에서 일제강점기 경성에 대한 서술은 주로 근대적 도시환경이나 매체환경을 아우르는 시각문화를 주요 대상으로 했다. 따라서 건축물, 박람회, 백화점, 광고, 우편엽서, 잡지나 신...

      미술사학에서 일제강점기 경성에 대한 서술은 주로 근대적 도시환경이나 매체환경을 아우르는 시각문화를 주요 대상으로 했다. 따라서 건축물, 박람회, 백화점, 광고, 우편엽서, 잡지나 신문의 표지, 삽화 및 만화 등이 주로 논의되어왔다. 그러나 정작 그 학문의 주요 연구대상인 회화와 경성이 맺는 관계에 대해서는 별로 논의된 바 없다. 현존하는 작품의 부재가 주요 이유로 보이는 이 사태는, 그러나 경성을 회화적으로 다루는 시도의 부재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 글은 그러한 시도가 실재했으며 심지어 특정시기 화단의 주요 흐름을 형성했음을 시사하는 시각자료에 관한 분석을 내용으로 한다. 그것은 조선미술전람회 도록으로서, 그 문헌 속 경성에 대한 조선미술가들의 여러 회화적 재현은 실물의 부족으로 접근이 어려웠던 경성과 회화에 대한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이 글은 그 시도가 1920년대 중반에서 1930년대 초에 이르는 시기 집단적인 흐름을 형성했음을 확인하고 그 양상과 의미를 파악하는 목표를 갖는다. 실제로 이 시기 변모하는 경성은 김용준, 손일봉, 김주경, 정현웅 등 조선화가들에게 회화적 상상력의 원천이었다. 소재 탐구의 지속성, 기법의 다양성, 작품의 화제성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흐름을 형성한 회화-도시 연관은 1920년대 서양화 기법과 담론의 숙련화와 대규모 상징건축물의 등장이라는 당대의 미학적이고 공간적 변모를 그 배경으로 한다. 그러나 동시에 그 흐름은 1930년대 중반으로 이행하면서 더 이상 조선미술전람회의 주목할 만한 것이 되지 않는다. 미술담론의 부족과 실물 접근의 불가능성이라는 근본적인 한계 속에서 이 글은 조선미술전람회 도록을 제외한다면 논의가 어려울 경성에 대한 회화적 접근에 대한 논의의 시작이 되길 희망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lonial capital of Gyeongseong (京城) has received much scholarly attention in arthistorical literature. It focuses mainly on visual experience in everyday urban environment and its associated institutions, technologies, and practices, such as ...

      The colonial capital of Gyeongseong (京城) has received much scholarly attention in arthistorical literature. It focuses mainly on visual experience in everyday urban environment and its associated institutions, technologies, and practices, such as department stores, expositions, signboards, postcards, book covers, illustrations and others. While the so-called 'visual culture' studies took the lead of the discussion of the city in the discipline of art history, there is not much discussion about the connections between the modernization of Gyeongseong and the painting of the time, the art form that has been actually the main research field of that discipline. The lack of the scholarly discussion of the connections is attributed to a dearth of existing works that depict the city. But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 absence of painterly efforts among Korean artists to understand an emergent urban phenomenon at the moment. This research is motivated by the simple observation that the catalogues of the Joseon Art Exhibition (1922-1944), the governmentsponsored annual juried exhibition for fine arts in colonial Korea, show a great deal of photographic images of paintings picturing Gyeongseong. As a preliminary attempt to understand the art-city nexus in Colonial Korea, this article focuses on 'urban landscape' paintings by major selected artists, including Kim Yong-joon (金瑢俊, 1904-1967), Son Il-bong (孫日峰, 1906-1985), Kim Jukyung (金周經, 1902-1981), Jeong Hyun Woong (鄭玄雄, 1910-1976) and others. Their painterly engagements with the city is examined in conjunction with an increasing exposure to modern and urban motifs during the “building boom” in the mid 1920s and the early 1930s. This article hopes to open up discussion of the painting in and of modern Gyeongseong in Colonial Korea, an issue that has been largely ignored in insistent interdisciplinary attempts to understand the c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1920년대 중반, 변모하는 경성 풍경의 발견
      • Ⅲ. 1920년대 말에서 1930년대 초, 경성의 ‘건설 붐’과 ‘도시풍경’의 확산
      • Ⅳ. 결론을 대신하여: 경성과 회화에 관한 남은 문제들
      • Ⅰ. 머리말
      • Ⅱ. 1920년대 중반, 변모하는 경성 풍경의 발견
      • Ⅲ. 1920년대 말에서 1930년대 초, 경성의 ‘건설 붐’과 ‘도시풍경’의 확산
      • Ⅳ. 결론을 대신하여: 경성과 회화에 관한 남은 문제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유섭, "현전관평(3)"

      2 "현실과 싸우면서 꾸준한 그의 노력: 이승만씨"

      3 이연경, "한성부(漢城府) 일본인 거류지 도로환경변화의 성격 - 1895년∼1910년 사이의 도로개수사업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30 (30): 169-178, 2014

      4 국립현대미술관, "한국미술 100년" 한길사 2006

      5 최열, "한국근대미술의 역사: 한국미술사 사전 1800-1945" 열화당 2015

      6 최열, "한국근대미술비평사 1800-1945" 열화당 2016

      7 김영나, "한국근대미술과 시각문화" 조형교육 2002

      8 권행가, "한국 근현대 서양화 및 시각문화 연구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4) : 33-68, 2012

      9 김현숙, "한국 근대미술에서의 東洋主義 연구 - 西洋畵壇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0 : 7-31, 2002

      10 침묵, "총독부 제9회 미전화랑에서" 53 : 1929

      1 고유섭, "현전관평(3)"

      2 "현실과 싸우면서 꾸준한 그의 노력: 이승만씨"

      3 이연경, "한성부(漢城府) 일본인 거류지 도로환경변화의 성격 - 1895년∼1910년 사이의 도로개수사업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30 (30): 169-178, 2014

      4 국립현대미술관, "한국미술 100년" 한길사 2006

      5 최열, "한국근대미술의 역사: 한국미술사 사전 1800-1945" 열화당 2015

      6 최열, "한국근대미술비평사 1800-1945" 열화당 2016

      7 김영나, "한국근대미술과 시각문화" 조형교육 2002

      8 권행가, "한국 근현대 서양화 및 시각문화 연구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4) : 33-68, 2012

      9 김현숙, "한국 근대미술에서의 東洋主義 연구 - 西洋畵壇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0 : 7-31, 2002

      10 침묵, "총독부 제9회 미전화랑에서" 53 : 1929

      11 이중희, "초기 서양화 정착에 관한 연구―조선미술전람회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6) : 152-188, 2006

      12 김백영, "지배와 공간: 식민지도시 경성과 제국 일본" 문학과 지성사 2009

      13 전우용, "종로와 본정-식민도시 경성의 두 얼굴" 40 : 163-193, 2001

      14 "조종을 울리는 조선인경성의 말로"

      15 "조선미전의 이왕가매상"

      16 목수현, "조선미술전람회와 문명화의 선전(宣傳)" 한국사회사학회 (89) : 85-115, 2011

      17 안석주, "제오회협전을 보고"

      18 김주경, "제구회 조선미전" 5 : 1930

      19 김용준, "제9회 미전과 조선화단"

      20 김종태, "제8회 미전평"

      21 김기진, "제6회 선전 작품 인상기" 68 : 1927

      22 김복진, "제4회 미전 인상기"

      23 이갑기, "제12회 조선미전 평"

      24 김주경, "제10회 조미전평"

      25 광주비엔날레, "일상·기억·역사: 해방 후 한 국미술과 시각문화" 광주비엔날레 1997

      26 이중희, "이인성 서양화의 본령" 8 : 39-62, 2000

      27 이봉상, "이봉상화집" 한국문화출판사 4-, 1972

      28 신수경, "월북화가들의 일제강점기 작품활동─ 조선미술전람회 서양화부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7) : 277-307, 2014

      29 "영추문선전차는"

      30 "여류기생학생 입선 된 미전"

      31 이종우, "양화 초기"

      32 "신운묘채가 만당"

      33 박영택, "식민지시대 도시공간과 미술 - 1930년대 경성의 풍경과 미술"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0 : 183-219, 2002

      34 권행가, "시대의 눈: 한국 근현대미술가론" 학고재 77-114, 2011

      35 신수경, "시대와 예술의 경계인, 정현웅 : 어느 잊혀진 월북미술가와의 해후" 돌베개 2012

      36 "선전을 앞두고-아틀리에를 찾아"

      37 염복규, "서울의 기원 경성의 탄생: 식민지 수도는 어떻게 메트로폴리스가 되었나" 이데아 53-77, 2016

      38 염복규, "서울은 어떻게 계획되었는가" 살림출판사 15-18, 2005

      39 김진송,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현대성의 형성" 현실문화연구 1999

      40 김종태, "미전평"

      41 안석주, "미전을 보고"

      42 김복진, "미전 제5회 단평" 70 : 104-110, 1926

      43 안석주, "미전 작품 합평"

      44 안석영, "미전 인상"

      45 한국미술연구소, "미술사논단 제8호 별책부록: 조선미술전람회 기사자료집" 시공사 1999

      46 "동십자각 동편으로 새로 나는 가로의 작업하는 광경과 집 헐어진 터"

      47 전우용, "대한제국기-일제 초기 서울 공간의 변화와 권력의 지향" 5 : 1999

      48 "대경성의 특수촌" 23 : 106-, 1929

      49 이태준, "녹향회 화랑에서(一)"

      50 "녯터에 남은 궁장까지"

      51 신수경, "김주경의 해방 이전 민족미술론 연구" 9 : 45-84, 2013

      52 정관 김복진 기념사업회, "김복진 전집" 청년사 1995

      53 이연경, "근대적 도시가로환경의 형성-1896년~1939년 종로 1,2가의 변화를 중심으로-" 도시사학회 (11) : 7-36, 2014

      54 국사편찬위원회, "근대와 만난 미술과 도시" 두산동아 2008

      55 이경아, "경성 동부 문화주택지 개발의 성격과 의미" 서울학연구소 (37) : 47-82, 2009

      56 "眞純하여라"

      57 福岡アジア美術館, "日韓近代美術家のまなざし: 「朝鮮」で描く-한일근대미술가들의 눈: “조선”에서 그리다-Korean and Japanese modern artists in the Korean Peninsula, 1890s to 1960s" 福岡アジア美術館·岐阜県美術館·北海道立近代美術館·神奈川県立近代美術館 2015

      58 T.J. Clark, "The Painting of Modern Life: Paris in the Art of Manet and His Followe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30, 1984

      59 Todd Henri, "Assimilating Seoul: Japanese Rule and the Politics of Public Space in Colonial Korea, 1910-194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4

      60 이경아, "1920~30년대 경성부의 문화주택지개발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191-200, 2006

      61 서유리, "1910-20년대 한국의 풍경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45 0.523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