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운문사 비로전 후불벽 뒷면 관음·달마도의 특징과 조성시기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운문사 비로전의 후불벽 뒷면에는 독특한 양식의 벽화가 남아있어 주목된다. 벽화는 관음보살상과 달마상이 나란히 그려져 있는 독특한 구성으로 서쪽에는 단아한 형태의 백의관음이 정면...

      운문사 비로전의 후불벽 뒷면에는 독특한 양식의 벽화가 남아있어 주목된다. 벽화는 관음보살상과 달마상이 나란히 그려져 있는 독특한 구성으로 서쪽에는 단아한 형태의 백의관음이 정면을 향하여 암반위에 밝아있으며, 관음보살의 오른쪽에는 수염이 덥수룩한 둥근 얼굴에 툭 불거진 두 눈,굳게 다문 입의 특징적인 달마상이 정면을 향하여 밝아있다.
      대개 후불벽 뒷면에는 백의관음도가 그려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렇게 한 화면에 달마와 관음보살이 함께 나타난 예는 운문사 비로전 벽화가 유일한 예이다.
      본 논문에서는 비로전의 후불벽뒷면의 관음·달마도 벽화의 조성시기는 1653년을 전후한 17세기 중반으로 보았으며, 이 시기 후불벽뒷면의 벽화와의 비교를 통해 미술사적 의의를 찾아보았다.
      첫째 이 벽화는 제작시기가 분명한 조선후기 사찰벽화의 양식적 특징을 잘 나타내는 작품으로 그 보존상태가 매우 우수하여 당시 벽화의 제작기법이나 도상에 대해 보다 정확하고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운문사 비로전 후불벽뒷면의 관음·달마벽화의 독특한 구성과 내용은 당시 불교사상과 신앙형태를 밝혀주며, 특징적으로 다양한 인물들을 등장시키는 등 불교미술의 새로운 흐름을 보여 주고 있어 운문사 벽화는 조선후기 불교회화사에 있어서도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셋째 17세기 사원 중창불사의 한 형해를 알 수 있다. 즉 운문사 비로전의 벽화의 제작자는 당시 불화에서처럼 벽화만을 전문으로 그리는 승려화사집단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경주, 대구, 양산, 동래 등 사찰들이 하나의 권역으로 사찰간의 협조체제를 이루고 있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앞으로 문헌연구나 화기 등을 통한 좀 더 자세한 조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s paper was to understand the Buddhist art of the late Joseon Dyna through the icons of Temple Wall Painting. It has been brought to my attention by an unusual style wall painting on the backside of the wall behind buddhist alter of va...

      The purpose of s paper was to understand the Buddhist art of the late Joseon Dyna through the icons of Temple Wall Painting.
      It has been brought to my attention by an unusual style wall painting on the backside of the wall behind buddhist alter of vairocana hall(비로전), Unmun Temple(운문사).
      The painting on the backside of the wall behind buddhist alter within most temples are water-moon Avalokitesvara painting(수월관음도), but at of Unmun temple is the only example, has unique characteristics in Avalokitesvara and Dhrma painting.
      This wall painting of vairocana hall would been made in the mid-17th century(l653) through the calligraphic inscriptions written on beams(上樑墨書) of vairocana hall.
      The means of art history of this wall painting are summarized into three points.
      First, The wall painting of Avalokitesvara and Dharma of vairocana hall in Unmun Temple represents 17th century's Buddhist painting style. It is providing accurate and valuable information such as manufacturing technique of wall painting and having the unique icon at that time.
      Second, A special construct and contents of the wall painting of Avalokitesvara and Dharma shown to us that the public's faith could be reflected on the wall painting and the new trend of Buddhist wall painting in the mid-17th. century.
      Third, Examining wall painting of Unmum temple and other Buddhist paintings in the Yeongnam area in the 17th century we can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service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late Joseon er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운문사의 연혁과 벽화의 제작연대
      • Ⅲ. 운문사 비로전 후불벽 뒷면 관음·달마도의 도상 및 양식적 특징
      • Ⅳ.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운문사의 연혁과 벽화의 제작연대
      • Ⅲ. 운문사 비로전 후불벽 뒷면 관음·달마도의 도상 및 양식적 특징
      • Ⅳ.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