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궐도(東闕圖)〉의 러버쉬팅변환을 통한 창덕궁 돈화문 지역의 입체적 식생 경관 추정 = Estim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Vegetation Landscape of the Donhwamun Gate Area in Changdeokgung Palace through the Rubber Sheeting Transformation of 〈Donggwoldo(東闕圖)〉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onggwoldo(東闕圖)>, which was m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o specify the vegetation landscape of the Donhwamun Gate area in Changdeokgung Palace.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onggwoldo(東闕圖)>, which was m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o specify the vegetation landscape of the Donhwamun Gate area in Changdeokgung Palace.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based on 『Jieziyuan Huazhuan(芥子園畵傳)』, the introductory book of tree expression delivered from China in the 17th century, <Donggwoldo> allowe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trees described in the picture to be established and helped identify their types. As a result of the classification, there were 10 species and 50 trees in the Donhwamun Gate area of <Donggwoldo>.
      Second, it was possible to measure the real size of the trees described in the picture through the elevated drawing scale of <Donggwoldo>. The height of the trees ranged from a minimum of 4.37 m to a maximum of 22.37 m.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s, compared to the old trees currently living in Changdeokgung Palace, the trees described in the picture were found to be produced in almost actual size without exaggeration. Thus, the measured height of the trees turned out to be appropriate as baseline data for reproduction of the vegetation landscape.
      Third, through the Rubber Sheeting Transformation of <Donggwoldo>, it was possible to make a ground plan for the planting of <Donggwoldo> on the current digital topographic map. In particular, as the transformed area of <Donggwoldo> was departmentalized and control points were added, the precision of transformation improved.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changed position of planting as well as the change in planting density through a ground plan of planting of <Donggwoldo>.
      Lastly, it was possible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vegetation landscape model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shape of the trees and the ground plan for the planting of <Donggwoldo>.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model, it was eas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current vegetation via the view axis, skyline, and openness to and cover from the adjacent regions at the level of the eyes.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others in that it verified the realism of <Donggwoldo>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scertaining the original form of the vegetation landscape described in the paint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동궐도(東闕圖)>의 분석을 통해 창덕궁 돈화문 지역의 식생 경관을 입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궐도>에 ...

      본 연구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동궐도(東闕圖)>의 분석을 통해 창덕궁 돈화문 지역의 식생 경관을 입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궐도>에 묘사된 수목은 17세기에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수목 표현 입문서인 『개자원화전(芥子園畵傳)』을 토대로 유형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분류 결과에 따라 <동궐도>의 돈화문 지역에 표현된 수목은 10종 50주로 확인되었다. 둘째, <동궐도>의 입면 제작 축척을 이용하여 그림에 묘사된 수목의 실제 크기를 산정할 수 있었다. 산출된 수목의 수고는 최소 4.37m에서 최대 22.37m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동궐도> 제작 이전부터 창덕궁에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노거수와의 비교를 통해 그림에 묘사된 수목들이 과도하지 않게 현실감 있는 크기로 제작된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동궐도>의 러버쉬팅변환(Rubber Sheeting Transformation)을 통해 현재 수치지형도에 <동궐도>의 식재 평면도 제작이 가능하였다. 특히, 변환 지역의 세분화와 통제점 추가를 통해 제작된 평면도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작성된 <동궐도>의 식재 평면도를 통해서 수목의 위치와 밀도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동궐도>에서 취득된 수목의 형상 정보와 식재 평면도를 이용하여 3차원 식생 모델의 제작이 가능하였다. 3차원 모델은 실제 사람의 눈높이에서 조망축, 스카이라인, 주변으로의 개방과 차폐 정도 등 현황과의 입체적 경관 비교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당시의 조망 특성을 검토하는데 유용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논의되어 온 <동궐도>의 사실적 표현을 입증하고 이에 근거하여 기록화에 묘사된 동궐의 식생 경관의 원형을 규명하기 위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재청, "창덕궁·종묘 원유(苑囿)" 문화재청 47-48, 2002

      2 백지성, "창덕궁 후원 어수당구역의 공간구성과 식재에 대하여: 동궐도를 중심으로" 12 (12): 15-29, 1994

      3 이선, "창덕궁 노거수(老巨樹)의 수령 측정 및생육 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3 (23): 19-35, 2005

      4 양신, "중국 회화사 삼천년" 학고재 102-, 1999

      5 이예성,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지도" 민속원 56-57, 2005

      6 백지성, "조선시대 궁궐에 있어서 제례의식공간의 궁원구성과 식재에 관한 연구: 치조의 내각과 선원전에 대하여 동궐도를 중심으로" 14 (14): 201-212, 1996

      7 김왕직, "조선시대 건축 배치도의 도법과 사상에 관한 연구" 7 (7): 93-94, 1998

      8 이재용, "러버쉬팅변환을 통한 「동궐도(東闕圖)」의 평면도 제작 가능성 연구 - 창덕궁 금천교 주변을 중심으로 -" 국립문화재연구소 50 (50): 104-121, 2017

      9 "동궐도"

      10 문화재청, "동궐(창덕궁, 창경궁)의 주요 식생 분석 및 가림시설 원형고증 연구" 문화재청 39-45, 2016

      1 문화재청, "창덕궁·종묘 원유(苑囿)" 문화재청 47-48, 2002

      2 백지성, "창덕궁 후원 어수당구역의 공간구성과 식재에 대하여: 동궐도를 중심으로" 12 (12): 15-29, 1994

      3 이선, "창덕궁 노거수(老巨樹)의 수령 측정 및생육 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3 (23): 19-35, 2005

      4 양신, "중국 회화사 삼천년" 학고재 102-, 1999

      5 이예성,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지도" 민속원 56-57, 2005

      6 백지성, "조선시대 궁궐에 있어서 제례의식공간의 궁원구성과 식재에 관한 연구: 치조의 내각과 선원전에 대하여 동궐도를 중심으로" 14 (14): 201-212, 1996

      7 김왕직, "조선시대 건축 배치도의 도법과 사상에 관한 연구" 7 (7): 93-94, 1998

      8 이재용, "러버쉬팅변환을 통한 「동궐도(東闕圖)」의 평면도 제작 가능성 연구 - 창덕궁 금천교 주변을 중심으로 -" 국립문화재연구소 50 (50): 104-121, 2017

      9 "동궐도"

      10 문화재청, "동궐(창덕궁, 창경궁)의 주요 식생 분석 및 가림시설 원형고증 연구" 문화재청 39-45, 2016

      11 김영모, "궁궐의 조경정비에 대한 몇 가지 관점" 국립문화재연구소 24-, 2008

      12 김현준, "「동궐도(東闕圖)」에 나타난 식재 현황 및 특징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 25 (25): 141-154, 2007

      13 Xiangyan WU, "Study on vegetation restoration and design of the re-relic(yuanmingyuan)" 2011

      14 Liang Bing, "Discussion about the Effect of Digital Plants Library on the Plants Landscape Restoration in YUANMINGYUAN"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