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일’의 근거로서의 『화산도』 = Reading Kazanto as a Foundation of Zainich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666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한국어로 완역돼 나온 김석범의 『화산도』가 왜 ‘재일’의 근거가 되는 작품인지를 살펴봤다. 이 글에서는 김석범이 조선총련을 떠나 다시 일본어로 창작을 시도하는 1968년...

      이 글에서는 한국어로 완역돼 나온 김석범의 『화산도』가 왜 ‘재일’의 근거가 되는 작품인지를 살펴봤다. 이 글에서는 김석범이 조선총련을 떠나 다시 일본어로 창작을 시도하는 1968년부터 한국을 방문하는 1988년까지의 행적을 살펴보며 이를 『화산도』와 연관해 분석했다. 첫째, 김석범의 일본어 창작과 재일조선인문학 비판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통해 이 작품이 추구한 보편주의의 의미를 되짚어 보았다. 『화산도』는 상실된 고향과 조국을 배경으로 ‘인간 회복’을 추구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작가가 추구하려 했던 보편성에 좀 더 초점을 맞춰서 독해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둘째, 재일조선인이 중심이 돼 만든 잡지 『계간 삼천리(季刊三千里) 』에서의 활동 및 ‘고국행’과 『화산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작가의 체험과 『화산도』와의 관련은 지금까지 1960년대의 김석범과 조선총련 사이의 갈등을 중심으로 고찰돼 왔는데 이것만으로는 『화산도』를 온전히 이해하기 힘들다. 『화산도』에 드러난 당조직 비판은 김석범이 조선총련을 탈퇴한 1968년 이후의 체험과 밀접히 연관된 것이다. 이 글에서는 다케다 세이지가 『’재일’이라는 근거』(1983)에서 『화산도』를 현실적인 ‘재일’ 상황의 부인 내지는 묵살”이라는 식으로 평가한 것을 비판적으로 독해했다. 『화산도』는 김석범이 재일을 살아가기 위해 남도 아니고 북도 아닌 공생적 가치를 추구한 작품으로, 절실한 ‘재일’의 근거라고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seeks to investigate Kim Sok-pom`s epic novel Kazanto, written from 1960s to 1990s, in the respect of a foundation of zainichi. Considering that Kim Sok-pom had been at feud with the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it w...

      This research seeks to investigate Kim Sok-pom`s epic novel Kazanto, written from 1960s to 1990s, in the respect of a foundation of zainichi. Considering that Kim Sok-pom had been at feud with the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it was not surprised that he attempted Japanese writing since he withdrawed from the association. In this article, I examine below two aspects by considering Kazanto. First, what I found most intriguing in Kim Sok-pom`s trajectory in 1970s and 1980s was his Japanese writing and criticism toward Korean Japanese literature in terms of universalism. I suggest that Kazanto should be read in the perspective of universalism rather than localism or singularity. Second, I analyze connection between Kim Sok-pom’s activities in the magazine Kikan Sanzenri and Kazanto. It is hard to understand Kazanto when one only focuses on feud between the General Association and Kim Sok-pom because it depicts a long-running conflicts between them until 1980s. Criticism against authority in Kazanto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Kim`s experience since Kim he left the General Association in 1968. In the above analyses I re-illuminate Kazanto from criticizing Takeda Seiji`s book ‘ZAINICHI’ AS FOUNDATION. It is not difficult to saa that Kazanto is the foundation of Kim’s being of zainichi because it does not take the side between North and South. Rather Kazanto severally criticizes both sides in terms of restoration of human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석범, "화산도 전12권" 보고사 2015

      2 김석범, "왜 계속 써왔는가 왜 침묵해 왔는가" 제주대학교 출판부 2007

      3 김환기, "문예잡지 『三千里』와 재일코리안의 문화 정체성― 문학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일본학회 (104) : 135-152, 2015

      4 김학동, "김석범의 한글『화산도』론- 한글『화산도』의 집필배경과「까마귀의 죽음」및 『火山島』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일어일문학회 62 (62): 17-34, 2007

      5 和田圭弘, "金石範の文学論についてー一九六三年から一九七二年まで" 一橋大学紀要 3 : 2009

      6 金石範, "金石範“火山島”小説世界を語る!―済州島四三事件/在日と日本人/政治と文学をめぐる物語" 右文書院 2010

      7 吳世宗, "許南麒の日本語詩についての一考察―歴史物語の構築と歴史からの撤退―" 論潮の会 (6) : 2014

      8 金石範, "火山島 전7권" 文藝春秋社 1997

      9 金石範, "新編 『在日』の思想" 講談社 2001

      10 小野悌次郎, "存在の原基―金石範文學" 新幹社 1998

      1 김석범, "화산도 전12권" 보고사 2015

      2 김석범, "왜 계속 써왔는가 왜 침묵해 왔는가" 제주대학교 출판부 2007

      3 김환기, "문예잡지 『三千里』와 재일코리안의 문화 정체성― 문학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일본학회 (104) : 135-152, 2015

      4 김학동, "김석범의 한글『화산도』론- 한글『화산도』의 집필배경과「까마귀의 죽음」및 『火山島』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일어일문학회 62 (62): 17-34, 2007

      5 和田圭弘, "金石範の文学論についてー一九六三年から一九七二年まで" 一橋大学紀要 3 : 2009

      6 金石範, "金石範“火山島”小説世界を語る!―済州島四三事件/在日と日本人/政治と文学をめぐる物語" 右文書院 2010

      7 吳世宗, "許南麒の日本語詩についての一考察―歴史物語の構築と歴史からの撤退―" 論潮の会 (6) : 2014

      8 金石範, "火山島 전7권" 文藝春秋社 1997

      9 金石範, "新編 『在日』の思想" 講談社 2001

      10 小野悌次郎, "存在の原基―金石範文學" 新幹社 1998

      11 宋惠媛, "在日朝鮮人文學史のために" 岩波書店 2014

      12 金石範, "ことばの呪縛" 筑摩書房 1972

      13 나카무라 후쿠지, "『화산도』 읽기-제주 4 3과 재일한국인 문학" 삼인 2001

      14 곽형덕, "‘재일조선인’ 문학자들의 김사량문학 수용과정 연구 - 1970년대 전후를 중심으로 -" 국제어문학회 (62) : 71-98, 2014

      15 다케다 세이지, "‘재일’이라는 근거" 소명출판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5-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AMLA CULTURAL INSTITUTE -> Research Institute for the Tamla Culture KCI등재
      2017-06-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탐라문화연구소 -> 탐라문화연구원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2 0.913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