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전통의 표상 공간, 인사동의 형성 = The formation of Insa-Dong, the representational space of Korean tradi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은 현재에 살아 있는 과거이며, 현재와 과거가 연결되어 있음을 입증하는 상징들이자 표상이다. 이것은 스스로 역사를 ‘공유’한다고 믿는 사람들이 합의하여 특별한 가치를 부여...

      ‘전통’은 현재에 살아 있는 과거이며, 현재와 과거가 연결되어 있음을 입증하는 상징들이자 표상이다. 이것은 스스로 역사를 ‘공유’한다고 믿는 사람들이 합의하여 특별한 가치를 부여하고, 보존과 전승의 필요성을 인정한 ‘낡은 것들’로서 사람들의 행동양식과 사고방식, 그들이 사용하는 물건 모두와 관계를 맺는다. 전통이라는 단어는 자주 ‘과거로부터 면면히 전승되어 온 공동체 문화의 정수’라는 의미의 접두어로 사용된다. ‘전통들’의 대부분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는 훨씬 ‘가까운 과거’에 발명되었지만 그것들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바뀌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관습과는 달리, 시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달라져서는 안 된다는 일반적 믿음의 대상이다. 그런데 대상을 ‘전통들’의 집체 또는 연쇄로 구성되는 도시 공간으로 확장하면, ‘전통의 불변성’이라는 명제를 더 이상 고수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서울을 대표하는 ‘전통문화의 거리’인 인사동의 경우, 1988년 서울시에 의해 ‘전통문화의 거리’로 지정되었으나, 2014년에도 서울시와 종로구는 ‘인사동 전통문화 거리’를 ‘되살리는’ 계획을 수립, 추진 중이다. 인사동 공간이 변화함으로써 ‘전통성’이 훼손되었기 때문에, 그를 재구성하고 보수하겠다는 것이 이 계획의 취지다. 그런데 인사동의 가로 경관과 분위기를 구성하는 전통들의 훼손과 변형에 대한 지적이 최근의 일만은 아니다. 인사동의 변화에 대한 불만은 1960년대부터 반복적으로 제기되었다. 생활과 사회관계의 급속한 변화가 전통의 ‘발명’을 요구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도시 공간의 급속한 근대화도 전통 공간의 ‘발명’을 필요로 했다. ‘전통 공간의 발명’은 변화가 일상이자 정상인 근대 도시 공간 내에 변화가 억제 또는 유보된 장소를 남겨 둠으로써 도시의 역사성과 지속성을 표현하려는 집단적 욕구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 공간은 서화나 골동과는 달라 화석 상태로 유지할 수는 없다. 전통 공간이란 변화가 정책적으로 억제, 관리되는 공간일 뿐이다. 변화 속에 ‘불변성’을 끼워 넣어야 하는 이율배반 때문에, 도시 공간의 전통성은 수시로 재구성될 수밖에 없다. 또 전통은 ‘발명’되기도 하지만 과거의 여러 자원들 중에서 ‘발굴’되는 경우가 더 많다. 따라서 전통문화의 거리 또는 전통 공간을 관리, 보존하는 문제는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낡은 것들’ 중에서 어떤 것을 선택하여 전통의 이미지를 구성할 것인가의 문제이기도 하다. 서울 인사동이 한국적 전통, 또는 서울의 전통문화를 표상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고 변화해 온 과정은, 한국인들이 ‘전통’으로 인정한 요소들이 특정한 도시 공간 내에 어떻게 퇴적되었고, 그것들이 어떤 이유로 보존 또는 발굴되었으며, 어떤 필요와 관점에서 상호 연계를 맺고 ‘전통’의 이미지를 구성하게 되었는가를 보여준다. 이 연구는 인사동의 ‘전통’을 구성하는 요소로 인정되는 것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는가를 살핀 것이다. 현재 인사동의 경관을 구성하는 ‘전통적 요소’들은 거의 전부가 ‘근대의 산물’들이다. 인사동은 한국인이 최초로 근대적 민영 출판사를 설립한 곳, 한국 최초의 근대적고서점이 자리 잡은 곳, 한국인 洋醫가 처음으로 개인병원을 낸 곳, 한국인이 처음으로 ‘바’를 차린 곳, 조선체육회와 조선음악가협회가 처음 자리 잡은 곳,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식당이 있는 곳이다. 이들이 처음 인사동에 ‘전통’의 이미지를 부여했고, 1970~1980년대 서울의 다른 지역들에서 ‘전통 경관’들이 급속히 소멸한 뒤 인사동을 ‘전통문화의 거리’라는 특별한 지위로올려놓았다. 그런데 도시 공간은 근본적으로 변화를 억제할 수 없는 공간이기 때문에 이 ‘전통’의 이미지는 수시로 재구성되어야 했다. 인사동에서 ‘전통’이 형성, 발굴, 창조, 재구성되어 온방식은 향후 서울의 ‘전통경관’ 또는 ‘전통공간’과 관련한 논의에 풍부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radition is the past alive in the present and the symbols or representations to demonstrate that the present and the past is connected one another. These are old things that people who believe they share same history agree to endow special value and ...

      Tradition is the past alive in the present and the symbols or representations to demonstrate that the present and the past is connected one another. These are old things that people who believe they share same history agree to endow special value and to acknowledge necessity of conserving and transmission. These are connected with pattern of behavior, way of thinking, tools and goods of all the people in a nation. The word Tradition is often used as prefix that means the essence of culture of community continuously passed down from the pas’. The most part of traditions were invented in near past than people think, however they believe that traditions must be constant and unchanging. In this regard, traditions are different form the customs which people think that changing is natural. However, in the case of expanding the objects to city space, we can not insist eternity of tradition anymore. Insa-Dong has been appointed the street of traditional culture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 1994, but the metropolitan government and Jongno-Gu are still trying to make a plan to revive the traditionon this place in 2014. The purpose of this plan is to reconstruct and repair the traditional image of Insa-Dong space which has been damaged by the development of city. By the way, the complaints against the change of Insa-Dong has been raised repeatedly since 1960’s. The rapid modernization of city space needed the invention of traditional placeas the rapid change of life and social relationships needed the invention of tradition. The invention of traditional space is a fruit of the collective desire to express urban historicity and durability. However, city spaces can not be conserved for ages. The traditional space in a city is in fact the space controlled by city government or civil society with the perspective of conserving traditionalculture. The traditionality of city space must have been reconstructed repeatedly, because of coexistence of changes and persistences. Also, tradition is more associated with excavation than invention. Thus, making traditional space is a kind of selection among old things that has been transmitted from the past. The change process of Insa-Dong street shows how Korean traditions or Seoultradition were deposited in city space, how they were conserved or excavated, and how they constructed the images of tra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at how the cultural factors which Koreans acknowledged their own tradition settled in Insa-Dong. Almost all of traditional factors in present Insa-Dong are the products of city modernization in fact. The first modern private publisher, the first modern antique bookstore, the first modern western hospital, the first modern bar, the first modern music store, the first modern association of sportsmen, the oldest restaurants in Seoul were all in Insa-Dong. At first, these assign Insa-Dong the image of tradition, and as old sceneries rapidly has became extinct on other areas in Seoul,Insa-Dong can be the only one traditional culture street in Seoul. However, the city space is fundamentally changeable, so this image of tradition was frequently reconstructed. The way tradition was made, excavated, created, and reconstructed in Insa-Dong, will give a lot of lesson for the discussion about the future traditional scenery or traditional space in Seou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대학교 한국의학인물사 편찬위원회, "한국의학인물사" 태학사 2008

      2 전우용, "한국 회사의 탄생"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3 김상엽, "한국 근대의 골동시장과 京城美術俱樂部" 19 : 2003

      4 전택부, "토박이 신앙산맥" 대한기독교 출판사 1977

      5 "청색지"

      6 강명관, "조선시대 문화예술의 생성공간" 소명출판 1999

      7 박상미, "전통, 권력, 그리고 맛: 인사동 거리의 음식문화를 통해서 본 지역 정체성의 형성" (13) : 2000

      8 김상엽, "일제 강점기의 고미술품 유통과 거래" 2006

      9 정정남, "인사동 194번지의 都市的 變化와18세기 漢城府 具允鈺 家屋에 관한 연구-장서각 소장 里門內 具允鈺家圖形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건축역사학회 17 (17): 23-44, 2008

      10 "연합뉴스"

      1 서울대학교 한국의학인물사 편찬위원회, "한국의학인물사" 태학사 2008

      2 전우용, "한국 회사의 탄생"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3 김상엽, "한국 근대의 골동시장과 京城美術俱樂部" 19 : 2003

      4 전택부, "토박이 신앙산맥" 대한기독교 출판사 1977

      5 "청색지"

      6 강명관, "조선시대 문화예술의 생성공간" 소명출판 1999

      7 박상미, "전통, 권력, 그리고 맛: 인사동 거리의 음식문화를 통해서 본 지역 정체성의 형성" (13) : 2000

      8 김상엽, "일제 강점기의 고미술품 유통과 거래" 2006

      9 정정남, "인사동 194번지의 都市的 變化와18세기 漢城府 具允鈺 家屋에 관한 연구-장서각 소장 里門內 具允鈺家圖形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건축역사학회 17 (17): 23-44, 2008

      10 "연합뉴스"

      11 "시민일보"

      12 "서울신문"

      13 서울시사편찬위원회, "서울六百年史 제4권" 1981

      14 장규식, "서울, 공간으로 본 역사" 혜안 2004

      15 서울특별시 역사문화재과, "서울 표석 설치 현황"

      16 손정목, "서울 도시계획 이야기 1" 한울 2014

      17 윤경로, "새문안교회 100년사" 새문안교회 1995

      18 서울대학교병원 병원역사문화센터, "사진과 함께 보는 한국 근현대 의료문화사 1876~1960" 웅진지식하우스 2009

      19 전우용, "사을 남촌: 시간, 장소, 사람" 서울학연구소 2003

      20 강영주, "벽초 홍명희 연구" 창작과 비평사 1999

      21 장문석, "만들어진 전통" 휴머니스트 2004

      22 전우용, "동아시아 서양의학을 만나다" 태학사 2007

      23 "독립신문"

      24 이중연, "고서점의 문화사" 혜안 2007

      25 "駐韓日本公使館記錄"

      26 "靑又日錄"

      27 "貞蕤集"

      28 "警務廳來去文"

      29 "續陰晴史"

      30 "皇城新聞"

      31 최완수, "澗松文華" 간송미술문화재단 2014

      32 "每日經濟"

      33 "每日申報"

      34 "梅泉野錄"

      35 "東亞日報"

      36 "朝鮮中央日報"

      37 "日新"

      38 "大韓每日申報"

      39 "大韓季年史"

      40 "別乾坤"

      41 "備邊司謄錄"

      42 "京鍾警高秘"

      43 "京鄕新聞"

      44 "京城地方法院檢事局文書"

      45 京城商工會議所, "京城商工名錄 1932, 1937, 1939"

      46 "三千里"

      47 김승유, "‘전통문화’의 상징적 공간, ‘인사동’의 역사성 재고" (16) : 2011

      48 권행가, "1930년대 古書畵展覽會와 경성의 미술 시장: 吳鳳彬의 朝鮮美術館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9) : 163-189, 2008

      49 전우용, "1902년 皇帝御極 40년 望六旬 稱慶禮式과 皇都 정비 - 대한제국의 ‘皇都’ 구상에 담긴 만국공법적 제국과 동양적 제국의 이중 表象 -" 서울역사편찬원 (81) : 119-160,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11-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연구소 ->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East Asian Cultures
      KCI등재후보
      2009-11-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논집 -> 동아시아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Journal of East Aisan Cultures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1 0.78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