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전통의 계승과 시각장애인 직업재활 측면에서 본 맹인 점복업 = The Matter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Examined through the Succession of the Cultural Heritage and through the Blind's Vocational Independ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1361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전통 민간신앙의 한 분야인 맹인 점복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현대 사회에 있어 맹인 점복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한 것이다. 이를 통해 장애인의 직업재활이라는 측면에서...

      이 글은 전통 민간신앙의 한 분야인 맹인 점복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현대 사회에 있어 맹인 점복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한 것이다. 이를 통해 장애인의 직업재활이라는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소멸되어 가는 문화전통을 보호한다는 측면에서 맹인 점복업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먼저 맹인 점술이 오랜 역사를 지닌 우리 문화 전통의 한 부분임을 논증하기 위해 맹인 점술의 유래에 대해 고찰하였다. 손진태 등에 의해 고려 중엽으로 추정되어 온 맹인 점복가 盲僧의 유래에 대해서는 이제까지 논의되지 않았던 일본 盲僧이 이미 8세기 이전 규슈 지방에서 讀經과 逐鬼, 점술의 역할을 수행해온 사실을 소개함으로써 한중일 맹인 점복의 전파 경로에 대해 되짚어보고 한반도 맹승의 기원이 고려 이전 고대시대까지 소급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다음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국가 차원의 보호 정책에 의해 맹인 점복가가 관상감 등의 관직에 등용되어 활약한 사실과, 조선조 맹인집회소인 明通寺, 盲廳을 중심으로 전개되어온 맹인 점복가들의 활동상을 재조명해 보았다. 또한, 개화기와 일제강점기로 대변되는 근대시기 맹인 점복이 사회적으로 어떻게 인식되고 또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신문 일간지 등의 매체를 통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현재 단절의 위기에 처해 있는 맹인 점복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화전통의 계승과 시각장애인 재활이라는 차원에서 맹인 점복을 지원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성북구 동선동에 밀집해 있는 시각장애인 점성촌의 사례와 맹인역리학회에서 주관하는 맹인 역학 양성 교육 현장을 탐문 조사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to chronologically examine the history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which has functioned as a huge axis of folk religion in traditional societies and to diagnose the phenomena and matters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in contemporary ...

      This article is to chronologically examine the history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which has functioned as a huge axis of folk religion in traditional societies and to diagnose the phenomena and matters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in contemporary society. This perceives the matter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which is decaying as the discontinuity of the cultural heritage which has the everlasting history. Furthermore, this is based on the conception that the matter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is needed to be more deeply discussed from the viewpoint of the self-support of the blind.
      This article firstly examines the origination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in order to verify that the blind's fortunetelling is a part of our cultural heritage with a long history. Regarding the origination of 'maengseung', the blind fortuneteller, which is presumed up to the mid-Koryo dynasty period by Sohn JinTae and other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fact that Japanese blind fortuneteller had performed text-reading, exorcism, and fortunetelling as early as 8th century so that the spread route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throughout Korea, China, and japan is studied; thus this article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origination of maeseung can be traced back before Koryo dynasty period.
      Nextl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this article clarifies the fact that the blind fortunetellers were hired to the positions in Gwansang-gam and became involved into the state affairs, and the activities and lives of the blind fortunetellers who were centered in 'myeongtongsa' and 'maengcheong' which were the blind's gathering posts during Choseon dynasty period. Also, how the blind's fortunetelling was socially perceived, during the modern period which is represented as gaehwagi and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era, in the process in which our folk religions were considered as superstition is discussed depending on the media such as daily newspapers.
      Finally, the final chapter suggests that the support for the blind's fortunetelling is necessary for the succession of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facing the threat of disappearance and additionally for the self-support of the blind people. For this, the case of Jeomseongchon in which the blind live together in Seongbuk-gu Dongseondong and the case that studies the blind's fortunetelling education hosted by the Blind's fortunetelling academy are provid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안수, "한국맹인직업사연구" 단국대학교 1986

      2 서거정, "필원잡기. 대동야승1. 민족문화추진회 편" 솔출판사 1973

      3 김영진, "판수’攷.민속어문논총" 계명대학교출판부 1983

      4 赤松智城, "조선무속의 연구 下" 동문선 1991

      5 이능화, "조선도교사" 보성문화사 1986

      6 장창권, "세상에 버릴 사람은 아무도 없다" 문학동네 2005

      7 조성관, "서울속살 엿보기(6) in: 70여집 모인 미아리 점성촌"

      8 Bird,Isabella, "백년 전 한국의 모든 것,한국과 그 이웃 나라들" 살림 1994

      9 동아일보, "무당판수 取締굿으로 해가 지는 港都의 봄"

      10 동아일보, "무당, 판수等團束을 內命"

      1 임안수, "한국맹인직업사연구" 단국대학교 1986

      2 서거정, "필원잡기. 대동야승1. 민족문화추진회 편" 솔출판사 1973

      3 김영진, "판수’攷.민속어문논총" 계명대학교출판부 1983

      4 赤松智城, "조선무속의 연구 下" 동문선 1991

      5 이능화, "조선도교사" 보성문화사 1986

      6 장창권, "세상에 버릴 사람은 아무도 없다" 문학동네 2005

      7 조성관, "서울속살 엿보기(6) in: 70여집 모인 미아리 점성촌"

      8 Bird,Isabella, "백년 전 한국의 모든 것,한국과 그 이웃 나라들" 살림 1994

      9 동아일보, "무당판수 取締굿으로 해가 지는 港都의 봄"

      10 동아일보, "무당, 판수等團束을 內命"

      11 동아일보, "맹인의 애걸,눈뜬 박수로 인하여 생활 불안이 된다"

      12 손진태, "맹격고 in:손진태 선생 전집 2" 태학사 1981

      13 독립신문, "독립신문"

      14 대한매일신보, "대한매일신보"

      15 동아일보, "농촌에 巫女盲人이 跋扈-日收入이 四圓以上"

      16 이용범, "근현대 한국 무속의 역사적 변화" 30 : 2003

      17 홍봉한, "국역증보문헌비고 악고3 in:사단법인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사단법인세종 대왕기념사업회 1994

      18 동아일보, "黃海道에서는 迷信을 撲滅"

      19 동아일보, "開城일대 盛行하는 巫堂판수를 嚴禁-경찰의 허가 없으면 전부 취체. 위반자는 엄중처벌" 1932

      20 동아일보, "迷信打破問題異彩로운 座談會卜術이란 무엇? 盲人들이 말하는 正體"

      21 동아일보, "盲啞者萬五千"

      22 田中藤次郞, "盲人と卜禱" 朝鮮社會事業 1942

      23 朝鮮總督府, "朝鮮法令輯覽卷上 in: 제10집 衛生·警察" 영진문화사 영인 71-, 1984

      24 이규경, "明通寺에 대한 변증설 in:五洲衍文長箋稿20" 민족문화추진회 1981

      25 中山太郞, "日本盲人史" 成光館出版 1937

      26 성현, "傭齋叢話 in :민족문화추진회 편" 솔출판사 1997

      27 최석영, "1920년대 일제의 무속 통제책" (2)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영문명 :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8-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Disability & employment -> Disability & Employment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장애인고용 -> 장애와 고용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7 1.77 1.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3 1.85 2.252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