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을 연출하다: 조선악극단의 일본 진출 공연과 국민화의 (불)협화음 (1933~1944) = Positioning Koreanness in Japanese Empire: Choson Akguk Troupe and its Perform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252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1930-40년대 전시체제기 조선악극단의 일본 진출 공연을 중심으로 식민지 조선의 대중문화가 어떻게 제국의 정치 및 자본의 전략 그리고 관객의 정체성과 깊은 연관을 가지며 공연...

      이 논문은 1930-40년대 전시체제기 조선악극단의 일본 진출 공연을 중심으로 식민지 조선의 대중문화가 어떻게 제국의 정치 및 자본의 전략 그리고 관객의 정체성과 깊은 연관을 가지며 공연되었는지 탐구한다. 식민지 조선에서 1930년대는 대중 공연문화가 규모나 영향력 면에서 매우 융성했던 시기였다. 이 중 악극은 서구와 일본의 대중문화의 영향을 받아 화려하고 근대적인 무대를 만들어내며, 조선뿐만 아니라 일본과 만주에서 해외 순회공연을 펼칠 정도로 인기 있는 대중문화로 성장하고 있었다. 특히 조선악극단은 식민지시기를 통틀어 악극단 중에서 가장 큰 규모와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1930년대에 조선에서 큰 인기를 얻기 시작해서, 일본(내지)과 만주(북지)까지 원정 공연을 펼친, 조선을 대표하는 공연단이었다. 그러나 이들이 공연을 통해 쌓은 대중적 친밀성은 1940년대 전시체제기에 돌입하면서 국가(일본)에 의해 적극적으로 수용되었고, 점차 오족 협화와 내선일체의 슬로건 아래에 ‘조선적’이며 ‘국민적’ 공연을 하는 극단으로 변화했다. 더구나 1942년에 조선의 연예단체들이 연극문화협회로 통합되면서부터 악극은 일본의 ‘대동아공영’과 전쟁을 위한 동원문화의 선두에 섰다. 이 논문은 1930~40년대 조선악극단의 행적을 해외 공연을 중심으로 추적하여, 악극단의 세계진출을 위한 꿈과 제국의 국민화 정치가 어떻게 악극 공연에 녹아 ‘연출’되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한다. 전시체제기 제국의 동화와 국민화 정치가 식민지인과 식민지 악극단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협력의 최전선에 있었던 조선인 악극단은 어떤 방식으로 이러한 시기를 생존하였는가? 다양한 제국의 관객들은 조선인 공연을 어떻게 소비하였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이 논문은 ‘연출’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조선악극단이 ‘조선의 기업’이라는 외피를 어떻게 전략적으로 ‘연출’하였는지, 이것이 ‘조선붐’이 한창이던 제국의 일본인들에게 어떻게 젠더화, 인종화 된 방식으로 받아들여졌는지를 분석한다. 또한 1941년 이후 제국의 ‘국민화’ 정치가 공연의 내용에는 어떠한 변화를 만들어 내었는지, 또 이 과정이 공연자와 관객에게 어떤 사회적 의미를 만들어 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논문은 조선악극단의 일본 진출 공연은 대중문화가 국가의 정치에 깊이 개입하면서도, 일본 내지의 일본인, 조선인, 만주에 주둔한 일본인 군인 등 다양한 관객과의 만남 속에서 다채롭게 변주하였음을 밝힌다. 또한 조선악극단의 해외공연에 참여한 기획자, 공연자, 그리고 관객의 문화적 횡단의 경험은 자신들의 정체성(identity)에 대한 다양한 자각(identification)을 만들어 내었음을 주장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late 1930 and 1940s` colonial Korea, akguk, a popular vaudeville performance reached a commercial pinnacle in term of its production quantity, popularity to general Korean audience and influence in constructing visual modernity. Fueled by the c...

      In the late 1930 and 1940s` colonial Korea, akguk, a popular vaudeville performance reached a commercial pinnacle in term of its production quantity, popularity to general Korean audience and influence in constructing visual modernity. Fueled by the commercial success in Choson, many recording companies, which owned giant size of akguk troupes, strove to expand their companies` influence beyond their national boundary, targeting transnational audience within Japanese empire. Among these akguk troupes, I pay close attention to OK Grand Show Troupe(later changed their name as Choson akguk troupe),one of the biggest Korean akguk troupes in colonial Korea. Owned by OK Record Company, this troupe initiated a bifurcated commercial strategy depending on audience`s geo-political location. They had endeavored to construct transnational modern performance style in Korea, whereas they highlighted their performance style resonated from“tradition”and local Korean idiosyncrasy when they started marketing in Japan and Manchu area. Through a careful analysis on the transformation of OK Grand Show Troupe`s performance repertories and iconic hybridity in the course of changing historical situation, and invented style of“Koreanness,”I argue that the commercial marketing strategy of Choson akguk troupe, in fact, dually functioned to reposition Koreans as participants of modern popular art industry as well as exotic local subjects in a multi-ethnic Japanese empi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연구공간 수유+너머 ‘일본근대와 젠더 세미나팀’, "확장하는 모더니티: 1920-30년대 근대 일본의 문화사" 소명 2007

      2 김청강, "현대 한국의 영화 재건논리와 코미디 영화의 정치적 함의 (1945-60) - 명랑하고 유쾌한 ‘발전 대한민국’ 만들기 -" 진단학회 (112) : 27-59, 2011

      3 유민영, "한국연극운동사" 태학사 2001

      4 백현미, "한국연극사와 전통담론" 연극과 인간 2009

      5 박찬호, "한국가요사1 : 가요의 탄생에서 식민지 시대까지 민족의 수난과 저항을 노래하다 : 1894-1945" 미지북스 2009

      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유성기 음반 총 목록" 민속원 1998

      7 이규성, "한국 악극의 수용과정과 공연활동에 관한 연구 : 1930년대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05

      8 유민영, "한국 근대 연극사"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6

      9 김호연, "한국 근대 악극 연구" 민속원 2009

      10 배삼룡, "한 어릿광대의 눈물 젖은 웃음" 다른우리 1999

      1 연구공간 수유+너머 ‘일본근대와 젠더 세미나팀’, "확장하는 모더니티: 1920-30년대 근대 일본의 문화사" 소명 2007

      2 김청강, "현대 한국의 영화 재건논리와 코미디 영화의 정치적 함의 (1945-60) - 명랑하고 유쾌한 ‘발전 대한민국’ 만들기 -" 진단학회 (112) : 27-59, 2011

      3 유민영, "한국연극운동사" 태학사 2001

      4 백현미, "한국연극사와 전통담론" 연극과 인간 2009

      5 박찬호, "한국가요사1 : 가요의 탄생에서 식민지 시대까지 민족의 수난과 저항을 노래하다 : 1894-1945" 미지북스 2009

      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유성기 음반 총 목록" 민속원 1998

      7 이규성, "한국 악극의 수용과정과 공연활동에 관한 연구 : 1930년대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05

      8 유민영, "한국 근대 연극사"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6

      9 김호연, "한국 근대 악극 연구" 민속원 2009

      10 배삼룡, "한 어릿광대의 눈물 젖은 웃음" 다른우리 1999

      11 구모룡, "파시즘미학의 본질" 예옥 2009

      12 정명중, "파시즘과 감성동원 -일제하 ‘국민문학(國民文學)’에 대한 고찰-" 호남학연구원 1 (1): 337-380, 2009

      13 김려실, "투사하는 제국, 투영하는 식민지: 1901-1945년의 한국영화사를 되짚다" 삼인 2006

      14 사카이 나오키, "총력전하의 앎과 제도" 소명 2014

      15 오태영, "지방문학, 국민문학, 세계문학 - 식민지 후반기 조선문학의 존재 형식"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7 (17): 491-516, 2013

      16 "조선일보"

      17 김려실, "조선을 '조센'화하기" 한국영화학회 (34) : 95-123, 2007

      18 연구모임씨네마바벨, "조선영화와 할리우드" 소명출판 2014

      19 박석태, "조선미술전람회를 통해 본 ‘향토성’ 개념 연구" (3) : 2004

      20 이영재, "제국일본의 조선영화" 현실문화 2008

      21 서정완, "제국일본의 문화권력. 2, 정책·사상·대중문화" 소화 2014

      22 서정완, "제국일본의 문화권력" 소화 2011

      23 와타나베 나오키, "전쟁하는 신민, 식민지의 국민문화: 식민지 말 조선의 담론과 표상" 소명 2011

      24 이화진, "전쟁과 연예 -전시체제기 경성에서 악극과 어트랙션의 유행-" 한국학연구소 (36) : 315-360, 2015

      25 손유경, "전시체제기 위안(慰安) 문화와 ‘삼천리’ 반도의 일상" 상허학회 29 : 255-298, 2010

      26 이승희, "전시체제기 연극통제시스템의 동원정치와 효과" 상허학회 41 : 193-242, 2014

      27 김예림, "전시기 오락정책과 '문화'로서의 우생학" 역사문제연구소 (73) : 325-350, 2005

      28 홍선영, "전시 예술동원과 ‘국어극’-1940년대 연극경연대회 일본어 참가작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47) : 491-516, 2013

      29 이준희, "일제시대 군국가요(軍國歌謠) 연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6) : 139-161, 2009

      30 문경연, "일제말기 ‘부여’표상과 정치의 미학화 -이석훈과 조택원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학회 (33) : 189-224, 2011

      31 김영희, "일제강점기 ‘레뷰춤’ 연구" (9) : 2008

      32 이복실, "일제 말기 조선 극단의 만주 순회공연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45) : 63-102, 2014

      33 이화진, "일제 말기 이동극단 활동의 전개 양상과 그 한계" 한국학연구소 (30) : 163-193, 2013

      34 이재명, "일제 말 친일 목적극의 형성과 전개" 소명 2011

      35 김만수, "일제 강점기 유성 음반기 속의 대중 희극" 태학사 1997

      36 김호연, "일제 강점 후기 연극 제도의 변화 양상과 그 의미 - 이동극단, 위문대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30) : 37-60, 2011

      37 윤소영, "일본잡지 모던일본과 조선 1940" 어문학사 2009

      38 홍선영, "일본잡지 모던일본과 조선 1939" 어문학사 2007

      39 한국영상자료원, "일본어 잡지로 본 조선영화 4" 한국영상자료원 2013

      40 최유준, "이난영의 눈물"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 : 335-364, 2013

      41 국립예술자료원, "예술사 구술총서 001: 박용구, 한반도 르네상스의 기획자, 1914년-" 국립예술자료원 2011

      42 "영화시대"

      43 이덕기, "영화 <수업료>와 조선영화의 좌표" 한국극예술학회 (29) : 123-152, 2009

      44 김청강, "악극, 헐리우드를 만나다-1950년대 한국 대중영화의 혼종성에 드러나는 식민성과 탈식민적 근대성의 문제들-" 대중서사학회 (29) : 35-72, 2013

      45 최승연, "악극(樂劇) 성립에 관한 연구" 민족어문학회 (49) : 388-422, 2004

      46 "신시대"

      47 방기중, "식민지 파시즘의 유산과 극복의 과제" 혜안 2005

      48 이화진, "식민지 조선의 극장과 '소리'의 문화 정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49 정근식, "식민지 전시체제하에서의 검열과 선전, 그리고 동원" 상허학회 38 : 221-277, 2013

      50 이화진, "식민지 영화의 내셔널리티와 향토색" 상허학회 13 : 363-388, 2004

      51 강옥희, "식민지 시대 대중예술인 사전" 소도 2006

      52 조형근, "식민지 대중문화와 ‘조선적인 것’의 변증법: 영화와 대중가요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99) : 41-73, 2013

      53 유선영, "식민지 대중가요의 잡종화 민족주의 기획의 탈식민성과 식민성"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0 (10): 7-57, 2002

      54 윤대석, "식민지 국민문학론" 역락 2006

      55 "삼천리"

      56 정명문, "반도가극단의 후기 가극 연구 - <숙향전>의 극작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학회 (40) : 89-123, 2013

      57 차승기, "반근대적 상상력의 임계들: 식민지 조선 담론장에서의 전통, 세계, 주체" 푸른역사 2009

      58 김의경, "박노홍의 대중연예사 1" 연극과 인간 2008

      59 김의경, "박노홍 전집 1-5" 연극과 인간 2008

      60 "매일신보"

      61 "만선일보"

      62 "동아일보"

      63 박진수, "동아시아 대중음악과 근대 일본의 “조선 붐”" 아시아문화연구소 29 : 165-188, 2013

      64 "독립신보"

      65 죠지 모스, "대중의 국민화 : 독일대중은 어떻게 히틀러의 국민이 되었는가?" 소나무 2008

      66 최규진, "대동아공영권론과‘협력적’지식인의 인식지형" 역사문화연구소 (50) : 39-76, 2014

      67 유선영, "답례로서 연예: 1920년대 문화적 민족주의의 연예"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2 (22): 112-166, 2014

      68 "녹성"

      69 권명아, "내선일체 이념의 균열로서 ‘언어’― 전시 동원 체제하 국책의 ‘이념’과 현실 언어 공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59) : 73-109, 2007

      70 이소영, "김해송의 대중가요에 나타나는 재즈 양식" (9) : 2012

      71 성기완, "김해송과 조선 스윙 장단" (9) : 2012

      72 이준희, "김해송 무대음악 활동 초탐" (9) : 2012

      73 홍선영, "기쿠치 간(菊池寛)과 조선예술상 ―제국의 예술제도와 히에라르키―" 한국일본문화학회 (50) : 235-254, 2011

      74 이경민, "기생사진과 조선향토색의 유통" 2005

      75 최성실, "근대 일본에서 조선문화 유행과 문화주체 분열의 양가성 : 최승희 춤 연구의 문화론적 접근을 위하여" 한국학연구원 (45) : 231-260, 2011

      76 "국민보"

      77 "読売新聞"

      78 "歌劇"

      79 "東寶歌劇 脚本集"

      80 "東寶"

      81 "朝鮮演劇文化協會資料"

      82 村山知義, "朝鮮樂劇批判" 桜占書店 1947

      83 "朝鮮樂劇團 第1輯"

      84 "朝日新聞"

      85 "映畵旬報"

      86 "日本映畵"

      87 "キネマ旬報"

      88 양지영, "‘조선색’이라는 방법과 ‘조선미’라는 사상-식민지기 조선문화 만들기 운동과 야나기 무네요시" 아시아문화연구소 35 : 109-130, 2014

      89 서재길, "‘제국’의 전파 네트워크와 식민지 조선의 자기 표상- 1930년대 중반 조선방송협회의 ‘전국’중계방송을중심으로" (5) : 2011

      90 이화진, "‘노스탤지어’의 흥행사" 대중서사학회 (17) : 43-72, 2007

      91 백현미, "‘국민적 오락’과 ‘민족적 특수성’-일제 말기 악극의 경우-" 한국공연문화학회 11 (11): 157-188, 2005

      92 Tansman, Alan, "The Culture of Japanese Fascism" Duke University Press 2009

      93 Robertson, Jennifer, "Takarazuka: Sexual Politics and Popular Culture in Modern, Japa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94 Kim, Chung-Kang, "South Korean Golden-Age Comedy Film: Industry, Genre, and Popular Culture" University of Illinois 2010

      95 Fujitani, Takashi, "Race for Empire: Koreans as Japanese and Japanese as Americans during World War II"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3

      96 Atkins, E. Taylor, "Primitive Selves: Koreana in the Japanese Colonial Gaze, 1910-194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

      97 Said, Edward W., "Orentalism" Vintage Books 1979

      98 Hughes, Theodore, "Literature and Film in Cold War South Korea : Freedom’s Frontier"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3

      99 Maliangkay, Roland, "Koreans Performing for Foreign Troops: The Occidentalism of the C.M.C. and K.P.K" 2011

      100 Miriam Silverberg, "Erotic Grotesque Nonsense: The Mass Culture of Japanese Modern Tim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7

      101 Said, Edward W., "Culture and Imperialism" Vintage Books 1994

      102 Ching Leo T.S., "Becoming “Japaneses”: Colonial Taiwan and the Poliltics of Identity Form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1

      103 Yamanashi, Mikiko, "A History of Takarazuka Revue since 1914: Modernity, Girl’s Culture, Japan Pop" Global Oriental 2012

      104 김태희, "1950~1960년대 박구(朴九)의 영화계 활동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43) : 201-226, 2014

      105 이준희, "1945년 이전 일본대중가요 음반에 나타난 조선인의 활동" (7) : 2011

      106 김연갑, "1940년대 전반기 악극 〈아리랑〉 연구" 남북문화예술학회 (6) : 9-62, 2010

      107 김호연, "1930년대 서울주민의 문화수용에 관한 연구: 부민관을 중심으로" (15) : 2000

      108 한만수, "1930년대 ‘향토’의 발견과 검열 우회"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0 (10): 379-402, 2006

      109 손민정, "1920년대 중반~1930년대 초반의 악극 연구: 여성 악극인의 근대성을 중심으로" 음악연구소 17 (17): 81-100,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11-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연구소 ->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East Asian Cultures
      KCI등재후보
      2009-11-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논집 -> 동아시아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Journal of East Aisan Cultures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1 0.78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