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의 중국 서적유입 양상과 그 의미 -서반(序班)과 유리창(琉璃廠)의 존재를 중심으로- = The way of importing Chinese books and its Meaning in Chosun Dynasty -In terms of SeoBan and Liulichang`s ro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702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중국의 서반(序班)과 유리창을 중심으로, 조선의 중국 서적 유입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특별히 중국의 서적 유통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서반의 궤적을 따라가며 중국 ...

      본 논문은 중국의 서반(序班)과 유리창을 중심으로, 조선의 중국 서적 유입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특별히 중국의 서적 유통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서반의 궤적을 따라가며 중국 서적 구입의 변모 과정을 살펴보았다. 서반은 본래 외국의 사신을 접대하는 일종의 접빈관(接賓官)으로서 서적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 청나라가 들어선 이후에야 서반은 서적 거래상으로서의 모습을 갖게 되었다. 서반은 조선의 사신들과 단독으로 서적 거래를 할 수 있었다. 서반은 이 권한을 이용해 가격을 마음대로 올려 폭리를 취하곤 했다. 또한 조선 사신들이 다른 경로로 서적을 구입하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방해했다. 그러다가 18세기 중후반 북경 유리창의 등장은 조선의 중국 서적 유입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조선 사신들이 점차 자유롭게 관사 밖으로 드나 들게 되고 유리창이 번성하면서 서반의 통제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 유리창에서의 서책 구매는 비교적 자유롭게 이루어졌으며 사신들은 원하는 책을 마음껏 살 수 있었다. 서반의 상행위는 조선 사신들에게 부정적으로 비춰졌지만, 금서를 거래하는 데에 서반은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한편으로 조선 사신들이 원하는 책을 구입하기까지에는, 서반과 유리창 서점의 존재뿐만 아니라 이들 출신이 출판문화의 본거지인 강남이라 는 점, 대운하를 이용해 강남에서 북경으로 올라오는 서선(書船)의 존재까지 있음을 밝혔다. 아울러 유리창에서 구입 서적의 종류와 수량에 대한 기록이 별로 없다는 점에 주목하여 금서(禁書)의 문제를 살피고, 서적 구입이 갖는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중국 책 유입에는 다양한 동기가 있었으며, 이러한 모습들이 조선 사회의 물줄기를 바꾸는 거대한 역할을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find the way of importing Chinese books to Chosun, and its Meaning in terms of SeoBan and Liulichang. Especially it traces SeoBan, the place of playing important role in distributing Chinese books, and looks into changing ways of impo...

      This study is to find the way of importing Chinese books to Chosun, and its Meaning in terms of SeoBan and Liulichang. Especially it traces SeoBan, the place of playing important role in distributing Chinese books, and looks into changing ways of importing Chinese books. SeoBan was originally like guest house for VIPs from abroad, something different place from books concern. Just after Cheong Dynasty in China had began, SeoBan became the place of distributing books. In SeoBan, they could officially and directly trade with Chosun`s diplomats who wanted importing Chinese books. The traders of SeoBan took the unreasonable high profits and prices by their only right of distribution. They blocked the other ways of exporting Chinese books through or by Chosun`s diplomats. Since the middle and the latter of 18thCentury, Liulichang of Peking made a bigchange in importing Chinese books to Chosun. Chosun`s diplomats could come to China more freely and Liulichang became popular for them, SeoBan became losing the controlling power of books distribution. In Lilichang, they traded quite freely, Chosun`s diplomats could purchase any books as they wanted. Trade and purchase inSeoBan was negative for Chosun`s diplomats, but SeoBan was a good place where they could buy the banned Chinese books. Meanwhile, in a sense that Chosun`s diplomats bought Chinese books, SeoBan and Liulichang had serious sense and role, all the more originally those Chinese distributors came from the southern parts of China, the main center of Chinese publications and distribution, they could transport the books by the special vessels of books, through The Great Channel, from the southern parts of China to Peking. This study found this unique vessel of book distribution. And considering that there is no record about the kinds of imported books and the quantity of them, it traces the matter of banned books and the meaning of importing the books at that time. There are various kinds of motivation in importing Chinese books, and this even provided changing the main stream of Chosun Dynas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명관, "책벌레들, 조선을 만들다" 푸른역사 2007

      2 이항복, "조천록"

      3 허 봉, "조천기(朝天記)"

      4 김영진, "조선후기 중국사행과 서책문화, in 연행의 사회사" 경기문화재단 2005

      5 이재정, "조선출판주식회사" 안티쿠스 2008

      6 강명관, "조선시대 문학예술의 생성공간" 소명출판 1999

      7 이유원, "임하필기"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9

      8 이기지, "일암연기(一菴燕記), in 연행록선집보유 상"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8

      9 2홍창한, "연행일기"

      10 이재학, "연행일기"

      1 강명관, "책벌레들, 조선을 만들다" 푸른역사 2007

      2 이항복, "조천록"

      3 허 봉, "조천기(朝天記)"

      4 김영진, "조선후기 중국사행과 서책문화, in 연행의 사회사" 경기문화재단 2005

      5 이재정, "조선출판주식회사" 안티쿠스 2008

      6 강명관, "조선시대 문학예술의 생성공간" 소명출판 1999

      7 이유원, "임하필기"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9

      8 이기지, "일암연기(一菴燕記), in 연행록선집보유 상"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8

      9 2홍창한, "연행일기"

      10 이재학, "연행일기"

      11 신익철, "연행록을 통해본 18세기 전반 한중 서적교류의 양상" 태동고전연구소 25 (25): 227-264, 2009

      12 김정중, "연행록, in 국역연행록선집 Ⅵ" 국역연행록선집

      13 이 압, "연행기사" 민족문화추진회

      14 서호수, "연행기" 민족문화추진회

      15 김경선, "연원직지, in 국역연행록선집" 국역연행록선집

      16 유득공, "연대재유록" 민족문화추진회

      17 벤저민 엘먼, "성리학에서 고증학으로" 예문서원 2004

      18 강호부, "상봉록, in 연행록선집보유 상" 연행록선집보유 2008

      19 박수밀, "북경 유리창(琉璃廠)과 지식인 교류의 세 층위" 한국언어문화학회 43 (43): 51-80, 2010

      20 김진수, "벽로집" 2007

      21 강명관, "문체와 국가장치,안쪽과 바깥쪽" 소명출판 2007

      22 서유문, "무오연행록" 민족문화추진회

      23 이기경, "목산고(木山藁)" 민창문화사 1994

      24 오금성, "명청시대 사회경제사" 이산 2007

      25 박계화, "명청대 출판문화" 한국학술정보(주)이담북스 2009

      26 성우증, "명산연시록(茗山燕詩錄)" 연행록전집

      27 노경희, "명말 강남의 출판문화" 소명출판 2007

      28 김창업, "노가재연행일기" 민족문화추진회

      29 이덕무, "국역청장관전서" 국역청장관전서

      30 홍대용, "국역담헌서" 민족문화추진회

      31 이재학, "계축연행시(癸丑燕行詩)"

      32 이의현, "경자연행잡지" 민족문화추진회

      33 부유섭, "건륭 연간 연행록을 통해 본 중국 도서 유입에 대하여"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4 (34): 157-190, 2011

      34 부유섭, "燕行錄을 통해 본 康雍 年間 中國 書籍 유입에 대하여" 우리한문학회 22 : 269-306, 2010

      35 王振忠, "朝鲜燕行使者与十八世纪北京的琉璃厂"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7) : 39-87, 2010

      36 김영죽, "19세기 중인층 지식인의 해외체험 일고"

      37 진재교, "18·19세기 동아시아와 知識·情報의 메신저, 譯官" 한국한문학회 (47) : 105-138, 2011

      38 홍선표, "17․18세기 조선의 외국서적 수용과 독서문화" 혜안 2006

      39 홍선표, "17․18세기 외국서적 수용과 독서실태" 혜안 2006

      40 이민희, "16-19세기 서적중개상과 소설 서적 유통관계 연구" 역락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11-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연구소 ->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East Asian Cultures
      KCI등재후보
      2009-11-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논집 -> 동아시아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Journal of East Aisan Cultures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1 0.78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