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경 유리창의 표상과문화사적 의미 -시사(市肆)를 중심으로- = The Scenery of Market Stores in Beijing Liulichang and Yeonhangsa`s View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청의 대표 상업공간으로서 북경 유리창이 갖는 문화사적 의미를 밝히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행사들이 기술한 유리창 시사(市肆)의 풍경을 정리하고, 그 속에 투영된 공...

      본고는 청의 대표 상업공간으로서 북경 유리창이 갖는 문화사적 의미를 밝히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행사들이 기술한 유리창 시사(市肆)의 풍경을 정리하고, 그 속에 투영된 공통된 시선을 밝혀 유리창을 매개로 이루어진 한중 문화 교류의 물적 토대와 심리적 기저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나아가 유리창 시사에서 실제 수입된 주요 물품과 그것으로 인해 야기된 조선후기 문화의 변화까지 고찰함으로써, 상업공간으로서 유리창이 갖는 실질적인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한중 문화 교류사에서 유리창이 차지하는 의미는 매우 크다. 특히 유리창 서점에 서 판매된 서적과 서점을 매개로 이루어진 지식인 교류가 조선후기 문화사와 지성사에 적잖은 영향을 미쳤던 만큼, 그 의미는 적지 않다고 하겠다. 그런데 서점가로 잘 알려진 유리창은 북경 제1의 번화가이자 시장이기도 했다. 유리창 동서 거리에는 서점뿐 아니라 서화와 골동을 파는 가게와 안경을 비롯한 서양의 기물을 파는 상점 등이 즐비했고, 술집과 찻집, 은전포와 전당포 등으로 성시를 이루었다. 천하의 다양한 물건들이 다 갖추어져 있고 화려한 유리창 시사는 연행사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고, 페르시아 시장으로 이미지화되어 결국에는 중국의 부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인식되기에 이른다. 물론 사치와 비실용이란 이름으로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유리창은 긍정의 대상으로 자연스러운 물품 구매를 자극한다. 그 결과 연행사들은 이곳 유리창에서 책 외에도 서화와 골동, 안경과 자명종 등 다양한 물품들을 구매했으며, 이렇게 구매된 상품들은 조선에 유입된 후 문화뿐 아니라 생활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야기했다. 그 중에서도 안경은 사대부들의 독서생활뿐 아니라 천문과 역법, 지리와 군사 등의 제 영역에서 다기한 변화를 이끌어내었고, 결국에는 대상에 대한 근대적 인식을 싹트게 하는 데 일조하게 된다. 이렇듯 청과 서양의 기물을 구매할 수 있는 대표 시장으로 기능했던 유리창은, 청과 서양의 문물을 바라보는 시선의 변화를 자극했을 뿐만 아니라 조선후기의 실질적인 문화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일조하게 된다. 한중 문화 교류사에서 유리창 시사가 차지하는 의미를 축소하거나 간과할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s purpose is to reveal the cultural meanings of Beijing Liulichang(琉璃廠) as major commercial space in Ching. For the purpose, this paper organized the scenery of market stores in Liulichang written by Yeonhangsa(the representatives). R...

      This paper`s purpose is to reveal the cultural meanings of Beijing Liulichang(琉璃廠) as major commercial space in Ching. For the purpose, this paper organized the scenery of market stores in Liulichang written by Yeonhangsa(the representatives). Revealing common views projected in those, it researched what were material and psychological bases of Chosun and Ching`s cultural exchanges. In addition, as it considered main goods imported from the stores and cultural changes arisen from them in the late of Chosun, draw practical meanings of Liulichang as a commercial space. The meanings of Liulichang in the history of Chosun and Ching`s cultural exchanges are very important. In particular, as intellectual`s exchanges formed by media like books and bookstores in Liulichang influenced the history of culture and intelligence in the late Chosun, the meanings are significant. By the way, Liulichang well known as the street of bookstores also was the first main street of Beijing. The street from east to west consisted of bookstores, stores selling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tiques, teahouses, public houses, pawnshops and so on. Splendid stores in Liulichang preparing with various things from the world were enough attracted Yeonhangsa`s interests. They were become animage of a Persian market and were acknowledged as a symbol indicating wealth of Ching. Even though they were a critical subject as luxury and unpracticalness, in many case they, as positive subjects prompted natural buying things. As a result, Yeonhangsa purchased a variety of goods which wer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tiques, glasses, alarm clocks, besides books. They were imported to Chosun and brought changes of general life as well as culture. Glasses out of them draw various changes of astronomy, calendar, geography, army and reading life. Finally glasses helped to arise modern recognition against objects. Like this, Liulichang was an representative market which could purchase things from Ching and the Western, a space prompting to change of attention watching culture of Ching and a material base leading culture changes of the late Chosu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裕元, "林下筆記"

      2 이홍식, "조청 지식인의 우연한 만남과 사적 교류 - 이해응의『계산기정』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7) : 7-37, 2010

      3 이태호, "조선후기에 ‘카메라 옵스큐라’로 초상화를 그렸다-정조 시절 정약용의 증언과 이명기의 초상화법을 중심으로" 다산학술문화재단 (6) : 2005

      4 이장희, "조선후기 실학자의 역사인식과 문화이해의 근대적 성향"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8 : 1998

      5 원재연, "조선시대 학자들의 서양인식" 대구사학회 73 : 41-94, 2003

      6 임기중, "연행록전집 일본소장편 1~3"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1

      7 임기중, "연행록전집 1~100"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8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연행록선집보유 1~3"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8

      9 부유섭, "소문사설-조선의 실용지식 연구노트" 휴머니스트 2011

      10 이홍식, "북경 유리창의 공연예술 - 18~19세기 연행록을 중심으로 -" 한국한문학회 (47) : 593-622, 2011

      1 李裕元, "林下筆記"

      2 이홍식, "조청 지식인의 우연한 만남과 사적 교류 - 이해응의『계산기정』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7) : 7-37, 2010

      3 이태호, "조선후기에 ‘카메라 옵스큐라’로 초상화를 그렸다-정조 시절 정약용의 증언과 이명기의 초상화법을 중심으로" 다산학술문화재단 (6) : 2005

      4 이장희, "조선후기 실학자의 역사인식과 문화이해의 근대적 성향"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8 : 1998

      5 원재연, "조선시대 학자들의 서양인식" 대구사학회 73 : 41-94, 2003

      6 임기중, "연행록전집 일본소장편 1~3"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1

      7 임기중, "연행록전집 1~100"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8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연행록선집보유 1~3"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8

      9 부유섭, "소문사설-조선의 실용지식 연구노트" 휴머니스트 2011

      10 이홍식, "북경 유리창의 공연예술 - 18~19세기 연행록을 중심으로 -" 한국한문학회 (47) : 593-622, 2011

      11 이홍식, "박제가와 나빙의 예술 교유, in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태학사 2011

      12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어문학자료문학편해설 1~3" 태학사 2001

      13 민족문화추진회, "국역 연행록선집 1~8" 1976

      14 蔡之洪, "鳳巖集"

      15 黃胤錫, "頤齋遺稿"

      16 金聖鐸, "霽山集"

      17 朴準源, "錦石集"

      18 姜世晃, "豹菴遺稿"

      19 李玄逸, "葛菴集"

      20 丁若鏞, "與猶堂全書"

      21 李德懋, "耳目口心書"

      22 洪良浩, "耳溪集"

      23 申光洙, "石北集"

      24 김남기, "燕轅日錄에 나타난 歌舞樂과 演戱의 연행 양상" 국문학회 7 : 200-202, 2002

      25 丁範祖, "海左集"

      26 柳得恭, "泠齋集"

      27 權 萬, "江左集"

      28 李 瀷, "星湖僿說"

      29 李惟樟, "孤山集"

      30 吳宖黙, "叢瑣錄"

      31 박현규, "北京 琉璃廠 화폭과 한국 고문헌" 동방한문학회 (42) : 253-276, 2010

      32 홍기문, "元時에 수입된 眼鏡考, in 홍기문 조선문화론선집" 현대실학사 56-58, 1997

      33 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

      34 박영미, "19세기 조선인의 서구관 -서양 기물의 수용과 그 영향을 중심으로-" 근역한문학회 32 : 59-79, 2011

      35 김문식, "18세기 후반 서울 學人의 淸學認識과 淸 文物 도입론"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17 : 1994

      36 정 민,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휴머니스트 221-251, 2007

      37 구만옥, "16~17세기 朝鮮 知識人의 西洋 이해와 世界觀의 변화" 국학연구원 (122) : 1-51,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11-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연구소 ->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East Asian Cultures
      KCI등재후보
      2009-11-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논집 -> 동아시아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Journal of East Aisan Cultures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1 0.78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