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중국 조선족 한 여성 구술자의 삶과 가족사를 통해 본 디아스포라 애환 -생애 내러티브(Life Narrative)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870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everyday lives of Korean diaspora through joys and sorrows of them. For this, I gave attention to the life and family history of a female Chinese-Korean in China. A diaspora itinerary of her three family genera...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everyday lives of Korean diaspora through joys and sorrows of them. For this, I gave attention to the life and family history of a female Chinese-Korean in China. A diaspora itinerary of her three family generation contains all the migration history and joys and sorrows of Chinese-Korean in China(Joseon-jok). The previous generation emigrated to China on account of poverty, colonial coercion and private reasons etc., but could not returned to the homeland. Although A few of them came in their hometown to Korea by a relative invitation, they were suffered of a break of relation with a near relative for what reason an interest like her father`s case. Her all five brothers and sisters have been in Korea to labor after 1990`s, but having felt pain on account of family breakdown by divorce, death etc.. This article is worth to make allowance for understanding and policy-making about multi-culture and diaspora, seeing through joys and sorrows of Korean diaspora by giving attention to the life and family history of a female Chinese-Korean in Chin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채문, "흑룡강성 오상시 조선족 노인들의 생활사" 책과 세계 2013

      2 지연옥, "한국혼이 유랑하는 땅, 사할린" 샘터사 28 (28): 56-91, 1997

      3 장윤기, "한 많은 섬 사할린" 그루 1998

      4 이춘복, "파란과 곡절 그리고 희망-중국 조선족 출신 결혼 이민자의 일대기-" 경진 2010

      5 박경용, "코리안 디아스포라 생활사 연구의 구술사 활용방법 - 인류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소 (50) : 255-295, 2012

      6 이현철, "칭다오 조선족 9명 이야기-신흥정착지 칭다오 조선족, 그들의 삶 그리고 내러티브(Narrative)-" 책과 세계 2003

      7 장윤수, "중국과 일본 거주 한인의 이주역사 재고찰" 3 (3): 63-80, 2009

      8 국립민속박물관, "중국 흑룡강성 한인동포의 생활문화" 1998

      9 박경용, "중국 칭다오 조선족 박정옥의 구술생애사" 책과 세계 2013

      10 권태환, "중국 조선족 사회의 변화 : 1990년 이후를 중심으로" 서울대출판부 2006

      1 이채문, "흑룡강성 오상시 조선족 노인들의 생활사" 책과 세계 2013

      2 지연옥, "한국혼이 유랑하는 땅, 사할린" 샘터사 28 (28): 56-91, 1997

      3 장윤기, "한 많은 섬 사할린" 그루 1998

      4 이춘복, "파란과 곡절 그리고 희망-중국 조선족 출신 결혼 이민자의 일대기-" 경진 2010

      5 박경용, "코리안 디아스포라 생활사 연구의 구술사 활용방법 - 인류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소 (50) : 255-295, 2012

      6 이현철, "칭다오 조선족 9명 이야기-신흥정착지 칭다오 조선족, 그들의 삶 그리고 내러티브(Narrative)-" 책과 세계 2003

      7 장윤수, "중국과 일본 거주 한인의 이주역사 재고찰" 3 (3): 63-80, 2009

      8 국립민속박물관, "중국 흑룡강성 한인동포의 생활문화" 1998

      9 박경용, "중국 칭다오 조선족 박정옥의 구술생애사" 책과 세계 2013

      10 권태환, "중국 조선족 사회의 변화 : 1990년 이후를 중심으로" 서울대출판부 2006

      11 정신철, "중국 조선족 사회의 변천과 전망" 료녕민족출판사 1999

      12 국립민속박물관, "중국 요녕성 한인동포의 생활문화" 1997

      13 국립민속박물관, "중국 길림성 한인동포의 생활문화" 1996

      14 강위원, "조선족의 문화를 찾아서" 역사공간 2008

      15 예동근, "조선족3세들의 서울이야기" 백산서당 2011

      16 조현미, "조선족 엘리트 여성, 심혜숙의 생애" 책과 세계 2012

      17 권태환, "조선족 노동자집단의 형성-심층면접 자료의 분석, In 중국 조선족 사회의 변화-1990년 이후를 중심으로" 서울대출판부 145-175, 2006

      18 신의기, "재중 동포에 대한 범죄와 대책"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4

      19 유철인, "이주역사와 정착배경, In 중국 요녕성 한인동포의 생활문화" 국립민속박물관 49-79, 1997

      20 임계순, "우리에게 다가온 조선족은 누구인가" 현암사 2003

      21 이채문, "연변 조선족 구술생활사" 책과 세계 2013

      22 쏘노다 후사코, "슬픔의 섬 사할린의 한국인 : 전후책임의 배경"

      23 박광성, "세계화시대 중국 조선족의 초국적 이동과 사회변화" 한국학술정보(주) 2008

      24 권태환, "세계 속의 한민족 : 중국" 통일원 1996

      25 유철인, "생애사와 신세타령-자료와 텍스트의 문제-" 22 : 301-308, 1991

      26 함한희, "새로운 역사쓰기를 위한 구술사 연구방법론" 아르케 2006

      27 최길성, "사할린, 流刑과 棄民의 땅" 민속원 2003

      28 박경하, "사할린 한인 공노원 구술생애사" 도서출판 경진 2010

      29 여필순, "물리학자 이원백 교수를 통해서 본 조선족 지식층의 삶" 책과 세계 2013

      30 윤택림,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론" 아르케 2005

      31 조현미, "두 한인 디아스포라 여성의 삶과 정체성" 일본어문학회 (60) : 459-484, 2013

      32 곽승지, "동북아시대의 연변과 조선족" 아이필드 2008

      33 이채문, "남부 러시아 로스토프와 볼고그라드 고려인 생활사" 책과 세계 2013

      34 "구술자료⋅3-02LH25022013박○옥002"

      35 "구술자료⋅3-02LH25022013박○옥001"

      36 "구술자료⋅3-02LH23022013박○옥001"

      37 "구술자료⋅3-02LH21022013박○옥004"

      38 "구술자료⋅3-02LH21022013박○옥003"

      39 "구술자료⋅3-02LH21022013박○옥002"

      40 "구술자료⋅3-02LH21022013박○옥001"

      41 "구술자료⋅3-02LH20022013박○옥002"

      42 "구술자료⋅3-02LH20022013박○옥001"

      43 문정환, "구술생애사로 본 해방 전후 어느 조선족의 이주와 정착과정" (창간) : 111-132, 2012

      44 이성일, "고향, 민족 그리고 고국, In 조선족 3세들의 서울 이야기" 백산서당 63-85, 2011

      45 이광규, "격동기의 중국 조선족" 백산서당 2002

      46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 "가까운 옛날 : 20세기민중생활사의 기록과 해석"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6-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북한학연구소 -> 다문화평화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of North Koreanology -> Multiculture & Peace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5 1.415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