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도 대정읍성(大靜邑城)의 지리적 환경 고찰 = A Study on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of DaeJeong Eupseong(Fortress) in Jeju Isl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871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도 대정읍성의 지리적 환경 고찰을 목적으로 삼고, 대정읍성의 자연 및 인문환경에 대한 검토는 물론, 대정읍성의 입지조건과 지역적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지리학적 ...

      본 연구는 제주도 대정읍성의 지리적 환경 고찰을 목적으로 삼고, 대정읍성의 자연 및 인문환경에 대한 검토는 물론, 대정읍성의 입지조건과 지역적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지리학적 측면에서 고려할 때, 대정읍성은 다음과 같은 사회 교육적 중요성과 자원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첫째로, 제주도 대정읍성은 시간적 의미와 배경을 반영한 경관적 요소이기 때문에 제주도 남서부 지역의 소중한 역사·문화자원으로 그 존재적 가치를 높게 평가할 수 있다. 둘째로, 대정읍성은 장소적 중요성에서 오는 의미체로서 중요한 교육적 대상이다. 셋째로, 대정읍성은 과거 대정현 지역의 지역특성과 그 이후의 지역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상징적이고 가시적인 학습대상이다. 넷째로, 특히 인문 지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대정읍성은 과거 대정현 주민들의 공동체 정신을 느끼고, 마을단위의 생활문화를 접할 수 있는 학습대상이다. 다섯째로, 대정읍성은 동시대에 축조·활용되었던 주변지역의 방어 및 통신시설과 연계하여 학습코스로 개발한다면, 청소년들에게는 조선시대 제주의 역사와 지리적 환경의 이용에 대한 관계성을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다. 여섯째로, 대정읍성은 제주도 남서부 지역에 위치하는 선적(線的) 문화유산이자 면적(面的) 문화유산으로서 학술적·관광적 가치가 높은 지역자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of DaeJeong Eupseong(Fortress) in Jeju island, not only including the reviews of both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 but also provides analysis on the regional character an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of DaeJeong Eupseong(Fortress) in Jeju island, not only including the reviews of both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 but also provides analysis on the regional character and the conditions of the location. In respect to its geographical aspects, DaeJeong Eupseong is meaningful and valuable in social education and in terms of resources as the followings. First, Jeju`s DaeJeong Eupseong is highly valuable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in Jeju`s southwestern area since its reflects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ime. Secondly, because of its locational importance, Jeju`s DaeJeong Eupseong plays as a meaningful object in education. Thirdly, DaeJeong Eupseong is a symbolic and visual object to study since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DaeJeongHyun(大靜縣) in the past and also the changes after the period. Fourthly, especially from the human geographical point of view, DaeJeong Eupseong presents the community spirit of DaeJeongHyun villagers in the past and introduces culture of the village. Fifthly, if a training compound is developed including DaeJeong Eupseong in accordance with the fortifications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used at that time, it can serve a fundamental role to teenagers in helping them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y and geographical environmental usage in Joseon dynasty. Sixthly, DaeJeong Eupseong has great academic and touristic value since it is regarded as both linear and spatial cultural heritage, located in the southwest of Jeju islan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정보, "한국읍성의 연구-충남지방을 중심으로-" 학연문화사 1995

      2 김오순, "탐라순력도 산책" 제주문화 2002

      3 金尙憲, "탐라문헌집" 제주도교육위원회 1976

      4 전종한, "촌락 공간의 확대과정에 관한 연구-1900년 이전의 나주 지방을 중심으로 -" 한국교원대학교 1993

      5 李益泰, "지영록" 제주문화원 1997

      6 제주도, "제주의 습지"

      7 제주도, "제주의 방어유적"

      8 서귀포시, "제27회 통계연보" 서귀포시 2008

      9 김덕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0 윤성희, "읍취락 형태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1993

      1 심정보, "한국읍성의 연구-충남지방을 중심으로-" 학연문화사 1995

      2 김오순, "탐라순력도 산책" 제주문화 2002

      3 金尙憲, "탐라문헌집" 제주도교육위원회 1976

      4 전종한, "촌락 공간의 확대과정에 관한 연구-1900년 이전의 나주 지방을 중심으로 -" 한국교원대학교 1993

      5 李益泰, "지영록" 제주문화원 1997

      6 제주도, "제주의 습지"

      7 제주도, "제주의 방어유적"

      8 서귀포시, "제27회 통계연보" 서귀포시 2008

      9 김덕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0 윤성희, "읍취락 형태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1993

      11 한국학문헌연구소, "읍지 大. 제주도(한국지리지총서)" 아세아문화사 1993

      12 강창룡, "역주 탐라지" 도서출판 푸른역사 2002

      13 김덕현, "역사 도시 진주의 경관 해독"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3 (13): 63-80, 2001

      14 김경추, "양양 읍성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 44 (44): 267-279, 2010

      15 이병희, "수원의 역사지리적 고찰" 고려대학교 1970

      16 李衡祥, "속 탐라록" 제주문화방송 1994

      17 김경추, "삼척읍성에 관한 연구 - 입지와 공간구성을 중심으로 -" 국토지리학회 40 (40): 407-418, 2006

      18 최창락, "부여의 역사지리적 고찰" 공주사범대학교 1989

      19 박기화, "모슬포·한림도폭 지질보고서(1 : 50,000)" 2000

      20 제주문화예술재단, "대정읍성 학술조사 보고서" 제주문화예술재단 2006

      21 김일우, "대정읍과 안덕면 일대의 마을형성과 그 연혁(제주문화예술재단 문화재연구소, 안덕~대정간 국도 12호선 확·포장공사 구간 내문화재 시굴조사 간략보고서)" 제주문화예술재단 문화재연구소 12-34, 2004

      22 전종한, "내포지역 읍성 원형과 읍치경관의 근대적 변형 - 읍성취락의 사회공간적 재편과 근대화 -" 대한지리학회 39 (39): 321-343, 2004

      23 이기봉, "낙안읍성의 입지와 구조 그리고 경관-읍치에 구현된 조선적 권위 상징의 전형을 찾아서" 한국지역지리학회 14 (14): 68-83, 2008

      24 오금석, "근대적도시경관의형성과정-조선시대‘목’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1994

      25 이기석, "구읍취락에 관한 연구 : 경기지방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3 : 31-44, 1968

      26 장길수, "공주의 역사지리적 고찰" 공주사범대학교 1989

      27 주경식, "공주읍의내부구조" 대한지리학회 27 : 1-14, 1983

      28 임덕순, "고청주의공간적배치와상징성" 대한지리학회 33 (33): 525-540, 1998

      29 김형국, "고장의 문화판촉-세계화시대에 지방이 살 길-" 학고재 2002

      30 김경추, "강릉읍성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 7 (7): 71-84, 2004

      31 정광중,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의 분석을 통한 제주도 마을의 구성실태와 형성 배경" 제주교대 초등교육연구소 6 : 105-138, 2001

      32 "http://www.seogwipo.go.kr"

      33 "http://jejuyubae.com"

      34 Ralph, E, "Place and Placelessness" Pion Ltd 1976

      35 제주특별자치도, "2009년도 주민등록 인구통계보고서" 제주특별자치도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4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