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通信使 受贈 日本 金屛風 考察 = Revisiting the Japanese Folding Screens Presented by the Tokugawa Shogunate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ollec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Imjin War, also known as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1592–1598), the Tokugawa shogunate presented to twelve missions of Tongsinsa (通信使, Joseon diplomatic delegation to Japan) gold-leafed folding screens, which were appended ...

      After the Imjin War, also known as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1592–1598), the Tokugawa shogunate presented to twelve missions of Tongsinsa (通信使, Joseon diplomatic delegation to Japan) gold-leafed folding screens, which were appended to the diplomatic letter. Japanese academia refers to these screens as "folding screens presented to the Joseon court as a gift" (贈朝鮮王室屛風) or zōchō byōbu (贈朝屛風) for short. The Joseon court received 20 pairs of folding screens upon each mission from the fourth through the eleventh, eventually totaling more than 200 works. However, only three works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have been identified as this particular type of folding screen–a pair of Folding Screen with Image of Wild Geese and Lotus (芙蓉雁圖屛風) and one Folding Screen of with Image of Peonies (牡丹圖屛風). This paper determines that the Japanese folding screen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ollection– Tadanobu (忠信) and Warriormonks at Yoshino (吉野) and Kasuga Festival (春日祭) (Duk 2152), and Chinzei Hachirō (鎮西八郎) (Duk 2119)–are in fact among those presented to Joseon court by the Tokugawa shogunate.
      Tadanobu and Warriormonks at Yoshino and Kasuga Festival folding screens and the Chinzei Hachirō folding screen became part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ollection early on in 1909 through the means of transfer and acquisition, respectively. Tadanobu and Kasuga were transferred from the Supplies Department (用度課), which was an organ likely affiliated with the Imperial Museum of the Korean Empire, the first modern museum in Korea.
      Tadanobu and Warriormonks at Yoshino and Kasuga Festival folding screens were gifted to Gapsin sahaeng, meaning the eleventh diplomatic mission dispatched in 1764. Tadanobu and Warriormonks at Yoshino folding screen painted by Kanō Tanrin (狩野探林, 1732–1777) depicts an episode from the life of the loyal subject Satō Tadanobu (佐藤忠信) as he risked his life to save his lord, Minamoto no Yoshitsune (源義經, 1159–1189), from a group of monk-soldiers at Yoshino (吉野). As emphasized in this screen, the theme of loyalty corresponded to a remark made by Arai Hakuseki (新井白石, 1657–1725) to the eighth diplomatic mission in 1711: "painting is the sole means to disprove that Japanese merely pursue a policy of militarism." In other words, the Tokugawa shogunate sought to convey particular intentions to Joseon by carefully choosing the motifs of the folding screens.
      Painted by Kanō Dōju (狩野洞壽, ?–1777), the Kasuga Festival folding screen portrays a parade (お渡り式, owatari shiki) during the festival of the Kasuga Ōmiya and Wakamiya Shrine (春日大宮若宮御祭禮, Kasuga Ōmiya Wakamiya gosairei) held at Kasuga Shrine and Kōfukuji (興福寺), a historic temple in Nara (奈良). During the owatari shiki parade, the arts of dengaku (田樂, ritual music and dancing performance) and isaseuma (將馬, pulling a horse offered by feudal noble family), both of which are dedicated to gods, are performed. Moreover, keiba (競馬, horse racing) and nodachi (野太刀, carrying a large sword) events intended to show off the bravery of warriors were included in the parade. Although the Joseon populace did not know about such traditional Japanese arts, the Tokugawa shogunate seems to have been attempting to boast of their deep-rooted ritual traditions and advanced level of culture through the Kasuga Festival folding screen.
      Tadanobu and Warriormonks at Yoshino and Kasuga Festival folding screens presented to the eleventh diplomatic mission in 1764 and the Folding Screen of with Image of Peonies owned by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ll bear a signature mark that contains the Chinese character "圖 (drawing)" and the pen name of the artist, as well as the artist’s name seal. Such features only appear in the folding screens given to the eleventh diplomatic mission in 1764, and these three screens carry signatures written in this manner reserved for the Tokugawa shogunate. Thus, it can be observed that the Tokugawa shogunate meticulously oversaw how to write the artist’s signature, how to place the backing paper, and even how to mount these paintings.
      Kanō Ryūsetsu (狩野柳雪, 1647–1712) painted the Chinzei Hachirō folding screen that the Tokugawa shogunate gifted to the Joseon court during Sinmyo gihaeng, the eighth diplomatic mission in 1711. This screen portrays an old fable in which Minamoto no Tametomo (源為朝, 1139–1170?), an uncle of Kamakura shogunate founder Minamoto no Yoritomo (源頼朝, 1147–1199), subjugated the Kyushu area to which he had been exiled and earned the nickname "Chinzei Hachirō (鎮西八郎, The Firstborn of the God of War in Kyushu)." The Chinzei Hachirō screen includes an explanatory note recounting the theme of the painting. Arai Hakuseki ordered the addition of this note in order to allow Joseon people to understand the story. Such an addition was made exclusively in the case of the eighth mission in 1711. The original explanatory note for the Chinzei Hachirō screen is now lost, and only a slight vestige of the note remains. Nonetheless, the Chinzei Hachirō screen is significant as the sole extant example demonstrating an attempt by the Tokugawa shogunate to assist Joseon viewers in understanding its motif.
      Japanese folding screens presented to the Joseon court provided a medium for transmitting the cultural and political policies of the Tokugawa shogunate to Joseon. By carefully choosing the motifs for the screens, the Tokugawa shogunate intended to demonstrate that, like Joseon, Japan could fully appreciate Confucian values and enjoyed a long history and sophisticated indigenous culture. The rediscovery of Tadanobu and Warriormonks at Yoshino, Kasuga Festival, and Chinzei Hachirō folding screens as gifts to the Joseon court will provide a new perspective for the study of the Joseon Tongsinsa, which has previously been focused on its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임진왜란 이후 총 열두 차례에 걸쳐 파견된 朝鮮의 通信使는 에도 막부[江戶幕府, 1603~1868]로부터 國書에 대한 別幅 중 하나로 金屛風을 증정 받았다. 이 일군의 금병풍을 일본 학계에서는 ‘...

      임진왜란 이후 총 열두 차례에 걸쳐 파견된 朝鮮의 通信使는 에도 막부[江戶幕府, 1603~1868]로부터 國書에 대한 別幅 중 하나로 金屛風을 증정 받았다. 이 일군의 금병풍을 일본 학계에서는 ‘贈朝鮮王室屛風’, 줄여서 ‘贈朝屛風’이라 부른다. 통신사를 통해 조선국왕에게 증정된 금병풍은 그 전체 규모가 총 이백여 점에 달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확인된 작품은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芙蓉雁圖屛風> 한 쌍과 <牡丹圖屛風> 한 점 등 총 세 점뿐이다. 본고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일본병풍인 덕수2152 두 점과 덕수2119 한 점이 에도 막부가 증정한 금병풍이라는 점을 소개하고자 한다. <忠信吉野軍圖屛風>(덕수 2152-2)과 <春日祭圖屛風>(덕수 2152-1)은 제11차 갑신사행(1764) 때 조선왕실에 증정된 병풍이다. 가노 단린[狩野探林](1732~1777)이 그린 <忠信吉野軍圖屛風>은 주군 요시쓰네를 요시노의 승병 무리들로부터 구하기 위해 죽음도 불사한 충신 사토 다다노부의 일화를 그렸다. ‘忠’이라는 유교적 가치관을 강조하는 이 병풍의 화제는 제8차 신묘사행(1711) 당시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1657~1725)가 “일본인들이 武만 숭상하는 무리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줄 수단은 회화밖에 없다.”라고 언급한 것에 부합한다.
      가노 도주[狩野洞壽](?~1777)가 그린 <春日祭圖屛風>은 나라[奈良]의 유서 깊은 사찰인 고후쿠지[興福寺]와 가스가 신사[春日大社]에서 거행하는 ‘가스가 오미야 와카미야 제례[春日大宮若宮御祭禮]’의 ‘오와타리시키[お渡り式]’ 행사를 묘사했다. 이 행렬은 신에게 바치는 예능인 덴가쿠[田樂]와 이사세우마[將馬], 무사들의 용맹함을 과시하는 야부사메[流鏑馬], 게이바[競馬]와 노다치[野太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1차 갑신사행 때 조선왕실에 증정된 <忠信吉野軍圖屛風>과 <春日祭圖屛風>, 그리고 가노 바이쇼[狩野梅笑](?~1808)필 <牡丹圖屛風>(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은 화가의 號와 ‘圖’를 결합한 서명, 그리고 화가의 이름을 새긴 인장이 병풍 오른쪽 하단에 있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이는 갑신사행 때 증정된 금병풍을 규정하는 중요한 특징이다.
      <鎮西八郎圖屛風>(덕수2119)은 제8차 신묘사행(1711) 당시 증정된 병풍으로 가노 류세쓰[狩野柳雪](1647~1712)가 그렸다. 이 병풍은 가마쿠라 막부를 개창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頼朝](1147~1199)의 숙부인 미나모토노 다메토모[源為朝](1139~1170?)가 자신의 유배지였던 규슈를 평정하고 ‘진제이 하치로[鎮西八郎]’라는 별명을 얻은 고사를 그리고 있다. <鎮西八郎圖屛風>에는 화제의 내용을 해설한 설명문이 부착되었는데, 이는 일본의 고사를 모르는 조선인들을 위해 아라이 하쿠세키가 고안한 방법으로, 신묘사행 때만 취해진 특별한 조치였다. 비록 지금은 설명문의 흔적만이 남아있지만, <鎮西八郎圖屛風>은 일본의 고사에 익숙하지 않은 조선인의 이해를 돕고자 막부 차원에서 노력하였음을 보여주는 현존 유일의 작례이다. <忠信吉野軍圖屛風>과 <春日祭圖屛風>, 그리고 <鎮西八郎圖屛風>은 1909년이라는 이른 시기에 각각 ‘引繼’와 ‘購入’이라는 형태로 박물관 소장품이 되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관리카드에는 <忠信吉野軍圖屛風>과 <春日祭圖屛風>이 1909년 ‘用度課’에서 인계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용도 과’는 근대적인 직제에 보이는 용어이다. 이 기록은 1909년 11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박물관인 대한제국 帝室博物館의 개관과 함께 근대적인 성격을 지닌 어떤 기관의 ‘용도과’부터 두 병풍이 ‘인계’ 되었음을 의미할 가능성이 있다.
      <忠信吉野軍圖屛風>의 화제에 담긴 ‘충’이라는 유교적 가치, <春日祭圖屛風>의 화제가 내포하는 일본 특유의 전통적인 사회의 모습, 그리고 미나모토노 다메토모라는 가마쿠라 막부 관련 인물의 일화를 통해 武士政權이라는 에도 막부의 태생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鎮西八郎圖屛風>은 막부가 조선에 증정한 금병풍에 위탁한 정치, 외교, 문화적 메시지를 분석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한국과 일본은 정치, 문화적으로 상호 막대한 영향을 주고받은 인접국임에도 불구하고 한국회화사는 물론 일본회화사 연구에서도 지금까지 양국의 정치적, 문화적 상황을 균형 있게 고려한 미술사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忠信吉野軍圖屛風>(덕수 2152-2)과 <春日祭圖屛風>(덕수 2152-1), 그리고 <鎮西八郎圖屛風>(덕수 2119)은 조선의 시각에서만 바라보았던 기존의 통신사와 한일회화교류사 연구에 일본 측의 정치적, 문화적 상황과 의도까지 시야에 넣은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연구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에도 막부가 증정한 금병풍의 역사적 맥락
      • Ⅲ.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일본 금병풍의 畫題 규명
      • 1. 狩野探林의 <忠信吉野軍圖屛風>
      • 2. 狩野洞壽의 <春日祭圖屛風>
      • Ⅰ. 머리말
      • Ⅱ. 에도 막부가 증정한 금병풍의 역사적 맥락
      • Ⅲ.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일본 금병풍의 畫題 규명
      • 1. 狩野探林의 <忠信吉野軍圖屛風>
      • 2. 狩野洞壽의 <春日祭圖屛風>
      • 3. 狩野柳雪의 <鎮西八郎圖屛風>
      • 4. 소장경위
      • Ⅳ.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선표, "조선후기의 韓·日間 畫蹟의 교류" 11 : 3-22, 1997

      2 목수현, "일제하 이왕가박물관의 식민지적 성격" 227 : 81-104, 2000

      3 "通航一覽"

      4 武田恒夫, "贈朝鮮國王屛風について" 639 : 11-20, 1991

      5 小宮三保松, "諸言, 李王家博物館所藏品寫眞帖"

      6 榊原悟, "美の架け橋―異國に遣わされた屛風たち" ぺりかん社 2002

      7 幡鎌一弘, "祭禮で讀み解く歷史と社會" 山川出版社 2016

      8 武田恒夫, "狩野派繪畫史" 吉川弘文館 332-356, 1995

      9 "燕山君日記"

      10 五十嵐公一, "正德度贈朝屛風の問題" 14 : 3-20, 2003

      1 홍선표, "조선후기의 韓·日間 畫蹟의 교류" 11 : 3-22, 1997

      2 목수현, "일제하 이왕가박물관의 식민지적 성격" 227 : 81-104, 2000

      3 "通航一覽"

      4 武田恒夫, "贈朝鮮國王屛風について" 639 : 11-20, 1991

      5 小宮三保松, "諸言, 李王家博物館所藏品寫眞帖"

      6 榊原悟, "美の架け橋―異國に遣わされた屛風たち" ぺりかん社 2002

      7 幡鎌一弘, "祭禮で讀み解く歷史と社會" 山川出版社 2016

      8 武田恒夫, "狩野派繪畫史" 吉川弘文館 332-356, 1995

      9 "燕山君日記"

      10 五十嵐公一, "正德度贈朝屛風の問題" 14 : 3-20, 2003

      11 "東洋美術大觀"

      12 朴美姬, "朝鮮國王に贈呈された「楊貴妃圖屛風」: 己酉条約と「金屛風五對」をめぐって" 61 (61): 320-337, 2012

      13 中村興二, "日本美術を學ぶ人のために" 世界思想社 2001

      14 文化財管理局, "日本繪畫調査報告書(昌德宮所藏)" 文化財管理局 1987

      15 "成宗實錄"

      16 "宣和畫譜"

      17 "太宗實錄"

      18 "古畫備考"

      19 赤澤英二, "十五世紀における金屛風について" 849 : 567-579, 1962

      20 武田恒夫, "作畫機構と鑑賞方式-朝鮮通信使屛風をめぐって" 63 (63): 23-31, 2009

      21 加藤秀幸, "住吉廣行筆 春冬堂上放鷹之圖屛風下繪及び 「朝鮮信使來聘一件書類」" 267 : 191-202, 1970

      22 "世祖實錄"

      23 "世宗實錄"

      24 東京國立博物館, "プライスコレクション-若沖と江戶繪畫" 日本經濟新聞社 2006

      25 サントリー美術館, "Biombo: 屛風日本の美" 日本經濟新聞社 2007

      26 "(國譯)通信使謄錄 3" 釜山廣域市史編纂委員會 332-,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45 0.523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