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집 : 19세기 처사작(處士作) 금강산 기행가사에 나타난 금강산의 의미 = The placeness of Mt. Geumgang in 19th century Gihaeng Gasa of Cheosa about Mt. Geumgang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19세기 금강산 기행가사에 나타나는 금강산의 장소성(placeness)을 고찰 하였다. 현전하는 금강산 기행가사는 대부분 19세기에 창작되었는데, 그중 처사(處士)작으로 밝혀진 일군의 ...

      이 논문은 19세기 금강산 기행가사에 나타나는 금강산의 장소성(placeness)을 고찰 하였다. 현전하는 금강산 기행가사는 대부분 19세기에 창작되었는데, 그중 처사(處士)작으로 밝혀진 일군의 작품에는 여행 체험의 구체적 서술, 설화·고사·유적·유물 등에 대한 관심, 금강산 지형에 대한 풍수적 해설이 공통적 요소로 등장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공통 요소를 통해 19세기 처사들은 금강산을 어떤 장소로 인식하고 있는지, 그러한 인식의 사회적·문화적 배경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19세기 금강산 기행가사에서는 금강산이 성리학적(性理學的) 도체(道體)로 인식되는 이념적·탈속적 공간이 아니라, 세속적 삶이 지속되는 현실적 삶의 공간으로 인식되는데, 이는 유람(遊覽)의 양상이 일상적 삶의 모습을 띠고 있음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9세기 처사 작 금강산 기행가사는 인문지리서에 가까울 정도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는데, 이는 조선 후기 사대부들 사이에 널리 성행한 지리·역사·유적·유물 등에 대한 박물학적(博物學的) 지식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로 인해 금강산 기행가사에서는 금강산이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역사·문화적 공간으로 형상화되었다. 아울러 이들 일군의 작품에는 금강산에 대한 풍수적 해설이 빈번하게 출현하는데, 이는 조선 후기 사대부들 사이에 성행한 풍수사상이 산수관(山水觀)에 영향을 끼침으로써 풍수적 측면에서도 금강산이 최고의 명산임을 증명코자 한 의도임을 알 수 있다. 최고의 경관을 자랑하는 아름다운 곳이지만 인간계와 동떨어진 신비로운 곳은 아니며, 우리가 직접 발로 답사해야 할 우리 문화유산과 무수한 이야기가 있는 곳. 지리학이나 풍수의 측면에서도 뛰어난 곳. 이것이 19세기 사대부들이 지니고 있었던 금강산에 대한 인식이다. 이러한 복합적인 인식은 20세기 초까지 지속되는데, 다만 풍수사상은 근대 학문의 유입으로 인해 배제되었다. 이후 일제 강점기에 이르러 근대적 관광이 성행함에 따라 금강산은 세속적, 소비적 관광지의 의미를 획득하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examines the placeness of Mt. Geumgang in 19th century Gihaeng Gasa about Mt. Geumgang. Most of the existing Gihaeng Gasa about Mt. Geumgang were written in the 19th century. Those which are known to have been written by Cheosa (處士) are...

      This essay examines the placeness of Mt. Geumgang in 19th century Gihaeng Gasa about Mt. Geumgang. Most of the existing Gihaeng Gasa about Mt. Geumgang were written in the 19th century. Those which are known to have been written by Cheosa (處士) are all similary in that they contain descriptions of travel, interest in fables, tales, ruins and relics, and descriptions of the location of Mt. Geumgang according to feng-shui. This essay uses these similarities to examine what kind of place Mt. Geumgang was to 19th century Cheosas and what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to that understanding was. These scholars didn`t view Mt. Geumgang as an ideological or other-worldly embodiment of Confucian values. Rather, they saw it as a worldly place where everyday life is carried out. This can be seen by noticing that their travels resemble everyday life. The 19th century Gihaeng Gasa about Mt. Geumgang which were written by Cheosa were as full of information as human geography texts. This is most likely due to the nobility`s natural history knowledge about geography, history, ruins, and relics in late Joseon. In the Gihaeng Gasa about Mt. Geumgang, Mt. Geumgang was transformed into a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which represents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There are many geographical explanations of Mt. Geumgang according to feng-shui in this group of Gihaeng Gasa. Theories about feng-shui of late-Joseon nobility had a large influence on thoughts about scenery. This shows that the nobility was trying to prove that Mt. Geumgang was the best place according to feng-shui as well. Mt. Geumgang is a beautiful place with an exquisite landscape while continuing to be accessible to humans. It is a cultural heritage site that should be visited by all Koreans. It is the center of numerous stories. It is outstanding when viewed from a geographical or feng-shui point of view. This is how the nobility from the 19th century thought of Mt. Geumgang. This complex perception was carried in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but the theory of feng-shui was excluded after the introduction of modern academia. Due to the raise is modern style sightsee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Mt. Geumgang came to have more meaning as a worldly, economic tourist attrac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