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추사 김정희의 문인화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93187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호남대학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호남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한국화전공 2016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53.11 판사항(6)

      • DDC

        759.9519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ii, 70장 : 천연색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하철경
        권말부록: 세한도(歲寒圖). 23.5x108.3 cm 등
        참고문헌: 장 61-63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호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추사가 이룬 다양한 업적 중 특히 그림에 남긴 예술성에 주목하여 그가 남긴 문인화를 연구함으로써 추사 문인화의 예술적인 특성을 밝히고, 추사 문인화가 미술사적으로 어떤 의...

      본 논문은 추사가 이룬 다양한 업적 중 특히 그림에 남긴 예술성에 주목하여 그가 남긴 문인화를 연구함으로써 추사 문인화의 예술적인 특성을 밝히고, 추사 문인화가 미술사적으로 어떤 의의를 지니고 있는지 탐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보자면 추사 문인화의 형성 배경을 살펴보고, 이어 추사 문인화만의 독특한 특성을 짚어내는 작업이 될 것이다. 나아가 추사 문인화가 후대의 화단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그리고 어떤 과정을 거쳐 후대 문인화의 한 전범(典範)이 될 수 있을 것인지를 미술사적 측면에서 고찰하는 것도 본 연구의 주요한 목적 중에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필요한 작업이 문인화에 대한 본고의 입장을 설명하는 일이었다. 그리하여 제 2장에서는 조선 후기 문인화의 개념과 그 전개 양상을 살펴보는 것에 집중하였다. 오랜 세월에 걸쳐 형성·발전한 문인화는 시대에 따라 그 의미가 조금씩 변해왔기에 명확하게 규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간의 연구들을 검토하고 이를 정리하는 과정을 거친다면 추사가 생각하는 문인화의 개념을 나름대로 정리하였다.
      제 3장에서는 추사 문인화의 형성 배경이 어떠한 지를 사회적 배경과 문화적 배경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러한 배경이 18세기의 예술적 경향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 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과정이었다. 그런 과정에서 추사의 사상이 어떤 방식으로 그의 문인화와 융합되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추사가 태어난 정조 때는 조선회화사상 문예부흥기라고 할 수 있다. 사회 각계각층에서 활력을 되찾고 문화 예술적으로 풍성하던 시기였다. 이 시기는 대내외적으로 정치가 안정되고 중국과 문호 교류를 활발하게 하면서 중국 문인화가 적극적으로 유입되었다. 또한 이 시기는 일명 ‘실학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는 우리에게 역사적으로나 문화사적으로 큰 의미를 갖는다. 그리하여 이 장에서는 추사의 문인화가 탄생하는 배경에는 이러한 사회 문화적 배경과도 결코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이런 과정의 결론을 통하여 제4장에서는 추사 문인화의 예술적 특성을 분석해보았다. 시서화 삼절의 양식에 선(禪)의 향기가 짙게 배어든 그의 문인화의 한 특성이 그가 가진 불교학에 대한 조예가 무관하지 않음을 설명하였다. 또한 남종 문인화풍의 기저에 그가 행한 수많은 연구와 실천적 노력을 통해 형성된 그만의 독자적 조형법이 투영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 장에서는 또한 추사의 대표적인 문인화라고 할 수 있는 <세한도(歲寒圖)>와 <고사소요도(高士逍遙圖)>, 그리고 <소림모정(疏林矛亭)> 등의 작품을 분석하여 그만의 독특한 조형법을 어떤 방식으로 구축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사실적인과 관념적인 것의 결합, 황공망과 예찬의 기법을 이어받은 건필의 사용, 뛰어난 공감 감각과 구도의 정밀성 등이 그만이 가진 독특한 화법을 형성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제5장에서는 추사의 문인화가 가진 미술사적 의의가 어떠한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만이 가진 의식세계가 작품 속에서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 지를 분석하고, 이런 분석의 결과가 후대의 문인화에 어떻게 전수되어 문인화의 한 전범(典範)이 될 수 있었는지를 주로 고찰하였다.
      그가 남긴 기록들을 보면 그가 하나의 작품을 완성하기까지 얼마나 배우고 익히며 연구하였는가를 가히 짐작할 수 있었다. 그러면서 추사는 문인화의 사의성을 강조하여 다른 산수화와의 차별성을 강조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 묵희적(墨戱的) 사상에 의해 일시적 흥취를 따라 작가의 흉중일기(胸中逸氣)를 표현하는 사의적 정신이야말로 바로 그가 가진 문인화론(文人畵論)의 근간을 이루었던 것이다.
      더불어 조선후기와 말기에 일어난 남종화풍의 지배적 유행은 청대의 화단과 긴밀한 교류를 가졌던 추사의 영향이 크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추사는 조선시대 말기에 화단의 주류를 이루었던 이런 남종화의 대가이자 조선의 문인화를 한국화하여 시·서·화를 예술로 승화시킨 인물이다. 그가 한국 문인화의 대가로 인정받는 이유도 중국의 문인화를 정통성 있게 받아들이고 그것을 다시 우리에 맞게 체계화시켜서 만들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의 문학과 예술과 사상은 후대의 문인화의 시금석이 되고 있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is focused on the artistic value of the paintings of Chusa, to examine his literati paintings to shed light on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m, as well as the implications of these paintings in art history.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is focused on the artistic value of the paintings of Chusa, to examine his literati paintings to shed light on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m, as well as the implications of these paintings in art history.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covers the background of creation of the literati paintings of Chusa, while identifying the unique properties of his literati paintings. Also,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impact of his works on the following generations of literati painters and examine whether his works could become a set of models in the aspect of art history, which will be another major implication of this study.

      The first thing we needed to do to do this was to explain the standing point of this study on the literati paintings in general. Therefore, in chapter 2, we concentrated on the concepts and development of literati painting in late Chosen era. Literati paintings which have developed over a many years changed in their meanings over time.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define the meaning of these paintings precisely. However,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and the process of summarizing them, the concept of the literati painting of Chusa was presented, with the researcher’s best efforts.

      In Chapter 3,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literati painting of Chusa was reviewed in terms of social backgrounds and the cultural backgrounds. The main idea f this process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ic trends in the 18th century and such a background. In this process, we examined how the ideas of Chusa melted into literati paintings of his.

      King Jeongjo Era, when Chusa was born, was a renaissance of Korean painting history. It was a time of livelihood in all strata of the society and abundant in artistic creation. This was when the domestic politics was stabilized and cultural interaction with China was active, which resulted in active introduction of literati paintings of China. This was also the time of ‘Shilhak’. This particular era is meaningful in history in general as well as art history alone. Therefore, in this chapter, we examined the fact that the background for the creation of literati painting of Chusa is related to such socio-cultural backgrounds.

      Through the conclusions of such processes, Chapter 4 analyzed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ti painting of Chusa. The properties of this literati paintings, which is rich in the flavor of Zen based on the form of the three elements of the poetry, choreography, and painting, shows that he had deep understanding in the Buddhism. Also, we discovered that his intense study on the literati painting of Namjong and practical efforts he invested in resulted in the unique designs.

      In this chapter, the researcher examined some of the most representative literati painting paintings of Chusa, including Saehando, Gosasoyodo, and Sorimmojeong, etc, in order to understand how he established his own design techniques. The combination of the factual elements and the ideational elements, the use of dry brush based on the techniques of Hwangongmang and Yechan, the superb senses in space and precision in layout of the drawing, are believed to be the founding blocks of the unique techniques of Chusa.

      Chapter 5 is about the implication of the literati painting of Chusa in art history. The researcher analyzed how the ideological world of Chusa was reflected in the art works and how such results could be inherited by the literati paintings of the subsequent generations, making his works models for the artists of later times.

      The records about Chusa shows how much studies he conducted and how much he tried to learn before he completed one of his works. However, Chusa also emphasized the inner world of himself, never failing to differentiate from the works of other landscape paintings. The inner world of playing with the ink and transitional joyousness, which expressed the mind of the artist formed the basis of his philosophy of literati painting.

      In addition, the dominance of Namjong style which appeared in the later days till the end of Chosen dynasty is surely attributable to his clos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with the Namjong artists of China. He was a master of this Namjong style, which dominated the artistic community of Chosen during her final days and Koreanized the literati paintings of Chosen, raising the poetry, choreography, and painting to the states of arts. Another reason why he is respected as a master is that he adopted the literati paintings of China as the legitimate authority and created his own after systematizing those paintings to the Korean taste. Therefore, his literature, art, and ideology has become a benchmark for the literati paintings of later gener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1
      • 제 2 절 연구사 검토 3
      • 제 2 장 조선후기 문인화의 개념 및 전개양상 6
      • 제 1 절 문인화의 개념 6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1
      • 제 2 절 연구사 검토 3
      • 제 2 장 조선후기 문인화의 개념 및 전개양상 6
      • 제 1 절 문인화의 개념 6
      • 제 2 절 문인화의 전개양상 9
      • 제 3 장 추사 문인화의 형성 배경 13
      • 제 1 절 사회·문화적 배경과 남종문인화의 탄생 13
      • 제 2 절 18∼19세기의 예술적 경향과 사상적 융합 20
      • 1. 실학적 선비론 20
      • 2 불교학의 고증 22
      • 3. 당대 예술경향과 추사 사상의 결합 25
      • 제 4 장 추사 문인화의 예술적 특성 28
      • 제 1 절 시·서·화·선의 결합 28
      • 제 2 절 독자적인 조형법 구축 34
      • 제 3 절 유·불의 결합과 시첩 38
      • 제 5 장 추사 문인화의 미술사적 의의 44
      • 제 1 절 의식세계의 추상적 투영 44
      • 제 2 절 후대 문인화의 한 전범(典範) 49
      • 제 6 장 결론 58
      • 참고문헌 61
      • Abstract 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