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산 정약용의 원림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89537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17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810 판사항(6)

      • DDC

        895.7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v, 185장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대현
        권말부록 수록
        참고문헌: 장 170-174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원림시를 통해 조선 후기 대표적 실학자의 이상공간과 그에 대한 시적 구현을 살피고자 하는데서 출발했다. 다산의 원림시는 그동안 한시 연구에 있어서는 현실 비...

      본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원림시를 통해 조선 후기 대표적 실학자의 이상공간과 그에 대한 시적 구현을 살피고자 하는데서 출발했다. 다산의 원림시는 그동안 한시 연구에 있어서는 현실 비판 의식이 담긴 사회시나 농민시에 편중된 연구 경향으로 인해 제대로 된 분류나 평가가 없었고, 원림 연구에 있어서는 조선 후기 도시형 원림이라는 독특한 원림 조영 문화를 살피는데 극히 일부만이 부수적인 자료로써 논의 되어왔다.
      원림시가 다산의 생애 전 시기에 걸쳐 고르게 작시되었고 다산이 살았던 조선 후기 독특한 원림 조영 문화가 이에 반영되었다는 점을 보았을 때, 원림시 연구는 조선 후기 원림 문화나, 다산 한시 전반은 물론 다산을 입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산 원림시를 대상으로 실학자로서 꿈꾸었던 다산의 이상과 현실, 그리고 그에 대한 시적 구현을 조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통해 다산 원림시의 전반적 면모와 특징을 밝힘은 물론 이상공간에 대한 다산의 실천과 그에 담긴 문학관 및 세계관을 살피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우선 원림의 개념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다산 원림시의 범위와 분류 기준을 정하였다. 제한된 공간 안에 자연을 모사한 인공 구조물을 설치한 경우를 인공산수원(협의의 원림), 자연공간을 선택하여 누정과 같은 건축물을 설치한 경우를 자연산수원(광의의 원림)이라고 본다면, 실제로 국문학에서 누정문학이라고 하는 경우는 대체로 자연산수원(광의의 원림)에 해당됐다. 실제로 누정은 원림의 중요 구조물 줄 하나이므로 본 논문에서는 원림으로 용어를 통일하고 이를 원림시로 명명하였다. 이런 원림의 개념 정리를 바탕으로 다산 원림시의 범위와 분류 기준을 세웠다. 먼저 다산 한시에서 원림시로 볼 수 있는 주요 기준을 제목에 원림을 뜻하는 용어가 있고, 시의 대상과 배경이 원림인 경우로 삼았다. 이를 바탕으로 총 150편 292수의 원림시를 분류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정리한 원림의 개념과 원림시의 범위 및 분류에 따라 원림시의 특징과 의미를 중심으로 다산 원림시를 분석하였다. Ⅱ장에서 정리한 바에 따르면 다산 원림시는 다산의 생애 전반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다산은 시기별 구분이 매우 뚜렷한 삶을 살았던 인물로 그 시기는 수학기, 사환기, 유배기, 해배기 4기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Ⅲ장에서는 시기에 따른 원림시의 특징과 원림인식을 분석하여 다산 원림시를 고찰하였다.
      먼저 다산 원림시의 특징은 원림의 유형, 원림시의 형식, 그리고 시적 구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원림의 유형은 원림의 용도를 기준으로 관가의 원림, 사가의 원림, 명승으로 기능하는 원림으로 나누어 각 시기에 따라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를 보았다. 다음 원림시의 형식은 오언과 칠언, 고체시와 근체시, 그리고 절구와 율시 등과 같은 다양한 시 형식을 시기별로 분류하여 각 시기에 따라 어떤 특징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시적 구성은 시의 내용이 시기별로 어떤 요인이 중심이 되는지를 살폈다.
      다음 원림인식은 다산의 이상향이 시기에 따라 어떻게 시적으로 구현되는가를 살피는 것을 중점으로 삼았다. 원림은 기본적으로 선비의 이상공간이 실천되는 공간이기에 실학자로서 다산의 이상향이 시에서 어떻게 구현되는가를 중심으로 살핀 것이다. 그리고 그 구현이 각 시기에 따라 어떤 변천이 있는가를 보았다.
      이를 종합하여 본 결과 유년기가 포함된 입신을 위한 공부를 했던 수학기는 전통적인 원림상을 지향했고, 부침이 심한 관직생활을 했던 사환기는 전통적 원림상에서 차츰 현실 대안적인 원림상을 구상했다. 18년간의 유배를 당했던 유배기는 보다 적극적으로 유배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공간으로 원림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마지막 해배기는 노년의 관조가 짙게 담겨 현실과 이상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원림이 실현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다산 원림시의 시기별 변모양상과 원림인식을 바탕으로 다산 원림시가 갖는 문학사적 의의를 파악하였다. 다산 원림시가 갖는 문학사적 의의는 첫째 조선 후기 도시형 원림이라는 독특한 원림 문화의 한 양상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다산의 원림시를 통해 다산이 인식하는 이상적인 은거의 공간에 대한 시기별 변모양상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다산 원림시를 통해 중농주의를 중심으로 한 다산의 실학이 그의 일상에서 실천되는 과정과 양상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Ⅴ장 결론에서는 앞선 논의의 결과를 정리하고, 후속 연구와 관련한 제언으로 마무리하였다.
      이상으로 본 논문은 다산의 원림시를 대상으로 실학자로서 다산의 이상공간이 생애에 따른 변천 및 발전 과정을 통해 그의 문학관과 세계관이 어떻게 시적으로 구현되었는가를 살폈다. 이를 통해 그동안 소외되었던 다산의 원림시를 재조명하는 한편, 다산 한시와 다산에 대한 입체적인 조망과 그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차후 다산의 원림시 뿐 아니라 다양한 키워드로 다산 한시를 입체적으로 조망하려는 연구와 원림이라는 이상공간이 다산과 동시대에 또는 그 이후에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했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및 선행 연구 검토 1
      • 2. 연구 방법 9
      • Ⅱ. 원림의 개념과 다산의 원림시 11
      • 1. 원림의 개념 11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및 선행 연구 검토 1
      • 2. 연구 방법 9
      • Ⅱ. 원림의 개념과 다산의 원림시 11
      • 1. 원림의 개념 11
      • 2. 다산의 원림시 17
      • Ⅲ. 다산 원림시의 변모양상과 원림인식 22
      • 1. 수학기 : 전통적 원림상 지향 22
      • 가. 원림시의 특징 23
      • 1) 다양한 대상 원림 유형 23
      • 2) 전형적인 시 형식 선택 27
      • 3) 風景 중심의 시적 구성 30
      • 나. 원림시에 나타난 원림인식 42
      • 1) 친교적 향유 공간 42
      • 2) 전통적 은일 지향 48
      • 2. 사환기 : 현실 대안적 원림상 구상 56
      • 가. 원림시의 특징 56
      • 1) 관직생활에 따른 원림 유형 56
      • 2) 다양한 시 형식 시도 61
      • 3) 心情 중심의 시적 구성 64
      • 나. 원림시에 나타난 원림인식 75
      • 1) 현실 대안적 공간 구상 75
      • 2) 전원적 은거 공간 지향 84
      • 3. 유배기 : 현실 극복적 원림상 구현 91
      • 가. 원림시의 특징 91
      • 1) 한정적인 원림 유형 91
      • 2) 시 형식의 장편화 경향 94
      • 3) 敍事 중심의 시적 구성 98
      • 나. 원림시에 나타난 원림인식 110
      • 1) 원림을 통한 유배 현실 극복 110
      • 2) 은거 생활의 구체적 구현 116
      • 4. 해배기 : 현실과 이상의 공존적 원림상 실현 127
      • 가. 원림시의 특징 127
      • 1) 다양한 원림 유형의 재등장 127
      • 2) 자유로운 시 형식 선택 132
      • 3) 遠景 중심의 시적 구성 134
      • 나. 원림시에 나타난 원림인식 145
      • 1) 체념과 자족의 공존 공간 145
      • 2) 전원적 은거의 완성 152
      • Ⅳ. 다산 원림시의 문학사적 의의 161
      • Ⅴ. 결론 16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송재소, "『다산시 연구』", 創作社, 창비, 1986

      2 정동오, "『한국의 정원』", 민음사, 1991

      3 박준규, "「한국의 누정고」", 『호남문화연구』 17집,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 구소, 1987

      4 정약용, "『(국역)다산시문집』", 민족문화추진회, ~1994, 1982

      5 이스위, 정광훈, "역, 『중국문화사전』", 청어람, 2011

      6 정요일, "『고전비평용어연구』", 태학사, 태학사, 1998

      7 김주순, "「魏晋六朝詩의 特色」", 『국어국문학』 85집, 국어국문학회, 1981

      8 정민, "「다산의 이상주거론」", 『동아시아문화연구』 47집, 한양대학교 동아 시아문화연구소, 2010

      9 김상홍, "『다산문학의 재조명』",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4

      10 김상홍, "「茶山의 田園詩 硏究」", 『한문학논집』 11집, 단국대학교 한문학 회, 1984

      1 송재소, "『다산시 연구』", 創作社, 창비, 1986

      2 정동오, "『한국의 정원』", 민음사, 1991

      3 박준규, "「한국의 누정고」", 『호남문화연구』 17집,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 구소, 1987

      4 정약용, "『(국역)다산시문집』", 민족문화추진회, ~1994, 1982

      5 이스위, 정광훈, "역, 『중국문화사전』", 청어람, 2011

      6 정요일, "『고전비평용어연구』", 태학사, 태학사, 1998

      7 김주순, "「魏晋六朝詩의 特色」", 『국어국문학』 85집, 국어국문학회, 1981

      8 정민, "「다산의 이상주거론」", 『동아시아문화연구』 47집, 한양대학교 동아 시아문화연구소, 2010

      9 김상홍, "『다산문학의 재조명』",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4

      10 김상홍, "「茶山의 田園詩 硏究」", 『한문학논집』 11집, 단국대학교 한문학 회, 1984

      11 최한선, "「송천 장편시의 세계」", 한국고시가문학회, 『한국고시가문화연구』 6집, 한국고시가 문학회, 1999

      12 윤재환, "『茶山의 田家詩 硏究』",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13 정찬민, "『다산의 원림관 고찰』",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4 롸이싼, "『증국 강남 사가원림』", 토담미디어, 2014

      15 박희성, "『원림, 경계없는 자연』",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16 황민선(Hwang Min-sun), "다산의 전원관 연구 동향", 국어문학회, 국어문학회, 『국어문학』 59집, 2015

      17 김대원, 왕의, "역, 『원림과 중국문화』", 학고방, 2014

      18 윤재환, "「田家詩의 形象技法考」", 『연세어문학』 30집, 연세대학교 국어국 문학과, 1999

      19 경관주, 손정희, 김무조, "「조선조 누정문학 연구」", 『한국문학논총』 10집, 한국문학회, 1989

      20 이주노, "「중국 원림과 중국문화」", 한국중국어문학회, 『중국문학』 33집, 2000

      21 신영명, "『조선중기 시가와 자연』", 태학사, 태학사, 2002

      22 심경호, "『한문산문의 내면 풍경』", 소명출판, 2002

      23 최한선 ( Han Sun Choi ), "행당 윤복과 서술시의 미학",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한국고시가문화연구』 34집, 한 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24 박정욱, "『풍경을 담은 그릇, 정원』", 서해문집, 2001

      25 박무영, "『정약용의 시와 사유방식』", 태학사, 태학사, 2002

      26 김상홍, "「茶山 詩의 유토피아 世界」", 『한문학논집』 20집, 근역한문학회, 2002

      27 정약용, "『韓國文集叢刊 與猶堂全書』", 민족문화추진회, null

      28 최기수, "『오늘, 옛 경관을 다시 읽다』", 도서출판 조경, 2007

      29 이종묵, "『한국한시의 전통과 문예미』", 태학사, 2002

      30 정민, "「다산초당 경영과 공간 구성」", 『문헌과 해석』 39집, 문헌과 해석 사, 2007

      31 김신중, "「孤山 恭齋 茶山의 정신적 지향」", 『語文論叢』 19집,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08

      32 원종례, "「陶淵明과 王 孟의 田園詩 연구」", 『논문집』 1집, 카톨릭대학교 성심교정, 1995

      33 정민, "「18세기 산수유기의 새로운 경향」", 『18세기 연구』 4집, 한국18세 기학회, 2002

      34 이은상, "『시와 그림으로 읽는 중국의 역사』", 시공사, 2007

      35 안대회, "「18 19세기 주거문화와 상상의 정원」", 『진단학보』 97집, 진단학 회, 2004

      36 황민선, "「다산 정약용의 <茶山八景詞> 고찰」", 순 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 16집, 2009

      37 정민, "「새로 찾은 다산의 <山居雜詠> 24수」", 『문헌과 해석』 42집, 문헌과 해석사, 2008

      38 이상대, "『樓亭에서 바라본 PANORAMA 風景寫眞』", 경운대학교 산업정보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9 송재소, 정규영, "역주, 『사암선생연보 다산의 한평생』", 창비, 2014

      40 정민, "「18 19세기 문인지식인층의 원예 취미」", 한국한문학회, 『한국한문학연구』 35집, 한국한문학회, 2005

      41 윤재환, "「茶山의 미발굴 시 <效誠齋> 48首 分析」", 『한국한시연구』 14 집, 한국한시학회, 2006

      42 안대회, "「한국 蟲魚草木花卉詩의 전개와 특징」", 『한국문학연구』 2집, 고 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1

      43 최한선, "「풍암 서술시의 이해론적 전제와 미학」", 한국시가문화학회, 『한국고시가문화연구』 11집, 한국고시가문학회, 2003

      44 남재철, "「自然詩의 意味와 韓國에서의 展開樣相」", 『東方漢文學』 33집, 동 방어문학회, 2007

      45 정동오, "「강진지방에 있어서의 조선시대의 원림」",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호남문화연구』 12집,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1982

      46 박희성, 조정송, "「정약용의 자연관과 다산초당원의 의미」", 한국조경학회, 『한국조경학회 지』 25집, 한국조경학회, 1997

      47 김대현, "「茶山 丁若鏞의 漢文敎育書에 대한 고찰」", 『한문교육연구』 10 집, 한국한문교육학회, 1996

      48 김봉남, "『茶山 詩에 함축된 內面意識의 변모양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6

      49 심우영, 이행렬, "지음, 『명청대 정원문화 누가 만들었을까』", 이담, 2009

      50 최경환, "「누정집경시의 장르상의 특성과 작시원리」", 부산한문학회(동양한문학회), 『동양한문학연구』 16집, 동양한문학회, 2002

      51 이종묵, "「조선후기 경화세족의 주거문화와 사의당」", 우리한문학회, 『한문학보』 19집, 우리한문학회, 2008

      52 이현우, "『16~18세기 누정 문화경관의 의미론적 해석』", 전북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1

      53 정민,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癖과 癡추구의 경향」", 『18세기연구』 5집, 한국18세기학회, 2001

      54 신익철, "「茶山과 다산학단의 菊影詩 창작과 그 의미」", 『한국실학연구』 16 집, 한국실학학회, 2008

      55 고연희, "「정약용의 화훼에 대한 관심과 화훼시 고찰」",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동방학』 7집, 한 서대학교 부설 동양고전연구소, 2001

      56 정민,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완물 취미와 지적 경향」", 『고전문학연구』 23집, 한국고전문학회, 2003

      57 유가현, "『조선시대 사대부 원림으로서 洞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58 박준규, "『호남시단의 연구-조선전기 시단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출판부,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7

      59 김홍규, "「16 17세기 강호시조의 변천과 전가시조의 형성」", 안암어문학회, 『어문논집』 35집, 민족어문학회, 1996

      60 신영명, "「17세기 강호시조에 나타난 전원과 전가의 형상」", 한국시가학회, 『한국시가연 구』 6집, 한국시가학회, 2000

      61 황민선, "「다산 정약용의 원림관을 통해서 본 <茶山花史>」", 택민국학연구원, 『국학연구론 총』 13집, 2014

      62 이지원, "『공산성 공북루의 문화자원으로써의 활용 방안』",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공주대학교 문화 유산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63 최한선, "「호남 한시단 연구의 단면과 서술시적 전통 고찰」", 전남도립대학교, 『전남도립대 학교 논문집』 8집, 전남도립대학교, 2006

      64 정동오, "「정약용의 원림생활연구 -丁茶山全書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 경학회지』 2집, 한국전통조경학회, 1986

      65 강지희, "「조선시대 官僚文人의 詩에 나타난 吏隱觀의 實際」", 『대동한문학』 42집, 대동한문학회, 2015

      66 강태호, "「중국 고전원림의 발전과정(사가원림을 중심으로)」", 『동국논집』 14집,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1995

      67 이승희, "『고산 윤선도 원림 권역의 문화경관적 해석과 가치』", 서울시립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68 박희성, "『정약용의 자연관과 다산초당원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69 최은숙, "『韓國 亭子園林에 關한 硏究 : 無等山 地域을 中心으로』", 전남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1988

      70 김상일, "「<六老山居咏>과 石屋淸珙ㆍ茶山 丁若鏞의 山居詩 비교」", 『한국 문학연구』 35집,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8

      71 정동오, "「전통적인 정자원림에 입지특성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 『한국 전통조경학회지』 2집, 한국정원학회, 1986

      72 김신중, "「四時歌型 時調의 江湖認識 : 理想鄕 追求意識을 중심으로」", 『時 調學論叢』 8집, 한국시조학회, 1992

      73 장선희, "「문집과 누정을 중심으로 고찰한 담양 시단과 송순의 역할」", 한국시가문화학회, 『한국 고시가문화연구』 33집,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74 김신중, "「전남의 樓亭題詠 연구: 조선 후기의 連作題詠을 중심으로」", 『호 남문화연구』 19집,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1996

      75 정상호, "『암시 분석 방법에 따른 조선조 원림정자의 원형이론 연구』", 명지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76 정민, "「다산의 평생구학론 - 이성화에게 준 3종 친필첩을 중심으로」", 『다 산학』 14집, 다산학술문화재단, 2009

      77 최인애, "『다산 정약용의 자연관이 원림 조영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78 윤재환, "「시론과 시세계의 상관관계 : 星湖와 茶山의 田家詩를 중심으로」", 『韓民族語文學』 52집, 한민족어문학회, 2008

      79 윤재환, "「다산 시의 흥취와 서정의 객관화 -강진 移配 이후의 시를 중심으 로」", 『민족문학사연구』 33집, 민족문학사학회, 2007

      80 소현수, 최기수, 임의제, "「누정원림을 통해 본 전통요소의 생태적 해석 -거창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집, 2007

      81 고정희, "「17세기 田家時調의 서정적 리얼리티에 관한 연구 -栗里遺曲을 중 심으로」", 『한국문학연구』 3집,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 소, 2002

      82 현영조, "「朝鮮時代 代表的 知識人의 茶文化空間 硏究 - 고산, 다산, 초의를 사례로」", 『한국차학회지』 7집, 한국차학회, 2001

      83 정봉구, "『조선 후기 한양의 원림에 관한 연구:경화사족의 원림기와 원림도 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84 정동오, "「한국 전통정원의 공간구성과 다산 정약용 -다산초당과 <朝夕樓 記>를 중심으로」", 『다산과 현대』 4집, 연세대학교 강진실학연구원, 2012

      85 김용기, 이재근, "「조선시대 亭子園林의 지역적 특성에 관한 연구: 영 호남의 別墅庭園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0집, 한국정원학회, 1992

      86 최유리, "『자연관이 별서건축 공간에 미치는 영향 : 소쇄원, 다산초당, 보길 도원림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87 박은영 , 양병이 , 박휘, "「선비문화가 조선시대 별서정원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보길도원림, 소쇄원, 남간정사, 다산초당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 『한국전통조경 학회지』 21집,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