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대 동북아시아 차마구와 기마구의 변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900345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0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광주

      • 기타서명

        A Study on Ancient Chariot Fittings and Harnesses of Northeastern Asia

      • 형태사항

        218 p : 삽도 ; 30 cm.

      • 일반주기명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임영진
        참고문헌 : p.186-20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중국 동북지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에서 출토된 광의적 마구를 크게 청동기시대, 원삼국시대, 삼국시대로 3단계를 나누어 살펴보았다. 청동기시대 마구는 한...

      본고에서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중국 동북지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에서 출토된 광의적 마구를 크게 청동기시대, 원삼국시대, 삼국시대로 3단계를 나누어 살펴보았다.
      청동기시대 마구는 한반도에서 확인되지 않고 중국 동북지역에서만 확인되었다. 마구는 중국 내몽고 동남부, 요령성 서부, 요령성 중부 심양지구 일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거의 차마구로 판단된다. 대부분 魏營子文化, 夏家店上層文化, 十二臺營子文化에 속하며 갖춤새로 보아 獨輈車에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중원지역 차마구와 비교해 보면 차축두는 편평하고 둥글며 정교하지 않고 고삐걸개(掛繮鉤)는 W형이나 닻형이며 차마갱이 마련되지 않았으며 蓋弓帽가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서주 말~춘추 초에는 하가점상층문화와 십이대영자문화의 차마구는 차이를 보인다.
      원삼국시대의 마구는 한반도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 시기는 중국의 차마 역사에서 獨輈車가 사라지고 雙轅車가 보편화되는 단계이다. 한반도 북부지역에서 출토된 차마구는 모두 쌍원차와 관련된 것들이며 대체로 낙랑군이 설치된 이후에 한나라의 영향으로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현재까지 알려진 차마구 가운데 위만조선을 비롯한 토착세력과 직접 관련시킬만한 것은 거의 없다. 기존 연구에서 한반도 토착 계통 차마구의 근거가 되었던 乙자형동기와 관형동기의 조합은 쌍원차의 멍에대를 오인한 것이다. 노부제도에 따르면, 한대에 독주차는 삼공 이상만 사용할 수 있다. 평양 일대는 낙랑군의 중심지역으로 가장 높은 급의 관료가 태수여서 쌍원차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한반도 북부지역에 서 출토된 차마구가 모두 1마리의 말이 끄는 쌍원차(一駕)와 관련된 것이라는 점에서 한대의 노부제도 내용과 일치하며, 차마구가 한나라와 관련되는 것을 방증 해주고 있다.
      원삼국시대의 마구를 고찰할 때 차마구와 기마구는 구분되어야 한다. 특히 말을 제어하는 방식의 차이가 있어 차마구와 기마구를 판정하고 이를 논하는 것이 타당하다. 차마구 부장은 초반에는 일괄 부장을 하다가 일부만 부장하는 것으로 변화하는데 기마구 단계에도 이런 현상이 보인다. 물론 이런 현상은 계층 차이로도 볼 수 있는 것이다.
      삼국시대의 기마구는 안정용 기마구인 안장과 등자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초기 등자의 등장에 있어서 자세히 논하였다. 초기 등자의 기원에 대한 관점은 중원기원설과 기마민족기원설로 구분할 수 있다. 초기 등자는 수직 고교인 안장에 올라가기 위한 상마석을 대신한 것으로, 중원지역 귀족들이 말에 손쉽게 안정적으로 기승하기 위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초기 등자는 단등으로 발생하였는데 선비지역에서는 중장기병의 무게 중심을 위한 개선책으로 쌍등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것이 선비지역을 중심으로 한족 지역이나 유라시아 초원지역, 한반도로 전파되었다.
      이상 검토한 바와 같이 한반도를 중심으로 중국 동북지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의 청동기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차마구와 마구를 기능을 비롯하여 등장,배경, 변천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ⅰ
      • I. 서론 1
      • 1. 연구 목적과 방법 2
      • 2. 연구 대상 3
      • 3. 본 논문의 구성 24
      • 국문초록ⅰ
      • I. 서론 1
      • 1. 연구 목적과 방법 2
      • 2. 연구 대상 3
      • 3. 본 논문의 구성 24
      • II. 중국 동북지역의 차마구 25
      • 1. 연구사와 문제점 26
      • 2. 중국 동북지역 차마구 출토유적의 검토 27
      • 3. 중국 동북지역 차마구의 종류와 기능 36
      • 4. 중국 동북지역 차마구의 계통과 변천 55
      • 5. 소결 63
      • III. 한반도의 차마구 65
      • 1. 연구사와 문제점 65
      • 2. 한반도 북부의 차마구 67
      • 3. 한반도 남부의 차마구 100
      • 4. 소결 102
      • IV. 동북아시아의 기마구 103
      • 1. 연구사와 문제점 105
      • 2. 동북아시아 기마구 출토유적의 검토 115
      • 3. 동북아시아 기마구의 종류와 기능 157
      • 4. 동북아시아 안정용 기마구의 기원과 변천 174
      • 5. 소결 180
      • V. 결론-고대 동북아시아 차마구와 기마구의 변천 배경 182
      • 영문초록 2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