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 후기 문헌에 나타난 차 보관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15394

      • 저자
      • 발행사항

        무안군 : 목포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목포대학교 대학원 국제차문화과학협동과정 2020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81.79 판사항(6)

      • DDC

        394.15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전라남도

      • 형태사항

        v, 127장 : 삽화(일부천연색)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조기정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orage of tea forms a key part of tea life along with cultivation, manufacturing and drinking. Storage is greatly important to keep not only fresh colors, tastes and flavors unique to tea but also helpful components for humans. In the late Joseon Dyn...

      Storage of tea forms a key part of tea life along with cultivation, manufacturing and drinking. Storage is greatly important to keep not only fresh colors, tastes and flavors unique to tea but also helpful components for huma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tea life was vigorous, a large number of literature on tea were written. This study aims to shed new light on tea life in Hanyang and county village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examine characteristics of tea storage by considering ways of storing tea recorded in literary data of those days, in detail.
      For this study, the contents of tea books, such as 『Boopoonghyangdabo(扶風鄕茶譜)』,『Dongdagi(東茶記)』 and 『Dashinjeo(茶神傳)』, encyclopedias, such as 『Imwongyeongjeji(林園經濟志)』 written by Seo Yoo-gu, 『Ojuyeonmunjangjeonsango(五洲衍文長箋散稿)』 written by Lee Gyu-gyeong and 『Yimhapilg(林下筆記)』 written by Lee Yoo-won, and tea poems, proses and Ganchal(lett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se literary data of the late Joseon Dynasty, bags made of hemp cloth, papers, bamboo shoots, pots, hot ashes, baked bricks and sand were used to block out factors like humidity, wind, light and surrounding smells, which make tea conditions go bad, when storing tea. In addition, many ways of blocking out the deterioration factors, such as only using pots as a means of storing, preventing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preventing wind and humidity, not opening pots in the rainy season and being careful about wet hands were applied.
      In particular, Ddeok-cha(lump tea) and San-cha were wrapped with paper bags for giving gifts, San-cha and Ddeok-cha were stored in fabric pockets made of silk, and silver tea containers, tin containers, jade bottles and lacquered boxes were used as storage containers, according to tea poems, proses and Ganchal.
      One interesting thing is that tea books indicated that bags made of hemp cloth, papers and bamboo barks obtained from surrounding environments were used as storage devices, whereas tea poems and proses recorded that paper bags or fabric pockets were used to wrap San-cha and Ddeok-cha up and then they were put on the ceilings or walls.
      To sum up, tea storage methods recorded in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are as follows.
      First, proper packing containers and devices obtained from natural environments were used to minimize deterioration of tea by preventing moisture absorption and temperature changes.
      Second, papers, cloth, pots, jars, boxes, lacquered boxes, paper bags and metal containers were used to store and wrap tea up. As heat insulators, bamboo shoot barks, ashes, sand and baked bricks were used.
      Third, for storing tea, they established some principles like being careful about wet hands and bad smells of plates, not opening in the rainy season, scheduling for opening and filling an empty space of pot with bamboo leaves.
      Fourth, baked bricks were used to cut off oxygen from the mouth of pot, when keeping tea airtight.
      Fifth, a little bit of tea was taken out from a big pot using tin or a small bottle.
      In conclusion, these data demonstrate that our ancesto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put efforts into maintaining tea components in their own ways that they learned from long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oday, it appears they held fast to scientific methods.
      We have responsibility for inheriting and developing our traditional culture. It is considered that in future, more systematic and empirical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in the field of tea storage for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tea cul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차의 보관은 재배, 제다, 음용과 함께 차 생활의 핵심 부분을 이룬다. 차 고유의 신선한 색과 맛, 풍미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잃지 않으려면 보관이 매우 중요하다. 조선 후기는 ...

      차의 보관은 재배, 제다, 음용과 함께 차 생활의 핵심 부분을 이룬다. 차 고유의 신선한 색과 맛, 풍미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잃지 않으려면 보관이 매우 중요하다. 조선 후기는 차 생활이 활발했던 시기로 차 관련 많은 문헌을 남겼다. 본 연구는 조선 후기 한양과 향촌의 차 생활을 재조명하고 나서 당시 문헌들에 나타난 차 보관 방법에 대한 자세한 고찰을 통해 그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문헌 중에서는 무엇보다도 다서『부풍향다보(扶風鄕茶譜)』,『동다기(東茶記)』,『다신전(茶神傳)』과 백과사전류인 서유구(徐有榘)의『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이규경(李圭景)의『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이유원(李裕元)의『임하필기(林下筆記)』, 그리고 차의 포장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차시, 산문, 간찰 등을 고찰하였다.
      이들 조선 후기 문헌들에 따르면, 습기와 바람, 빛, 잡향 등 차의 변질 요인을 차단하기 위해 베 포대(布), 종이, 죽순, 항아리, 따뜻한 재, 구운 벽돌, 모래 등을 이용하여 차를 보관하였다. 또한 항아리는 보관 용도로만 사용하기, 고온다습 주의, 바람과 습기 주의, 장마철에 항아리 열지 않기, 젖은 손 주의하기 등 변질 요인을 차단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특히 차시와 산문, 간찰 등에 따르면, 종이(包) 봉지로 떡차와 산차를 포장하여 선물하였고, 비단 등으로 만든 천(囊)주머니에 싸서 산차, 떡차를 보관하였으며, 보관 용기로는 은 차통, 주석 통, 옥병, 옻칠 상자 등을 이용하였다. 요컨대, 차서에서는 주변 환경에서 얻은 베포(布), 종이, 대껍질을 보관 도구로 이용한 점이 특징이고, 차시, 산문 등에서는 종이 봉지나 천 주머니로 산차와 떡차를 포장하여 천장이나 벽에 걸어두는 방법과 단차(떡차)는 차의 구멍을 끈으로 여러 개 꿰어 꿰미로 만들어 벽에 걸어 보관한 점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조선 후기의 문헌에 나타난 차 보관 방법은 다음과 같이 다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자연환경에서 얻은 적합한 포장 용기와 도구를 이용하여 수분의 흡습과 온도의 변화를 차단함으로써 차의 변질을 최소화하였다. 둘째, 차의 보관과 포장을 위해 종이, 천, 항아리, 단지, 상자, 옻칠 상자, 종이 봉지, 금속용기 등을 사용하였다. 단열재로는 죽순 껍질, 재, 모래, 구운 벽돌 등을 이용하였다. 셋째, 차를 보관하고 저장할 때 젖은 손, 그릇의 비린내 등을 주의하고, 장마철에 열지 않기, 꺼내는 날 계획하기, 항아리 빈 곳 댓잎으로 채우기 등의 원칙을 세웠다. 넷째, 차를 밀봉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운 벽돌을 활용하여 항아리 입구의 산소를 차단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다섯째, 주석이나 작은 양병을 사용해 큰 항아리에서 차를 조금씩 덜어서 쓰는 방법을 썼다.
      요컨대, 조선 후기에 우리 선인들은 오랜 경험을 통해 터득한 방법으로 차의 성분을 유지하려고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면, 과학적인 방법을 선취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에게는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켜야 할 책임이 있다. 향후 차 문화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 차 보관 분야에서도 보다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나오길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ⅳ
      • 제1장 서론 1
      • ABSTRACT
      • 국문초록 ⅳ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 목적 1
      • 제2절 연구 방법 3
      • 제3절 선행연구 검토 4
      • 제2장 조선 후기의 차문화 7
      • 제1절 한양의 차문화 7
      • 1. 왕실의 차문화 7
      • 2. 경화사족의 차문화 10
      • 3. 여항인(閭巷人)의 차문화 15
      • 제2절 향촌의 차문화 19
      • 1. 선비의 차문화 20
      • 2. 승려의 차문화 25
      • 제3장 다서와 백과사전류에 나타난 차 보관 29
      • 제1절 다서 29
      • 1.『부풍향다보(扶風鄕茶譜)』 31
      • 2.『동다기(東茶記)』 33
      • 3.『다신전(茶神傳)』 38
      • 제2절 백과사전류 42
      • 1.『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43
      • 2.『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64
      • 3.『임하필기(林下筆記)』 66
      • 제4장 시와 산문에 나타난 茶 포장 69
      • 제1절 차시 69
      • 1. 종이 주머니(包) 또는 천 주머니(囊) 69
      • 2. 비단 포장 79
      • 3. 상자 포장 83
      • 4. 항아리 포장 88
      • 5. 죽순껍질(竹茹) 포장 92
      • 제2절 산문 101
      • 1. 산문 101
      • 2. 간찰 107
      • 제5장 결론 117
      • 참고문헌 120
      • 국문초록 12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정영선, "『동다송 』", 서울 : 너럭바위, 2005

      2 이진수, "『茶의 이해』", 전북:솔기획, 2004

      3 김종태, 정동효, "『차의 과학』", 대광서림, 1997

      4 고세연, "『차의 역사』", 서울:미래 출판사, 2004

      5 박용구, "차의 식물지』", 대구 :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0

      6 윤경혁, "『다문화고전』", 서울:홍익재, 1999

      7 안덕준, "『식품저장학』", 서울 :보문각, 2004

      8 이순옥, "「청태전 연구」", 목포대학교 석사논문, 2007

      9 정 민, "『다산 증언첩』", 서울 :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17

      10 오문헌, 황성연, 차원섭, 지의상, "『식품 저장학』", 서울: 진로, 2007

      1 정영선, "『동다송 』", 서울 : 너럭바위, 2005

      2 이진수, "『茶의 이해』", 전북:솔기획, 2004

      3 김종태, 정동효, "『차의 과학』", 대광서림, 1997

      4 고세연, "『차의 역사』", 서울:미래 출판사, 2004

      5 박용구, "차의 식물지』", 대구 :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0

      6 윤경혁, "『다문화고전』", 서울:홍익재, 1999

      7 안덕준, "『식품저장학』", 서울 :보문각, 2004

      8 이순옥, "「청태전 연구」", 목포대학교 석사논문, 2007

      9 정 민, "『다산 증언첩』", 서울 :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17

      10 오문헌, 황성연, 차원섭, 지의상, "『식품 저장학』", 서울: 진로, 2007

      11 윤정의, "『식품 저장학』", 서울 : 선진문화사, 1996

      12 허태련, "『식품의 과학』", 서울 : 유한문화사, 2006

      13 주홍걸, "『운남 보이차』", 서울 : 한솜미디어, 2005

      14 류무희, "『음료의 이해』", 서울 : 교문사, 2006

      15 정영선, "『한국 차문화』", 서울: 너럭바위, 2003

      16 석용운, "『한국의 다예』", 서울 : 도서출판, 2005

      17 김대철, "『우리 차 문화』", 서울:월간 차의 세계, 2003

      18 문성원, 임희수, "『21세기 식품학』", 서울: 효일, 2007

      19 김경우, "『중국차의 이해』", 서울:월간 다도, 2005

      20 정병모, "『한국의 풍속화』", 한길아트, 2000

      21 김동한, "『식품가공저장학 』", 서울 : 대학서림, 2002

      22 윤경혁, "『행원 차문화고전』", 서울 : 홍익재, 2006

      23 김용옥, "「차의 보관법 고찰」", 목포대학교 석사논문, 2008

      24 박말다, "「차인 정약용 연구」", 목포대학교 석사논문, 2009

      25 김동한, 황은희, 전승호, 이갑상, "『식품 가공 저장학』", 서울:대학서림, 2002

      26 송희경, "『조선 후기 아회도』", 다할 미디어, 2008

      27 마승진, 조기정, 박용서, "『차의 과학과 문화』", 서울 : 학연문화사, 2016

      28 감승희, "『한국 차생활 총서』", 서울:서울 총판, 1994

      29 박완식, "역주, ,『아암집』국역", 서울 : 이회 문화사, 1997

      30 김영, 박순철, "역주, ,『林園經濟志』", 서울 : 소와당, 2010

      31 정민, ".새로쓰는조선의차문화", 경기도 : 김영사, 2011

      32 조재삼, "『교감국역 송남잡지』", 11 (강민구 역). 서울 : 소명출판, 2010

      33 윤병상, "『다도고전(茶道古典)』", 서울 :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34 박동춘, "『초의의 차문화 연구』", 서울 : 일지사, 2010

      35 류건집, "『한국의 차문화사.下』", 경기도 : 이른아침, 2018

      36 김대중, "「풍석 서유구 산문연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2011

      37 정동효, "『차의 화학성분과 기능』", 서울 : 월드 사이언스, 2005

      38 김채식, "「『오주연문장전산고』」",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2008

      39 김영경, "『녹차가 내 몸을 살린다』", 서울 : ㈜한언, 2006

      40 안용근, 정인창, 오성천, "『현대 식품 가공 저장학』", 서울:효일, 2006

      41 유봉학, "『연암일파 북학사상연구』", 서울 : 일지사, 1995

      42 안승엽, "「韓國 茶道具에 관한 硏究」", 원광대학교 석사논문, 2006

      43 조창록, "「풍석 서유구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2003

      44 김청, 박근실, "『식품 포장의 기초와 응용』", 서울 : 도서출판, 2007

      45 정은희, "「숙선옹주와 소통의 차생활」", 정은희 『한국과 영국의 차문화 연구』, 학연문화사, 2015

      46 박말다, "「다산 정약용의 차생활 연구」", 목포대학교 박사논문, 2019

      47 김희자, "「오주 이규경의 차문화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논문, 2008

      48 박현진, "『실무를 위한 식품 포장 공학』", 서울 : 수학사, 2019

      49 송재소, 조창록, 이규필, "옮김, ,『한국의 차문화 천년 5』", 경기도 : 돌 베개, 2013

      50 송재소, 조창록, 이규필, "옮김 , ,『한국의 차문화 천년 7』", 경기도 : 돌베개, 2014

      51 이희자, "「오주 이규경의 차문화관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논문, 2008

      52 이혜숙, "「대나무 추출물의 항고혈압효과」", 인제대학교 석사논문, 2006

      53 송재소, 정해렴, 유홍준, "옮김, ㄱ),『한국의 차 문화 천년 1』", 경기도 : 돌베개, 2009

      54 송재소, 정해렴, 유홍준, "옮김, ㄴ),『한국의 차 문화 천년 2』", 경기도 : 돌베개, 2009

      55 권영완, "「고전에 나타난 차의 보관법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논 문, 2007

      56 조석현, "「조선 후기 보성의 다인과 차생활」", 국제차문화 산학재단, 2012

      57 정봉구, "「조선후기 한양의 원림에 관한연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09

      58 김희자, "『백과사전류로 본 조선시대 차 문화』", 서울 : 국학자료원, 2009

      59 강명관, "「조선후기 경화세족과 고동서화 취미」", 동양학문학연구 제12 권, 1998

      60 이순옥, 조기정, "「『靑苔錢』의 전승과 발전 방안 고찰」", 韓國茶學會誌 第14卷 第3號2), 2008

      61 김대중, "「풍석(楓石) 고혈집(鼓篋集) 평어(評語)˩",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5

      62 김희영, "「서명응 三大 工具書 편찬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논 문, 2009

      63 정근수, "「시판되는 녹차 포장디자인에 관한연구」", 『차문화산업학』 9 집, 국제차문화학회, 2007

      64 정은희, "「이유원의 문집에 나타난 19세기 차문화」", 차와 문화, 2006

      65 이순옥, 조기정, "「한 중전차(錢茶)의 제다법과 음다법 비교」", 中國人文 學會중국인문과학, 제 40집, (18). KCI, 2008

      66 최혜경, "「육로산거영을 통해 본 조선후기 선차연구」", 조선대학교 박사논문, 2013

      67 박희준, "「조선시대 제다의 기법과 전승문화의 특징」", 차 학회지, null

      68 정은희, "『19세기 조선 사대부가 여성의 차문화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 논문, 2010

      69 김정근, 박장현, "「가루차 상온 저장 중 포장방법별 품질변화」", Kor. J. Hort. Sci. Technol. 23 (SUPPL. I) (전남 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2005

      70 류세나, "「캔맥주 포장 디자인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논문, 2007

      71 김규섭, "「조선시대 서유구의 자연관 및 정원조명 연구」", 상명대학교 박 사논문, 2013

      72 윤금옥, "「한국과 중국 포장디자인의 시각적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2012

      73 정은희, "「聞閣叢書 에 나타난 차의 실용적 기능과 역할」", 『한국차학 회』, 제16권 제2호, 2010

      74 김영훈, "「서유구의 임원경제지에 나타난 건축기술 연구˩", 한양대학교 석 사논문, 2019

      75 김정기, 정명현, "역주, ,『임원경제지, 조선최대의 실용백과사전』", 서울 : 씨앗을 뿌리는 사람들, 2012

      76 김경이, "「조선 후기 대산(大山)이상정(李象靖)의 차생활」", 계명대학교대 석사논문, 2017

      77 김선정, "「조선 후기 옥수(玉垂)조면호(趙冕鎬)의 차생활」", 계명대학교 석사논문, 2017

      78 송경섭, "「茶詩 著者 行歷 考察에 의한 茶 生活 背景 연구」", 『한국차학 회』제5권 제1호, pp. 31-46, 2009

      79 남승희, 최진호, 최장전, 조영식, 이한찬, 송장훈, 박장현, "「저장온도 및 기간별 혐기처리 녹차의 품질 변화」", Kor. J. Hort. Sci. Technol. 30(5):519-526, 2012

      80 천용순, "「저장기간에 따른 녹차와 보이차의 성분 변화 연구」", 원광대학 교 석사논문, 2012

      81 김미정, "「동치미 발효 숙성에 대나무 (이대) 잎이 미치는 영향」", 단국대 학교 박사논문, 1997

      82 루오만, "「차(茶)포장디자인의 시각적 표현요소에 관한 연구」", 동국대 학교 석사논문, 2017

      83 남정희, "「18세기 경화 사족의 시조 향유와 창작양상에 관한연구」", 이화 대학교 박사논문, 2002

      84 유동훈, "「조선시대 文獻에 나타난 茶의 약리적활용에 관한 연구」", 목포대 학교 박사논문, 2014

      85 부 철, "「중국 전통 차 문화 속에서의 전통차 포장디자인개발연구」", 한서대학교 석사논문, 2008

      86 이승철, 허호진, 최성길, 조성환, 임상욱, 이정민, "「상대습도 및 저장 온도가 분말녹차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1), pp.83-88, 2009

      87 김정근, 백창남, 박장현, "「실온저장 중 가루녹차 품질 변화 억제에 적합 한 포장 방법」", Kor. J. Hort. Sci. Technol. 23(4):499-506, 2005

      88 오정, "「중국 전통차 포장디자인에 관한 연구–보이차를 중심으로-」", 목 원대학교 석사논문, 2011

      89 김영옥, 정종모, 서종분, 박장현, "「덖음차 제조공정 중 덖음 횟수가 녹차 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생물환경조절학회지, 15(1), 90-95, 2006

      90 서봉순, 서향순, "「한국산 보성 덖음 녹차의 가공 및 저장중의 카테킨류 의 변화」",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7(3), pp.409-416, 2007

      91 김명배, "『중국의 다도』, 서울 : 명문당. 김운학 (2004), 『한국의 차문화』", 서울: 이른 아침, 2007

      92 주명희, "「18ㆍ19세기 서울 문인 지식인층의 고동서화 취미에 나타난 차문화」", 성균관대학교 석사논문, 2010

      93 한예지, "「한국 차(茶)문화를 소재로 한 통합적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디자 인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17

      94 김신자, "「생활차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감과 사회성에 미치 는 효과」", 목포대학교 박사논문,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