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8세기 경주권 題詠 漢詩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6014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18th century was a period of preparation for the 19th century, when the entire Joseon Dynasty society was expanded in quality and quantity, and the modernization of the modern era began to flouris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and ideas th...

      The 18th century was a period of preparation for the 19th century, when the entire Joseon Dynasty society was expanded in quality and quantity, and the modernization of the modern era began to flouris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and ideas through the Qing Dynasty has been a huge part of the social change. The number of workers has increased dramatically, both culturally and artistically. The achievement was also a significant turnaround compared to the 17th century, when the Japanese invasions of Joseon focused on the Japanese invasions of Joseon Dynasty.
      Although the region has different types of formats and contrasts compared to the center, diverse genres of literature and art have been created and expanded in various genres. The 18th century Kyeong-ju circle was no exception. Compared to other regions of the Silla Dynasty, the number of poets and artworks rose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evious era. The reason why the author is paying attention to the chinese poem of the 18th century's Gyeong-ju circle is also here. So in this thesis, they analyzed the verses of these poets and explored what their literary characteristics were and what they wanted to do. There was no overall study of the Gyeong-ju circle, which was part of the Korean history of Chinese poem.
      First of all, they divid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background of the history of the Gyeong-ju circle, and divided them into several types of poems. The analysis framework was applied in the form of creative writing and creative writing. Thus,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reation process of the Gyeong-ju circle. Then I looked at the Thematic phase of the works. I used the analysis structure of natural events, historical awareness, awareness of living space, home recognition, and perception of reality. Then, the real life of the Democratic poets, of course, looked at the agony and the causes.
      I divided the space of creation into seowon(a lecture hall·書院), pavilion, temple, and outstanding scenery. In the case of Seowon, it is mainly poetry that was built in Ogsan-seowon in Gyeongju, Gugang-Seowon in Ulsan, and Imgo-seongwon in Yeongcheon, which is a representative seowon of Gyeong-ju circle.
      In the case of pavilion, the main subjects were poetry in Eunyang's Jeepcheong-jeong, Gyeongju's Yeongpoong-jeong(Samosa·司馬所), Yeongcheon's Okgan-gjeong, etc. The temples dealt with the poems written in various places scattered in Gyeong-ju circle. In the case of outstanding scenery, it is divided into Eonyang's Bangudae & Jakgoacheon, Taehwa-river in Ulsan, three falls of Naewon that the corresponding poems were analyzed. These spaces were selected by comparing the number of works written by Gyeong-ju circle poet poets rather than the subjective indicators of the writer. In the way of creation, I looked at it as a exchange poetry(酬唱), a borrow the poems of others and write poems(次韻), a matching words in Chinese Poem(聯句), and miscellaneous poems(雜詠).
      On the other hand, in the works of 18th century Gyeong-ju circle poets, their poetic qualities different from other region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18th century, was named Jeong-mongju, a former scholar of ie-onjeok, who was regarded as the winner of the Korean language and loyalty award. And it can be seen that these studies are used as a good medium to correct the stiffness of the region and to cultivate the region.
      Second, in the case of poetry created in Jeepcheong-jeong, which is the most popular poet of these poets, the external expression of the poem recites the beauty of the environment around Jeepcheong-jeong. However, it was in the poem of a Namin(南人) who had been disadvantaged by Noron(老論), the political power of the day.
      When I saw the poems of Gyeongju Samosa, they went out into the space of Samar's only, and when they met, they asked there’s best regards to each other while taking rest and they felt that the spirit of studying was still alive.
      However, because of Gyerimsahwa(雞林士禍) the young confucian scholars of the Noron system wielded power. Therefore, the existing scholars recognized that Samaso was a space that faced the reality of the present time while utilizing it as a space for communicating with them.
      Third, it is an unparalleled network of temples and monks living there. The temple was enough to serve as the space of creation, space of life, and space of play and rest. There was no distinction between Buddhist temples and the world, including Buddhist practices in Buddhist temples with Buddhist monks, or even lodging with a sick brother for several days together. In other parts of the world, temples were used as a place for the space of play & rest of the confucian scholars and became poetic material.
      Fourth, the poets were proud that the scenery of the Gyeong-ju circle was located in various places with outstanding scenery that can not be found in other areas. So there searched for a place to express there’s personal feelings.
      The poems recited here are, like the Jeepcheong-jeong, laid in the heart of the poem, hoping that the Gyeong-ju circle will gain the power of the world.
      Fifth, they seemed to recite the fallacy of the millennial dynasties as they recalled Silla. However, they were eagerly hoping for a world of hope like Silla, who was not the contradictory world, but an old glory. The poets did not reveal these entities on the outside but hid them behind the poets. Of course, this tendency did not appear in all cities.This common consciousness is confirmed to be in the poetry of the poetry of the right of Gyeong-ju circle.
      In the meantime, the poetry of Gyeong-ju circle poets could distinguish their various perceptions, that is, the branch of philosophy related to poet's life, as follows.
      First, in the perception of nature, human beings and nature are not represented by the relationship of mutual opposition and disconnection, but they are in harmony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express was not seen in the poets about the sadness of human limitations compared to the finitude of nature.
      Second, in the recognition of history, it once again wishes that the thriving history of the Silla Kingdom in the 1000th year will be reproduced.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Silla dynasty was reviving the reality that there was no sign of revival.
      Third, I regarded the living space as a place where I am poor but leisurely and leisurely, and as a place of reading studying past, leaving Confucianism and Buddhism as a place where all religions and knowledge come together.
      Fourth,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perception of staying in the hometown of home, that is, the recognition of family and friends.In addition, he has also carried out a project of honoring his ancestors in other ways of finding his hometown.And they recognized their hometown as a person who settled in their hometown, not in the space where they ascended.
      Fifth, the perception of reality contains the meaning that they express in lyrical poetry, but they also directly criticized the absurdity of society. This was an aggressive demand to save the people who had been detained and to open up politics properly.
      The poetic qualities of these Gyeong-ju circle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history of Korea’s chinese poem. In addition, the literary achievements of the poetry poets in the metropolitan area should be combined with various literary achievements of the poetry of Gyeong-ju circle, so that the whole flow of the Korean’s chinese poem can be understood.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e 18th century the poetry of Gyeong-ju circle is very big and importa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8세기는 조선사회 전체가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팽창되면서 근대적 상황이 발아하는 19세기를 준비하던 기간이었다. 이런 사회적 변화에는 청나라를 통한 서구 문물과 사상의 도입이 큰 몫...

      18세기는 조선사회 전체가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팽창되면서 근대적 상황이 발아하는 19세기를 준비하던 기간이었다. 이런 사회적 변화에는 청나라를 통한 서구 문물과 사상의 도입이 큰 몫을 차지했다. 문화·예술적으로도 종사자들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했을 뿐 아니라, 성과물 또한 괄목할 만큼 늘어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수습하던 17세기에 비하여 훨씬 전전된 시기였다.
      지역도 중앙에 비해 형식과 깊이의 차이는 있지만 이런 사회 전체적 분위기에 따라 다양한 장르의 문학과 예술이 생성·확장되었다. 18세기 경주권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었으며, 타 지역에 비하여 신라의 천년 왕도답게 문학의 경우 시인과 작품 수가 이전 시기보다 훨씬 증가하였다. 논자가 18세기의 경주권 시인들의 漢詩에 주목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이들 시인이 읊은 한시들을 분석하여 그들의 문학적 특징은 물론 그들이 고민했던 것은 무엇이고, 또 지향하고자 했던 바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경주권에 대한 전체적인 연구가 없어 한국 漢詩史에 빠져 있던 부분이었다.
      이를 위해 먼저 경주권 한시 작품들의 토대가 되는 역사적 배경과 시대적 배경, 인맥적 배경을 검토한 후 본문에서 이들 시인이 읊은 한시들을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눠 분석틀을 만들었다. 창작의 공간, 창작의 방식으로 분석 프레임을 적용하여 경주권 시의 특징 및 시인들의 詩作과정 등을 고찰했다. 그런 다음 작품들의 주제적 국면은 어떠했는가를 조명하였다. 여기에는 자연인식, 역사인식, 생활공간 인식, 고향인식, 현실인식이라는 분석 구조를 이용해 경주권 시인들의 현실적인 삶은 물론 고뇌와 사유 등을 들여다보았다.
      창작의 공간도 세분화하여 서원·누정·사찰·勝景 등으로 나눠 그 공간에서 어떤 생각을 하며 읊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서원으로는 경주권의 대표적인 서원인 경주의 옥산서원과 울산의 구강서원, 영천의 임고서원에서 지은 시들을 위주로 했다. 누정으로는 언양의 집청정과 경주의 풍영정(사마소), 영천의 옥간정 등에서 읊은 시들을 주 대상으로 삼았으며, 사찰은 경주권역에 산재한 여러 곳에서 읊은 시들을 다뤘다. 승경으로는 언양의 반구대와 작괘천, 포항의 내원3폭, 태화강 등으로 나눠 해당 시들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공간들은 논자의 주관적인 지표보다는 경주권 시인들이 읊은 작품의 수를 비교해 선정한 것이다. 창작의 방식으로는 수창·차운·연구·잡영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한편 18세기 경주권 시인들의 작품 속에는 타 지역과는 다른 그들만의 시적 특질이 다음과 같이 있었다.
      첫째, 18세기 경주권 시인들의 한시에서는 우리나라 유학의 종장이자 충절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는 포은 정몽주와 대학자였던 회재 이언적의 학덕을 존숭하면서 이들의 학문으로 지역의 완악함을 바로 잡고 지역을 교화하는데도 좋은 매개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이들 시인이 가장 많이 찾았던 누정인 집청정에서 창작된 시들의 경우 시의 외면적인 표현은 집청정 주변의 아름다움을 읊고 있지만, 당대 정치권력 세력인 노론에 밀려 불이익을 받고 있던 남인의 울분과 한을 시 속에 담고 있었던 것이다. 경주사마소를 읊은 시들을 보면 사마들만의 유식공간으로 출입을 하고 만나면 수창을 하면서 서로의 안부를 묻기도 하고, 유학의 기풍이 그래도 살아 있는 곳이라고 자임하기도 했다. 하지만 계림사화 등으로 노론계통의 신진 士類들이 힘을 펼침에 따라 기존 사류들은 사마소를 자신들의 교유공간으로 활용을 하면서 역시 당대 현실을 마주하던 공간임을 인식하였던 것이다.
      셋째, 사찰과 그곳에서 생활하는 승려들과의 격의 없는 관계망이다. 사찰은 경주권 시인들의 창작공간이자 생활의 공간, 遊息의 공간 역할을 충분히 하였으며, 사찰에서 승려들과 함께 불경을 외거나 심지어 병든 가형을 모시고 함께 사찰에서 며칠씩 묵으며 요양을 하는 등 승속의 구분이 아예 없었다. 다른 지역에서도 사찰은 선비들의 유숙 장소로 활용이 되고, 시적 소재가 되기도 하였지만 경주권의 경우는 특히 양자 간의 경계가 없었던 것이다.
      넷째, 경주권에는 다른 지역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승경들이 곳곳에 소재함을 시인들은 자랑스럽게 여기며 그곳을 찾아 수창을 하면서 개인적 감정을 표현하였다. 이곳에서 읊은 시들 역시 집청정 시들과 마찬가지로 시의 言外之意로 시 속에 경주권 남인들이 세상의 힘을 얻기를 바라는 심경이 행간 속에 깔려 있다.
      다섯째, 그들은 신라를 회고하면서 허물어진 천년 왕조의 허망함을 읊는 듯 보이지만, 옛적 찬란했던 신라처럼 지금의 모순된 세상이 아닌 새판이 구성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었다. 경주권 시인들은 이러한 속내를 겉으로 바로 드러내지 않고, 시구 뒤에 숨기면서 표현한 것이었다. 물론 모든 시에서 이러한 경향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공통된 의식이 경주권 시인들의 시 속에 들어있음이 확인된다는 것이다.
      한편 경주권 시인들의 시를 통해 그들의 다양한 인식, 그러니까 시인들의 삶과 관련된 철학의 갈래를 다음과 같이 구분해볼 수 있었다.
      첫째, 자연에 대한 인식에서는 인간과 자연이 상호 대립, 단절의 관계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것을 초탈하여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자연의 유한성에 비해 인간의 한계성에 대한 안타까움에 대한 토로도 시에서 보이지 않았다.
      둘째, 역사인식에 있어서는 다시 한 번 신라 천년 왕도의 그 번화했던 역사가 재현되기를 희구하면서도 다시금 신라왕조가 되살아날 조짐이 없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는 등의 다층적 인식을 하고 있었다.
      셋째, 생활공간에 대해서는 가난하지만 有閑한 곳으로, 또 과거공부를 하는 독서의 장소로, 유불을 떠나 모든 종교와 지식이 한데 어우러지는 곳으로 인식을 하였다.
      넷째, 고향에 대해서는 고향에 머물면서 하는 인식, 즉 가족과 벗들에 대한 인식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또한 고향 찾기의 다른 방식으로 위선사업을 펼치기도 하였으며, 그들은 출세간의 공간이 아닌 고향 속에 자리 잡은 존재로서 고향인식을 하였다.
      다섯째, 현실에 대한 인식으로는 서정적인 시 속에 자신들이 나타내려는 의미를 담고 있지만, 사회의 부조리에 대해 직접적으로 비판하기도 하였다. 이는 다름 아닌 수탈당하는 백성들을 구하고, 제대로 된 정치를 펴달라는 적극적인 요구였던 것이다.
      이러한 경주권의 시적 특징 등은 한국 漢詩史를 정리하는데 중요한 부분이다. 또한 수도권 시인들의 문학 중심 구도에 경주권 시인들의 다양한 문학적 업적이 같이 병행해야 한국 한시사의 전체적인 흐름과 맥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18세기 경주권 제영 한시들이 가지는 의미는 아주 크고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과 연구성과 검토 1
      • 2. 연구범위와 서술방향 9
      • Ⅱ. 題詠의 문화적 배경 15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과 연구성과 검토 1
      • 2. 연구범위와 서술방향 9
      • Ⅱ. 題詠의 문화적 배경 15
      • 1. 역사적 배경 15
      • 2. 공간적 배경 26
      • 3. 人脈的 배경 32
      • Ⅲ. 창작의 공간과 실제 40
      • 1. 창작의 공간 40
      • 1)서원 : 학문과 완상의 경계 40
      • 2)누정 : 풍경의 경계와 詩化 59
      • 3)사찰 : 고적한 詩境의 모색 73
      • 4)勝景 : 勝地의 玩遊와 興趣 81
      • 2. 창작의 방식 94
      • 1)酬唱 : 상호간 交感과 出意 94
      • 2)次韻 : 내적인 崇慕의 표현 125
      • 3)聯句 : 詩句의 彫琢과 호응 137
      • 4)雜詠 : 개인적 감성의 표출 143
      • Ⅳ. 主題的 국면들 153
      • 1)자연과의 조화와 순응의 추구 153
      • 2)古都의 기억과 詠史의 情懷 161
      • 3)생활공간 속 일상의 詩情 주목 170
      • 4)지역에 대한 고향적 장소성 의식 186
      • 5)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선과 정서 195
      • Ⅴ. 18세기 경주권 한시의 漢詩史的 의의 206
      • 참고문헌 211
      • Abstruct 22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유홍준, "『화인열전 1』", 역사비평사, 2001

      2 유재건, "『이향견문록』", 글항아리, 2008

      3 김영진, "「廉承傳」연구」", 『韓國漢文學硏究』23, 한국한문학회, 1999

      4 김성찬, 정시한, "역주, 『산중일기』", 국학자료원, 1999

      5 안대회, "「白塔詩派의 硏究」",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1987

      6 李成茂, "「朝鮮初期의 鄕校」", 『李相玉博士回甲紀念論文集』, 1969

      7 안대회, "「18세기 漢詩史序說」", 『韓國漢詩硏究』6, 한국한시학회, 1998

      8 오수경, "「연암그룹 연구서설」", 일지사, 『韓國學報』44, 일지사, 1986

      9 성범중, "「『集淸亭詩集』硏究」", 『韓國漢詩硏究』16, 한국한시학회, 2008

      10 姜景勳, "「重菴姜彛天文學硏究」", 보경문화사, 『古書文化』15, 1997

      1 유홍준, "『화인열전 1』", 역사비평사, 2001

      2 유재건, "『이향견문록』", 글항아리, 2008

      3 김영진, "「廉承傳」연구」", 『韓國漢文學硏究』23, 한국한문학회, 1999

      4 김성찬, 정시한, "역주, 『산중일기』", 국학자료원, 1999

      5 안대회, "「白塔詩派의 硏究」",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1987

      6 李成茂, "「朝鮮初期의 鄕校」", 『李相玉博士回甲紀念論文集』, 1969

      7 안대회, "「18세기 漢詩史序說」", 『韓國漢詩硏究』6, 한국한시학회, 1998

      8 오수경, "「연암그룹 연구서설」", 일지사, 『韓國學報』44, 일지사, 1986

      9 성범중, "「『集淸亭詩集』硏究」", 『韓國漢詩硏究』16, 한국한시학회, 2008

      10 姜景勳, "「重菴姜彛天文學硏究」", 보경문화사, 『古書文化』15, 1997

      11 李範稷, "「朝鮮前期의 校生身分」", 『韓國史論』 3, 1976

      12 조철제, "「경주의 院祠와 亭齋(4)」", 『慶州文化論叢』 4, 경주문화원 부설 향 토문화연구소, 2001

      13 박태일, "「지역문학 연구의 방향」", 경남부산지역문학회, 『지역문학 연구』2, 1998

      14 이영학, "「17세기 사회경제적 상황」",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역사문화연구』18, 한국외국어대 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3

      15 權容玉, "「晦齋李彦迪과 良洞마을」", 충남대학교 유학연 구소, 『儒學硏究』26, 2012

      16 유경아, "「정몽주의 정치활동연구」", 이화여대박사학위논문, 1996

      17 안대회, "『18세기 한국한시사 연구』", 소명, 소명출판, 1999

      18 김철범, "「낙동강 하구와 敍景漢詩」", 『한국한문학연구』18, 한국한문학회, 1995

      19 안봉원, "「명승지 보존실태와 관리」",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향토사연구』13 14합집, 한국향토 사연구전국협의회, 2002

      20 송재소, "「한시미학과 역사적 진실」", 창작과비평사, 창작과비평사, 2001

      21 박희병, "『유교와 한국문학의 장르』", 돌베개, 돌베개, 2008

      22 이대규, "『한국 근대 귀향소설 연구』", 이회문화사, 이회, 1995

      23 김복순, "「고려시대 경주와 신라문화」", 경주사학회, 『경주사학』39 40, 경주사학회, 2015

      24 최종호, "「남용만의 문학관과 시세계」", 한국어문학연구학회, 『한국어문학연구』38, 한국어문 학연구학회(구, 동악어문학회), 2001

      25 정낙찬, "「대산 이상정의 교육방법론」", 한국교육철학회, 『교육철학』38, 한국교육철학회, 2009

      26 정민,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휴머니스트, 휴머니스트, 2007

      27 임종욱, "『韓國漢文學의 이론과 양상』", 이회문화사, 2001

      28 尹熙勉, "「慶州司馬所에 대한 一考察」", 역사교육연 구회, 『歷史敎育』 37 38 합집, 1985

      29 조희창, "「소재 노수신의 시문학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30 이종호, "「퇴계 수창시의 양상과 의의」",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47, 경북 대학교 퇴계연구소, 2010

      31 정옥자, "『우리가 알아야 할 우리선비』", 2002

      32 송수환, "「도론, 언양 한시문학사 약설」", 『반구대에 봄이 오면』, 작가시대, 2012

      33 강명관, "「白華子洪愼猷의 詩에 대하여」", 『한국한문학연구』 13, 한국한문학 회, 1990

      34 이종호, "「신유한의 문도와 고문사 교육」", 우리한문학회, 『漢文學報』21, 우리한문학회, 2009

      35 엄경흠, "「오륜대와 죽림 박주연의 문학」",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동앙한문학연구』15, 동양한 문학회, 2001

      36 이채연, "「임란 실기의 창작동인과 성격」", 부산여자대학교 국어교육학과 수련어문학회, 『수련어문논집』20, 수련어문 학회, 1993

      37 황수연, "「杜機崔成大의 民謠風漢詩硏究」",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0

      38 남기택, "『경계와 소통, 지역문학의 현장』", 국학자료원, 2011

      39 이수환, "「李彦迪문학의 창작현장과 遺蹟」", 『大東漢文學』29, 대동한문 학회, 2008

      40 이수길, "편저, 『병와 이형상의 삶과 학문』", 세종출판사, 2008

      41 尹熙勉, "「白雲洞書院의 設立과 豊基士林」", 진단학회, 『震檀學報』 49, 1980

      42 정경주, "「小訥盧相稷의 생애와 학문 경향」", 『동양한문학연구』18, 동 양한문학회, 2003

      43 조철제, "「慶州의 儒家文集類에 대한 考察」", 『新羅文化』19, 2001, 2001

      44 이상해, "『한국 미의 재발견-궁궐 유교건축』", 솔출판사, 2004

      45 정 민, "「16 7세기 學唐風의 性格과 그 風情」", 『韓國漢文學硏究』20주 년 특집호, 1997

      46 김종서, "「16세기 호남시단 시의 자연스러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동양한문학연구』21, 동 양한문학회, 2005

      47 홍귀향, "「洛下生李學逵의 농촌시에 대하여」", 『동양한문학연구』19, 동 양한문학회, 2004

      48 羅鍾冕, "「18세기 시단과 시론의 새로운 양상」",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東方學』4, 1998

      49 이승용(Lee, Seung Yong), "근대계몽기 호남삼걸의 삶과 현실인식", 한국문화융합학회, 『문화와 융합』39,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50 박영민, "「유산기의 시공간적 추이와 그 의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民族文化硏究』40, 고 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51 김대현, "「지역문학 연구에 대한 몇 가지 문제」", 동방한문학회, 『동방한문학』21, 2001

      52 안대회, "「18세기 시사(詩社)의 현황과 전개양상」", 『古典文學硏究』44, 한국고전문학회, 2013

      53 허권수, "「경남지역 한문학에 대한 역사적 고찰」", 『동방한문학』26, 동 방한문학회, 2004

      54 노병성, "18세기 조선지식인의 독서방법에 관한 고찰", 한국출판학회, 『한국출판학연 구』, 한국출판학회, 2007

      55 김윤규, "「문학작품으로 본 圃隱선생의 고향의식」", 『圃隱學硏究』권3, 포 은학회, 2009

      56 정만조, "「영조 14년의 안동 김상헌서원 건립시비」", 동덕여자대학 한국학연구소, 『한국학연구』Ⅰ, 1982

      57 신익철, "「18세기 중반 초림체 한시의 형성과 특질」", 『고전문학연구』19, 2001

      58 김윤조, "「청천 신유한의 문인들과 그 문학적 성향」",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한국학논집』39,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59 김명준, "「문학공간에 대한 분석적 기술(記述) 방법」", 『한국문예창작』 3, 한국문예창작학회, 2004

      60 정경주, "「부산지역 고전문학의 창작배경에 대하여」",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石堂論叢』50, 동 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1

      61 엄경흠, "「한시에 표현된 駕洛國都城으로서의 金海」", 『東洋漢文學硏 究』39, 2014

      62 姜求律, "「塤 篪叟鄭萬陽 葵陽兄弟의 詩世界의 一端」", 동방한문학회, 『東方漢文學』 28, 2005

      63 정선모, "「고려시단에 있어서의 杜詩수용 양상 고찰」", 『한문학보』12, 우리한문학회, 2005

      64 이상균, "「조선시대 유람을 통한 사대부의 교유양상」", 한국사학회, 『사학연구』106, 한국사학회, 2012

      65 오스타노바 폴리나,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의 고향의식 고찰」", 경희대 대학원 석사논문, 2011

      66 朴英鎬, "「塤叟鄭萬陽과 篪叟鄭葵陽의 삶과 學問活動」", 동방한문학회, 『東方漢文 學』28, 2005

      67 張舜順, "「朝鮮後期通信使行의 製述官에 대한 一考察」", 전북대사학회, 『전북사학』13, 1990

      68 엄경흠, "「韓國使行詩硏究-14세기∼17세기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69 김명자, "「18~19세기 永川鄭世雅후손의 請諡와 門中활동」", 『영남학』 18,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

      70 박준규, "『호남시단의 연구-조선전기 시단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출판부, 전남대학교 출 판부, 2007

      71 박명희, "「16세기 瀟灑園詩壇형성과 士林派의 시적 전개」", 『전라문화총 서』25, 전북대학교 전라문화연구소, 2007

      72 심경호, "「한국 한시와 사찰(2) , 水鍾寺와 조선 후기 문인」", 『한국한시 연구』5, 한국한시학회, 1997

      73 송수환, "역주, 『반구대에 봄이 오면-울산경승 한시선집 3』", 작가시대, 2012

      74 성범중, "「작천정과 작쾌천 주변을 다룬 시문에 대한 관건」", 『인문논총』25, 울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75 박창원, "「내연산 폭포 주변 바위에 새겨진 인명(人名)연구」", 『동대해문 화연구』제10집, 동대해문화연구소, 2005

      76 박종배, "「學規에 나타난 조선시대 서원교육의 이념과 실제」", 『한국학논 총』33,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1

      77 성범중, "「반계(磻溪) 이양오(李養吾)의 한시세계(漢詩世界)」", 『韓國漢詩 硏究』12, 한국한시학회, 2004

      78 신두환, "「退溪의 「陶山雜詠」에 나타난 공간감각의 미의식」", 『퇴계학 논집』7, 퇴계학연구원, 2010

      79 정치영, "「문화?역사지리학에서 지역문화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신문 화연구』제30권 제3호(통권 108호),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80 禹仁秀, "「塤 篪叟鄭萬陽 葵陽형제의 시대와 그들의 현실 대응」", 동방한문학회, 『東方漢文學』28, 2005

      81 최인자, "「창의적 서사 활동과 시공간 구성의 ‘구체성’ 문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선청어 문』28,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00

      82 박현옥, "「盧沙漢詩에 나타난 易學的思惟-自然인식을 中心으로-」", 『周 易硏究』, 한국주역학회, 1997

      83 정 민, "「우암(尤庵) 선생(先生) <수미음(首尾吟)> 134수 관규(管窺)」", 한국사상문화학회, 『한국사상과 문화』42, 2008

      84 김재웅, 이창훈, "「고문헌 자료를 통해 본 명승지 관광정보 기술(記述)특 성」", 『한국관광학회 국제학술발표대회집』80, 한국관광학회, 2016

      85 李樹鳳, "「반계 이양오의 세평시(世評詩)」, 『반계 이양오 문학연구』", 울 산 : 디자인워크, 2003

      86 김영진, "「『巽窩漫錄自序』를 통해 본 衙前출신 文人金敬天의 생애」", 『대 동한문학회 2014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별쇄자료, 2014

      87 문희순, "「17세기 김성달,이옥재 부부의 부부생활과 수창 한시의 특징」",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학연구』92,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88 노혜경, "「18세기 嶺南南人의 관직생활-權相一의 『淸臺日記』를 중심으 로」", 『사학연구』88, 한국사학회, 2007

      89 박희인, "「여와(餘窩) 목만중(睦萬中)의 시에 나타난 현실 인식과 대응 양 상」", 『한국한시연구』19, 한국한시학회, 2011

      90 김성기, "「한국 한시와 자연 -한국 한시의 자연에 대한 인식 방법에 대하 여-」", 한국한시학회, 『한국한시연구』1권, 한국한시학회, 1993

      91 禹仁秀, "「18世紀初嶺南南人鄭萬陽 葵陽兄弟의 改革論, 李樹健敎授停 年紀念」", 『韓國中世史論叢』, 2000

      92 김헌영, "「17세기 경주 유향소의 위상: 경주이씨 양월문중 소장 고문서의 분석」", 한국고문서학회, 『고문서연구』41, 한국고문서학회, 2012

      93 김지향, "「문학적 공간의 형상에 대한 고찰 : 이보 안드리치의 작품을 중 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외국문학연구』32,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8

      94 최석원, "「詩的놀이, 聯句창작을 통해 본 宋代문인들의 문학적 교류에 대한 고찰」",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중어중문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2개 학회 공동개최), 2015

      95 엄경흠, "「현장의 체험을 통한 한시의 창작과 이해 - 경주를 읊은 한시를 중심으로」",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동양한문학연구』13, 1999

      96 남송우, "「지역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2)-제주, 전남 광주, 부산 경남을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한국문학논총』15, 2007

      97 고정혜, "「중층적 현실 인식을 위한 소설 감상 교육 - 윤흥길의 「장마」 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93,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98 김영숙, "「한국 한시의 특징과 전개-영사시(詠史詩)의 개념(槪念)과 작품 의 실상(實相)」", 『동방한문학회』37, 2008

      99 김윤규, "「『巖齋唱酬錄(암재창수록)』에 나타난 19세기 말 지방 인사들의 한시 창수문화」", 『동방한문학』62, 동방한문학회, 2015

      100 간복균, "「문학공간 연구를 위한 현장 답사의 방법과 실제- 문학공간 동구 천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21, 2007

      101 성범중, "「亭子와 園林을 통한 문학적 교유와 소통-울산 소재 集淸亭의 경 우를 예로 하여」", 『韓國漢文學硏究』16, 한국한문학회, 2008

      102 김영주, "「훈수(塤수) 정만양(鄭萬陽)과 지수 정규양(鄭葵陽)의 문학관(文 學觀) 일고(一考)」", 『퇴계학과 유교문화』39,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06

      103 정호훈, "「임진왜란과 17세기 조선 사회의 기억- 元豪의 戰功과 조선 사회의 褒獎을 중심으로」", 『역사와 실학』39, 역사실학회, 2009

      104 임준성,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시세계(詩世界) -유산(遊山)과 승려교 유(僧侶交遊)를 중심으로」", 『고시가연구』33,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105 권경록, "「18세기 ‘三角山’의 문화지형과 공간의 재발견-柳匡天과 申命顯의 山水遊記를 중심으로」", 『民族文化論叢』47,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 2011

      106 최은주, "「조선후기 영남선비들의 여행과 공간감성-18세기 영남선비 淸臺 權相一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양한문학연구』31, 동양한문학회, 2010

      107 이광우, 이수환, "「16~17세기 경상도(慶尙道) 자인현(慈仁縣) 복현(復縣) 과 정과 이를 둘러싼 자인(慈仁), 경주(慶州) 지역 재지사족의 동향」", 『고문서연 구』41, 한국고문서학회, 2012

      108 김보경, "시가창작(試歌創作)에 있어서 차운(次韻)의 효과(效果)와 의의(意 義)에 대하여 -소식(蘇軾)의 시가(詩歌)를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총』 45", 중국어문연구회,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