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대 茶生活의 명상적 접근 : 四念處 수행을 중심으로 = Meditative approaches on Modern Life with T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0432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논문요약 현대 차생활의 명상적 접근 -四念處 수행울 중심으로- 한국의 차문화는 조선시대 지속적인 숭유배불 정책과 맞물려 그 문화적 기능을 상실하고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을 겪으...

      논문요약

      현대 차생활의 명상적 접근
      -四念處 수행울 중심으로-


      한국의 차문화는 조선시대 지속적인 숭유배불 정책과 맞물려 그 문화적 기능을 상실하고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을 겪으면서 거의 소멸 되다시피 하였다. 하지만 조선시대 선비들의 飮茶 풍습과 사찰에서 승려들의 茶生活로 茶文化의 맥이 유지되어 내려오다가 30여년 전부터 한국의 고유한 차문화를 다시 복원하고 새로운 꽃을 피워나가려는 차인들의 노력으로 이제 차는 우리의 생활과 아주 가까운 일상의 한 부분이 되었다. 또한 차문화를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禮와 절제를 닦고 지친 신심(身心)에 활력을 불어 넣어주며, 정신을 고양시키는 유익한 방편으로까지 발전시키려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흐름에 따라 차문화의 새로운 가치창출은 바로 현대인들이 가진 정신적 문제 해결과 의식 수준을 높여주는 것에서 그 역할을 찾아볼 수가 있다. 산업화와 경제발전에 따른 정신적 공허감, 치열한 경쟁 구조 속에 입을 수 밖에 없는 상실감 및 불안감에 힘들어 하는 현대인들은 무언가 정신적인 휴식과 의지의 수단으로 명상의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했다. 그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바쁜 일상 중에 접하는 한잔의 茶를 매개체로 누구나가 쉽게 명상을 접할 수 있으며 차를 우리는 동안 얻게 되는 심리적 안정은 그 자체가 바로 명상 수행이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차생활이 가진 정서적 유익함과 명상적 가치를 초기 불교 수행법인 사념처(四念處) 명상법을 통해 고찰해보고 또한 현대의 차생활을 명상적으로 접근하여 차생활 속의 명상요소를 밝힘으로서 우리의 삶에 보다 의미 있는 역할이 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함에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일상의 한 부분인 차생활을 사념처적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사념처 수행은 부처가 깨달음을 얻기 위해 수행한 방법으로서 몸의 행위와 자세(身), 느낌과 감정(受), 마음의 상태(心), 마음으로 일으키는 생각(法) 등을 마음챙김하여 삶을 정화하고 슬픔과 근심, 고통과 고뇌를 소멸하며, 지혜를 증득하고 열반을 실현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수행법이다. 이 사념처 수행에서 핵심 기능은 마음챙김(sati)으로서 대상을 따라가 파악하고 잘 아는 것이다.
      1) 차생활의 身念處 : 차를 준비하고 우려내며 마시는 과정의 모든 동작과 자세가 해당된다. ① 차를 마시기 위해 청소하고 주변을 정리하는 행위, ② 차를 마시기 위해 찻자리에 앉는 동작과 자세, ③ 다포를 개는 동작, ④ 다구를 펼치기 위해 손을 이리저리 움직이는 동작, ⑤ 차와 물을 붓는 동작, 차를 따르고 다관이나 잔을 들어 올리는 동작, ⑥ 잔을 데우고 닦는 동작, ⑦ 찻잔을 앞에 놓고 잠시 호흡을 지켜봄, ⑧ 차를 마시고 삼키는 동작, ⑨ 찻잔을 내려놓거나 잔을 들며 호흡을 관찰하는 상태, ⑩ 다구를 씻고 정리하는 동작, ⑪ 다포를 덮는 동작, ⑫ 찻자리를 정리하는 동작, ⑬ 찻자리가 끝난 후 앉아 있는 자세나 호흡을 지켜보는 상태 등이다.
      2) 차생활의 受念處 : 차를 우리거나 마실 때 느끼는 색, 향, 미, 질감, 온도 등의 느낌과 감정이 이에 해당한다. ① 앉아있거나 움직일 때 몸의 감각적 느낌, ② 물이 끓는 소리나 주변의 소리, ③ 다포나 다구의 질감, ④ 다구의 온도감, ⑤ 차의 맛, 색깔, 향기, ⑥ 물 따르는 소리, ⑦ 차를 우리거나 마실 때 몸의 느낌 등이다.
      3) 차생활의 心念處 : 행다중에 일어나는 다양한 마음 상태. ① 조용하고 차분한 마음 상태, ② 진지하게 차를 마시고 행위에 집중하려는 마음 상태, ③ 가볍고 의식이 맑은 상태, ④ 기쁘거나 즐겁고 의욕이 고취되어 있는 상태, ⑤ 마음이 무겁고 맑지 않은 상태, ⑥ 졸리거나 피곤한 상태, ⑦ 불안과 들떠있는 상태, ⑧ 긴장되어 있는 상태 등이다.
      4) 차생활의 法念處 : ① 차를 마시는 과정과 행다 중에 일어나는 여러 형태의 생각 등이며 많은 잡다한 생각들, ② 탐욕과 욕망의 생각, ③ 화를 내거나 증오하는 생각, ④ 피곤하고 졸리다는 생각, ⑤ 무언가 의심하거나 회의적인 생각, ⑥ 현재 자신을 잘 지켜보고 있다는 생각, ⑦ 현재 차마시고 있는 내 존재가 육체와 정신 등의 작용을 하고 있다고 아는 생각, ⑧ 차맛과 차생활이 좋은지 나쁜 것인지 판단하는 생각, ⑨ 열심히 차생활을 해야겠다는 생각, ⑩ 차를 통해 즐겁고 기쁘다는 생각, ⑪ 평온하다는 생각, ⑫ 잘 집중되어 있다는 생각 등이다.

      이러한 차생활을 행다에 따라서 다시 사념처와 대비하면 다음과 같다.

      * 준비과정 : 차를 마시기 위해 청소하고 주변을 정리하는 행위, 차를 마시기 위해 찻자리에 앉는 동작과 자세 (身念處), 물이 끓는 소리, 탕관의 온도나 다구의 질감, 덮거나 추운 온도감, 전반적인 몸의 느낌 (受念處), 차를 마시기 전의 들뜸이나 즐거움, 편안함 등의 마음상태 (心念處), 차를 마시고 싶다는 생각, 마실 차의 종류, 사용할 다구 등에 대한 생각 (法念處).
      * 차우리기 과정 : 다포를 개는 동작, 다구를 펼치기 위해 손을 이리저리 움직이는 동작, 차와 물을 붓는 동작, 차를 따르고 다관이나 잔을 들어 올리는 동작, 잔을 데우고 닦는 동작, 차를 집어넣고 우리는 동작, 찻잔을 앞에 놓고 잠시 호흡을 지켜봄 (身念處), 다구의 온도나 질감, 차향, 차의 빛깔 등을 느낌, 손, 발, 허리, 엉덩이 등의 느낌, 물 따르는 소리 (受念處), 차를 우리는 동안 편안하거나 가벼운 마음 상태 (心念處), 차를 법도에 맞게 잘 우려야겠다는 생각, 분명히 자신의 행위를 잘 알아차리려는 의도 (法念處).
      * 차 마시는 과정 : 손을 움직여 찻잔을 드는 동작, 잔을 들어 올리는 동작, 차를 마시고 삼키는 동작, 찻잔을 내려놓거나 잔을 들며 호흡을 관찰하는 상태 (身念處), 찻잔의 온도나 질감, 차의 빛깔이나 맛, 향기를 느낌, 차를 마시는 동안 의식되는 신체적인 느낌, 덥거나 추운 온도감 (受念處), 차를 마시면서 가지는 행복감, 만족감, 편안하거나 가벼운 마음 상태 (心念處), 행위에 잘 집중하고 잘 알아차리려는 의도, 맛과 향을 느끼면서 가지는 여러 생각, 고요함을 지켜봄, 차를 마시며 하는 대화의 내용 (法念處).

      * 차 도구 정리 과정 : 다구를 씻고 정리하는 동작, 다포를 덮는 동작, 찻자리를 정리하는 동작, 찻자리가 끝난 후 앉아 있는 자세나 호흡을 지켜보는 상태 (身念處), 다구나 다포의 질감이나 온도감, 몸에서 느껴지는 여러 느낌, 물 따르는 소리 (受念處), 차를 마시고 난 후의 만족감, 즐거운 마음 상태 (心念處), 끝까지 행위를 잘 의식하려는 의도, 차를 잘 마셨다는 생각 (法念處).
      위의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행다의 모든 과정은 전부 사념처적 방법으로 분류될 수 있어 현대의 차생활은 사념처적 방식의 수행요소를 충분히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차가 지닌 유익한 작용의 도움을 받아 자각의 기능을 잘 활용한다면 보다 쉽게 차를 이용한 사념처 수행을 행할 수 있어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한 잔의 차가 정신수양의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본 연구는 시사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논문요약 ⅲ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목 차
      • 논문요약 ⅲ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방법 및 범위 3
      • Ⅱ. 茶道와 명상 5
      • 1. 茶道의 의미 5
      • 2. 명상의 의미와 종류 6
      • 1) 명상의 의미 6
      • 2) 명상의 종류 8
      • 3. 차생활에 나타난 禪修行 14
      • Ⅲ. 초기 불교 수행법인 四念處觀 19
      • 1. 四念處 수행과 念의 의미 19
      • 2. 초기 불교에서 四念處觀의 위상과 목적 21
      • 1) 四念處觀의 위상 21
      • 2) 四念處 수행의 목적 23
      • 3. 四念處 수행의 내용 24
      • 1) 신념처(身念處) 24
      • 2) 수념처(受念處) 28
      • 3) 심념처(心念處) 29
      • 4) 법념처(法念處) 31
      • 4. 四念處觀 수행의 공덕과 결과 41
      • Ⅳ. 현대 차생활과 四念處 43
      • 1. 茶道정신 43
      • 1) 茶道정신 43
      • 2) 茶村의 茶道 정신 50
      • 2. 현대의 차생활 51
      • 1) 현대의 차생활과 四念處 52
      • 2) 茶村行茶法과 四念處 54
      • 3. 현대 행다와 四念處와의 대비 58
      • 1) 현대 행다에 따른 四念處와의 대비 58
      • 2) 茶村行茶에 따른 四念處와의 대비 60
      • Ⅴ. 결 론 67
      • 참고문헌 71
      • ABSTRACT 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