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산 정약용의 차 생활 연구 = A study on Dasan Jeong Yakyong's tea li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56003

      • 저자
      • 발행사항

        무안군 : 목포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81.79 판사항(6)

      • DDC

        394.15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전라남도

      • 형태사항

        vi, 232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조기정
        권말부록: 차시 목록
        참고문헌과 "다산 연표" 수록

      • 소장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valuable materials about tea cultur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have been discovered and disclosed. The letters of Dasan are among them which were exchanged with his acquaintances during his exile in Gangjin. Therefore, it appears that a co...

      Recently, valuable materials about tea cultur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have been discovered and disclosed. The letters of Dasan are among them which were exchanged with his acquaintances during his exile in Gangjin. Therefore, it appears that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tudy on Dasan as a tea artist seems necessary because he ha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tea culture hist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etails of tea-related activities in Dasan's tea life and tea-producing activities at Dasanchodang by reviewing the collection and organization of tea contents in all of his works.
      For this purpose, the primary research materials related to Dasan's tea life are as follows: 1. a collection of Jeong Yakyong's literary books such as Yeoyudangjeonseo and Daamshitcheop. 2. a collection of poems which is not published in the literary books such as Dasan Sagyeongcheop, and Leesan Changhwajip. 3. 134 poems of Yukrorosangeoyeong. 4. Dasan's 340 letters including Maeokseogye. 5. more than 50 kinds of witness notebooks which were delivered to his disciples written on the scratched paper and clothes. 6. the items which are related to tea are Gakdago from Gyeongseyoupyo, Mokminsinseo and Aeongakbi and Dasingyeogeolmok. The secondary research materials are about Dasan's tea life appeared in the poem collections of his acquaintances.
      In the first chapter, which is the introduction of the research, I examined the purpose and method of my research, and review of the previous research.
      In chapter 2, I examined Dasan's 76 tea poems based on the time period. First I examined Dasan's tea life and his tea-making method through 25 poems before his exile and 30 poems and 5 letters during his exile in Gangjin, Next I examined 21 poems after his exile.
      In chapter 3, I examined Dasan's writings and literature related to tea. From the review of Gakdago of the Gyeongseyoupyo, I analyzed the contents of it. In addition, I stated the reasons why he opposed to Gakda. The tea-related section of the Aeongakbi I discussed the problem of the usage of terminology for tea and the origin of tea cake. In the Dasingyejeolmok I examined the entire contents of the Dasingyejeolmok which was prepared with the disciples of Dasanchodang in the year when Dasan was out of exile. I stated the names of the Buddhist monks who kept company with Dasan. I also examined the circumstances in which tea, writings and gifts were exchanged between the disciples of Dasingye and the monks of the Jeondeunggye through the Dasan's letters to Gangjin and his two sons' letters to a Buddhist monk.
      In chapter 4, I discussed Dasan's tea life before, during, and after exile. Above all, I examined the specific contents of how to make tea at Dasanchodang at the time of the Gangjin exile, I tried to figure out the kinds of tea, how to make tea, and amount of tea by specific figures. In addition, I suggest that a modern reinterpretation of Dasan's currently reproduced mass of tea should be made by examining the way of wrapping, preserving and drinking tea.
      Finally, in the conclusion of the last chapter, I summarized the results of the previous discussion and made suggestions related to the follow-up study in order to reveal Dasan's tea life. Unlike other Joseon scholars who enjoyed drinking tea and left only the poems about tea, Dasan Jeong Yakyong was a unique tea-loved-person, studying how to develop tea by himself and making tea in pers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몇 년 사이에 다산이 강진 유배 시절에 주고받은 간찰 등 조선 후기 차 문화에 관한 소중한 자료들이 발굴·공개되고 있다. 이에 조선 후기 차 문화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

      최근 몇 년 사이에 다산이 강진 유배 시절에 주고받은 간찰 등 조선 후기 차 문화에 관한 소중한 자료들이 발굴·공개되고 있다. 이에 조선 후기 차 문화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차인(茶人) 다산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이에 이 연구는 다산의 모든 저작물에서 차와 관련한 내용을 수집 정리 고찰하여 다산의 차생활과 다산초당에서 이루어진 제다활동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약용의 문집을 모아 집대성한 ≪다산시문집≫에 실린 시문,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보유편의 <다암시첩(茶盦詩帖)>, 문집에 실리지 않은 <다산사경첩(茶山四景帖)>과 ≪이산창화집(二山唱和集)≫ ≪육로산거영(六老山居咏)≫ 134수, ≪매옥서궤(梅屋書匭)≫를 비롯한 다산의 340여 통의 간찰, 자투리 종이와 천에 적어 제자들에게 건넨 스승 다산의 맞춤형 가르침이라 할 수 있는 50여 종이 넘는 증언첩, ≪경세유표≫의 <각다고(榷茶考)>, ≪목민심서≫ ‧ ≪아언각비(雅言覺非)≫의 차 관련 항목, ≪다신계절목(茶信契節目)≫ 등의 자료에서 차에 관련된 모든 내용을 고찰하여 1차 연구자료로 삼았다. 아울러 다산과 교유(交遊) 등 관계가 있었던 인물들의 시문집에서 다산의 차 생활에 관한 2차 정보를 수집하여 이 연구의 자료로 삼았다.
      먼저 연구의 서론에 해당하는 제1장에서는 연구목적 및 방법, 선행연구 검토와 아울러 연구방법을 설명하였다.
      본론에 해당하는 제2장에서는 다산이 남긴 차시문 총 69제 76수를 고찰하였다. 유배 전에 쓴 차시 25수를 시기별로 나누어 고찰하고, 강진 유배 중에 쓴 차시 25제 30수와 차에 관해 쓴 간찰 5통을 통해 유배지 강진에서 이루어진 차 생활과 제다의 정황을 고찰한 뒤에, 해배 이후에 쓴 차시 19제 21수를 고찰하여 만년의 차 생활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다산이 쓴 차에 관한 저술과 문헌을 고찰하였다. ≪경세유표≫의 <각다고(榷茶考)> 고찰에서는 <각다고>의 내용 분석과 함께 각다에 대한 다산의 생각과 <각다>를 반대한 이유를 알아보았다. ≪아언각비≫의 차 관련 항목에서는 차에 대한 용어 사용의 문제와 다식의 어원을 살펴보았다. ≪다신계절목≫ 고찰에서는 다산이 해배되던 해에 다산초당의 제자들과 함께 작성한 ≪다신계절목≫의 전체적인 내용을 고찰하고, 이어 다산이 부가하여 적은 전등계(傳燈契) 스님들이 누구인지 다산과 교유한 기록을 통해 그 명단을 밝혀보았다. 또한 해배 후 여유당으로 돌아온 다산이 강진으로 보낸 서찰과 다산의 두 아들이 전등계 승려에게 보낸 편지 등을 고찰하여 다신계 제자와 전등계 스님들이 다산 사후(死後)까지도 차와 글과 선물을 주고받은 정황들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다산의 차 생활을 유배 전‧중‧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무엇보다도 강진 유배 시절에 중점을 두어 다산 초당에서 이루어진 다산의 제다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 즉 다산초당에서 만든 차의 종류와 제다 방법을 고찰하고, 제다한 차의 양을 구체적인 수치로 파악해 보았다. 또한 다산의 차를 포장하고 보관하는 방법과 음다법 등을 고찰함으로써 현재 재현한 다산의 단차에 대한 현대적 재해석이 이루어지기를 제안하였다.
      마지막 제5장 결론에서는 차를 즐기고 차에 관한 시문만을 남긴 조선시대의 여느 선비 차인들과는 달리, 제다법을 직접 연구하고 몸소 차를 만든 독특한 이력을 가진 차인(茶人)으로서 다산 정약용의 차 생활이 온전히 드러날 수 있도록 앞선 논의의 결과를 개조식으로 정리한 후에 후속 연구와 관련한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제2절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 방법 3
      • Abstract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제2절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 방법 3
      • 제2장 시문 속의 차 고찰 7
      • 제1절 강진 유배 이전의 차시문 7
      • 1. 10대에 지은 차시 9
      • 2. 20대에 지은 차시 14
      • 3. 30대에 지은 차시 19
      • 제2절 강진 유배 시절의 차시문 32
      • 1. 유배지에서 쓴 차시문 32
      • 2. 유배지에서 보낸 차에 관한 간찰 63
      • 제3절 해배 이후의 차시문 72
      • 제3장 저술 속의 차 고찰 81
      • 제1절 ≪경세유표≫의 <각다고> 81
      • 1. <각다고>의 내용 81
      • 2. 각다에 대한 다산의 생각 88
      • 3. 다산이 <각다>를 반대한 이유 90
      • 제2절 ≪아언각비≫의 차 관련 항목 96
      • 1. <차> 조 96
      • 2. <인단> 조 97
      • 제3절 ≪다신계절목≫ 98
      • 1. ≪다신계절목≫의 내용 98
      • 2. 다산과 전등계 승려들과의 교유 103
      • 3. 다산이 강진으로 보낸 간찰 140
      • 4. 전등계 승려들이 차를 보낸 기록 146
      • 제4장 생활 속의 차 고찰 155
      • 제1절 강진 유배 이전의 차 생활 155
      • 제2절 강진 유배 시절의 차 생활 160
      • 1. 다산의 제다에 대한 고찰 160
      • 2. 다산이 만든 차에 대한 평가 186
      • 제3절 해배 이후의 차 생활 193
      • 제5장 결론 197
      • <참고 문헌> 207
      • <국문 초록> 217
      • 부록 1. 차시 목록 219
      • 부록 2. 다산 연표 22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다산학연구원, "다산학보", 광주: 삼일정판사, 1992

      2 과학원 철학연구소, "정다산 연구", 서울: 한마당, 1989

      3 김명배, "≪牧民心書≫", ≪牧民心書≫, null

      4 명배, "≪蓮坡剩稿≫", ≪蓮坡剩稿≫, null

      5 김명배, "≪雅言覺非≫.", ≪雅言覺非≫, null

      6 차벽., "다산의 후반생", 파주: 돌베개, 2010

      7 강진군다인연합회, "200년 전의 약속.", 200년 전의 약속, 2018

      8 정병만., "다시보는 차문화", 서울: 푸른길, 2012

      9 짱유화., "차과학 길라잡이", 서울: 삼녕당, 2015

      10 정민., "다산선생지식경영법", 서울: 김영사, 2006

      1 다산학연구원, "다산학보", 광주: 삼일정판사, 1992

      2 과학원 철학연구소, "정다산 연구", 서울: 한마당, 1989

      3 김명배, "≪牧民心書≫", ≪牧民心書≫, null

      4 명배, "≪蓮坡剩稿≫", ≪蓮坡剩稿≫, null

      5 김명배, "≪雅言覺非≫.", ≪雅言覺非≫, null

      6 차벽., "다산의 후반생", 파주: 돌베개, 2010

      7 강진군다인연합회, "200년 전의 약속.", 200년 전의 약속, 2018

      8 정병만., "다시보는 차문화", 서울: 푸른길, 2012

      9 짱유화., "차과학 길라잡이", 서울: 삼녕당, 2015

      10 정민., "다산선생지식경영법", 서울: 김영사, 2006

      11 조성을., "연보로 본 다산 정약용", 파주: 지식산업사, 2017

      12 민족문화추진회 편., "정약용의 ≪각다고≫ 해설", 다문화연구지. 7. 44~52, 1998

      13 황민선, "다산 정약용의 원림시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7

      14 다산학술문화재단, "여유당전서 미수록 다산 간찰집", 서울: 도서출판 사암, 2012

      15 양유선, "18-19세기 조선 사대부의 다문화(茶文化)를 통한 경관 향유방 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