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통주택에 사용된 문양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상류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ditional motives in upper-class houses of the Chosu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9136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현대건축은 사회적 변화기를 겪으면서 한국건축 및 실내디자인의 자생력을 키울 수 있도록 정체성이 있는 건축 및 실내디자인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즉, 사회가 다양하게 변...

      한국 현대건축은 사회적 변화기를 겪으면서 한국건축 및 실내디자인의 자생력을 키울 수 있도록 정체성이 있는 건축 및 실내디자인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즉, 사회가 다양하게 변화할수록 문화의 고유성을 찾으려는 노력은 사회전반에서 부각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전통건축을 현대화하는 과정에서 각 요소에 대한 의미와 상징성을 명확히 밝히는 작업들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전통주택에 사용된 문양의 종류 및 공간에 따른 상징성을 파악함으로써, 실내 건축 계획시에 전통문양의 의미성 및 상징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본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양이 사용된 주택부위, 전통주택의 부위별 문양, 채별 문양, 지역별 문양, 상징성에 의한 문양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택에서 사용된 문양은 건축구성요소에서는 벽체, 지붕, 처마에서 나타났고, 실내구성요소에서는 천장, 창호, 머름간, 난간에서 나타났으며, 장식요소에서는 물확과 편액에서 나타났다. 따라서, 전통문양이 모든 장소에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의미 및 용도에 따라 특정 부위에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2) 주택에서 사용된 문양에 지역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채에 따라서는 사랑채에서 안채나 부엌, 마당과 비교했을 때, 수호와, 교육적 의미, 입신양명을 기원하는 문양이 강조되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3) 장소에 따라 전통건축문양의 상징성을 공간의 의미성과 결부시켜 해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 전통건축의 문양 중 벽사·수호를 상징하는 문양은 용, 주작, 귀면, 거북문양이 주로 사용되었다. 용, 주작, 귀면은 지붕에서만 사용되어 귀신이나 잡귀를 물리 치려한 것을 알 수 있었고, 거북모양의 대문빗장을 사용하여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보호받으려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길상의 의미를 가진 문양은 길(吉), 그 외의 형태의 글자문양들, 박쥐문, 여의두문에 사용되었다. 길(吉)자는 공간이나 장소에 상관없이 사용되었고, 그 외의 글자형태의 길상문양은 주로 창호와 난간에서 나타났다. 행복을 상징하는 박쥐문과, 뜻대로 되라는 의미의 여의두문양은 남성공간인 사랑채 누마루의 난간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남성 중심의 사회활동이 이루어진 조선시대의 관점에서 볼 때 사랑채에 이 같은 문양을 사용한 것은 입신양명을 희망한 의미로 해석된다.
      - 장수를 상징하는 학과 불로초는 지붕에서만 나타났고, 구름, 거북은 쇠장석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 종교적인 영향의 문양은 태극, 희자, 명문, 만자, 덩굴문이 있었다. 음양오행의 영향의 문양은 태극문과 희자가 사용되었다. 태극문양은 대문에서 주로 사용되었고, 집이 세상의 중심이 되기를 원하는 발로에서 시작된 것으로 해석된다. 희자는 천지음양의 조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창호와 난간과 지붕에서 나타났다.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발생된 명문은 천장의 마룻대공과 기와에서 나타나서, 유교의 선비 사상과, 교육적 의미를 전달하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불교의 영향으로 생겨난 문양에는 만(卍)자가 있었고, 무한장구를 상징하는 것으로 창호와 쇠장석에서 사용되었다. 도교사상의 영향으로 발생된 덩굴문은 신성한 건물임을 뜻하고, 지붕을 받치는 공포, 마룻대공에서 나타났다.
      - 뜻은 없으나 장식적인 목적을 위해서 사용된 전통건축의 문양은 마름문, 둥근문, 빗살문, 꽃문이 있었다. 마름문, 꽃문은 문양이 사용된 대부분의 장소에서 사용되었고, 둥근문은 처마끝, 광창에서 사용되었으며, 빗살문은 주로 지붕 용마루의 기와장에 사용되었다.
      이상에서 파악된 바와 같이 전통적인 우리나라 문양은 감성적인 요소로 사용 되었다기 보다는 의미론적으로 사용되어 왔고, 공간적 특색에 따라 다른 문양을 사용하여 상징적 의미를 나타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앞으로의 건축 및 실내에서는 공간적·의미적 특성에 맞는 문양들이 공간별로 적합하게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ltural origin is recognized as a important factor one`s own identity in the fast changing information society. The efforts to find out meanings of traditional aesthetics are increased according to these cultural aspect affected to the design fie...

      The cultural origin is recognized as a important factor one`s own identity in the fast changing information society. The efforts to find out meanings of traditional aesthetics are increased according to these cultural aspect affected to the design fiel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meanings of the motives shown in the traditional houses.
      Thirty traditional upper-class houses which are assigned by government in fair preservation were investigated to collect the motives. Furthermore, the collection of the motives were proceeded by taking pictures with a digital camera. Parts of the house investigated were classified as three areas such as architectural elements, interior elements, and decorative elements.
      The results of the studies are as follows :
      1) Architectural elements of traditional houses where the motives of the patterns were used are walls, roofs, and eaves; interior elements are ceilings, windows and doors, meorurm under the doors, and railings; decorative elements are mulwhak, pyunaek and juryun.
      2) There are rarely regional difference in using motives in the traditional houses.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of using motives according to the living quarters. The sarangchae which is men's living quarter are emphasized amity, educational spirit, success and fame, compared with the anchae which is woman's living quarters.
      3) The meanings of the motives are as follows :
      - The meanings of protection are represented by dragons, jujack, ghost faces and turtles. Dragons, jujack, and ghost faces were used only on roofs to protect from ghost, and turtles were used on a lock of the gate to protect from attack.
      - The meanings of good-luck are represented by bats, yeoeuidu, letter guil(p), and other letters of good meanings. A Bat means happiness, and yeoeuidu means good wishes which were used on railings of the sarangchae.
      - The meanings of long life are represented by cranes and bullocho. The bullocho is a herb of eternal youth. Cranes and bullocho were used only on roof tiles, and a cloud and turtle were frequently used on the metal ornaments.
      - Religious meanings are represented by taeguk, myungmun, letter man(卍) and hui(喜), and vines. The taeguk and hui(喜) are originated by the emyang-ohaeng ideology. The substance of emyang-ohaeng is an indication of harmony of the cosmic dual forces. The taeguk was usually used on gate, and it indicates desire to be the center of the world. The hui(喜) was used on railings and roofs. The Myungmun means educational spirit based on Confucianism, and it was used on ceilings and roofs. Letter man(卍) as a symbol of Buddhism used on doors and metal ornaments as meanings of perpetuity. Vines represent sacred buildings, which is based on Taoism idea, used on gongpoe which is a joint part of beams and pillars.
      - Decorative patterns without specific meanings are diamond, round, bitsal, and flowers. The diamonds and flowers were commonly used everywhere motives were used, and the round patterns were used on the edge of the eaves and kwangchang. The bitsal pattern which is the teeth form of a comb were usually used on yongmaru of the roofs.
      It was found out that the Korean traditional motives, used in the houses, represent meanings rather than decorating purpose. Also, they expressed different meanings by using different motives for each space characterist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차례
      • 표 차례 = ⅲ
      • 그림 차례 = ⅴ
      • 국문요약 = ⅵ
      • 제1장 서론 = 1
      • 차례
      • 표 차례 = ⅲ
      • 그림 차례 = ⅴ
      • 국문요약 = ⅵ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필요성 = 1
      • 1.2. 연구의 목적 = 3
      • 1.3.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 5
      • 1.4. 용어 정의 = 5
      • 제2장 문헌 고찰 = 7
      • 2.1. 전통주택의 구성요소별 문양의 사용 = 7
      • 2.2. 한국전통문양의 기원과 사상적 배경 = 17
      • 2.3. 한국전통문양의 종류와 상징성 = 25
      • 제3장 연구 방법 = 48
      • 3.1. 조사대상의 선정 = 48
      • 3.2. 주택의 조사부위 = 50
      • 3.3. 자료의 수집방법 = 51
      • 3.4. 자료의 분석방법 = 51
      • 제4장 전통 주택에 나타난 문양의 특성 = 55
      • 4.1. 문양이 사용된 주택부위 = 55
      • 4.2. 전통주택의 부위별 문양의 분석 = 58
      • 4.3. 전통주택의 채별 문양의 분석 = 73
      • 4.4. 전통주택의 지역별 문양의 분석 = 77
      • 4.5. 문양의 상징성에 의한 분석 = 79
      • 제5장 요약 및 결론 = 83
      • 5.1. 요약 = 83
      • 5.2. 결론 및 제언 = 85
      • 참고문헌 = 88
      • 부록 = 92
      • 1. 양동마을주택에 나타난 문양 = 93
      • 2. 하회마을주택에 나타난 문양 = 107
      • 3. 충청도주택에 나타난 문양 = 121
      • 4. 강릉주택에 나타난 문양 = 130
      • ABSTRACT = 13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