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려시대 막새기와의 제작기법 연구 : 중부지역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10318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 사학과 고고미술사 전공 2008. 2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951.04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 Study on Manufacturing Technique of Roof-end tiles of Koryo Dynasty

      • 형태사항

        v,72장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박경식
        참고문헌:66-69장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시대 막새기와는 화려한 통일신라시대의 막새기와를 계승하여 연화문과 당초문을 중심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막새기와는 기존의 문양에서 탈피하여 일휘문과 범자문 등 다양...

      고려시대 막새기와는 화려한 통일신라시대의 막새기와를 계승하여 연화문과 당초문을 중심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막새기와는 기존의 문양에서 탈피하여 일휘문과 범자문 등 다양한 소재가 문양으로 채택되었다.
      중부지역의 9개소 건물지 유적에서 출토된 막새기와는 이러한 고려시대 막새기와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각각의 유적에서 출토된 막새기와를 세밀히 관찰함으로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막새기와의 문양과 형태가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9개 건물지 유적의 막새기와를 통해 중부지역의 막새기와 편년안을 종합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막새기와 연구에 있어 문양을 중심으로 하는 편년 연구의 틀에서 한걸음 나아가 제작기법만으로 편년안을 작성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선학들의 연구성과를 재정립하고 중부지역 막새기와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중부지역의 고려시대 막새기와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확인된 가장 큰 수확은 막새기와의 제작기법을 크게 세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각각의 제작기법은 ‘ㄴ’자형 접합기법과 ‘ㄱ’자형 접합기법, ‘ㅅ’자형 접합기법으로 명명하였다.
      ‘ㄴ’자형 접합기법은 일찍이 삼국시대로부터 주목되어 오던 제작기법이다. ‘ㄴ’자형 접합기법의 사용은 고려 전기인 12세기 중엽까지를 주 사용시기로 하여 12세기말부터는 그 제작빈도가 줄어들고 있다. ‘ㄱ’자형 접합기법과 ‘ㅅ’자형 접합기법은 ‘ㄴ’자형 접합기법의 제작빈도가 떨어지는 시기, 즉 13세기경을 중심으로 사용되어지는 제작기법으로, ‘ㄱ’자형 접합기법이 13세기경을 전후하여 사용되는 것에 반하여 ‘ㅅ’자형 접합기법은 이후 조선시대의 주류적인 제작기법으로 남게 된다.
      따라서 전기는 ‘ㄴ’자형 접합기법을 주 제작기법으로 활용하는 시기이며, 후기를 거쳐 조선시대까지 ‘ㅅ’자형 접합기법이 주 제작기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ㄱ’자형 접합기법은 전기의 제작기법(‘ㄴ’자형 접합기법)에서 후기의 제작기법(‘ㅅ’자형 접합기법)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제작기법으로 제작시기는 13세기를 전후한 시기로 한정된다. 따라서 ‘ㄱ’자형 접합기법을 살펴봄으로서 13세기의 막새기와의 편년이 가능할 것으로 보았다.
      제작기법의 흐름에 따라 만들어지는 막새기와를 살펴보았을 때 막새기와의 제작기법이나 막새기와의 형태가 단순화되고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ㄴ’자형 접합기법을 사용하여 막새기와를 제작할 때에는 모두 5가지 이상의 공정을 거쳐야 했다. 후기에 나타나는 ‘ㄱ’자형 접합기법과 ‘ㅅ’자형 접합기법에서는 3공정의 간소화된 작업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제작공정이 축소되는 것은 증가하는 수요와 공급을 맞추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파생된 결과로 보인다. 증가하는 수요와 공급을 맞추기 위해서는 대량생산체계가 불가피하며 작업공정을 축소하고 작업과정을 간소화시키는 당연한 수순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oof-end tiles of Koryo dynasty succeeded to the ornamental roof-end tiles of unified Silla period and started to be manufactured mostly by Yeon-Hwa-Mun(Lotus pattern) and Dang-Cho-Mun(Arabesque patterns). Afterward, the roof-end tiles grew out of...

      The roof-end tiles of Koryo dynasty succeeded to the ornamental roof-end tiles of unified Silla period and started to be manufactured mostly by Yeon-Hwa-Mun(Lotus pattern) and Dang-Cho-Mun(Arabesque patterns). Afterward, the roof-end tiles grew out of the formality of existing patterns and adopted various patterns such as Il-Hwi-Mun and Beom-Ja-Mun.
      The roof-end tiles excavated in 9 sites of central areas show the characteristics of roof-end tiles of Koryo dynasty. I could identify how the shapes and patterns of roof-end tiles had been changed by the time through close examination of the roof-end tiles excavated in each site. In addition, I incorporated the Pyeon-Nyeon-An (Chronicle) of roof-end tiles of central areas. Lastly, I took one step forward from the existing chronological research method which is to focus on the patterns of the roof-end tiles and adopted the method that can make chronicle by only focusing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
      In this study, I reestablished the study results of former scholars of the field and proposed my opinions about the roof-end tiles of central areas.
      The biggest achievement obtained during the research of roof-end tiles of Koryo dynasty was that I could classif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into three categories. I named those categories 'ㄴ' shape splicing technique, 'ㄱ' shape splicing technique, and 'ㅅ' shape splicing technique.
      'ㄴ' shape splicing technique has been getting the attention as early as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ㄴ' shape splicing technique was mainly employed until the mid 12th century which is the early period of Koryo and it began to be less used from the late 12th century. 'ㄱ‘ shape and 'ㅅ’ shape splicing technique were mostly employed during the 13th century. 'ㄱ‘ shape splicing technique was mainly used about the period of 13th century while 'ㅅ’ shape splicing technique remained as the mainstream manufacturing technique after the 13th century until the period of Chosun dynasty.
      Therefore, 'ㄴ' shape splicing technique was the mainstream technique of the early Koryo dynasty and 'ㅅ' shape splicing technique was the mainstream from late Koryo to Chosun dynasty. ‘ㄱ’ shape splicing technique was employed about the period of 13th century which was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early Koryo period ('ㄴ' shape splicing technique) to the late Koryo period ('ㅅ' shape splicing technique). In this sense, I theoriz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make chronicles of the roof-end tiles of the 13th century by examining the ‘ㄱ’ shape splicing technique.
      By observing the roof-end tiles by period, it was evident that the shape and manufacturing technique had been simplified. ‘ㄴ’ shape splicing technique required total of five processes but ‘ㄱ’ shape and ‘ㅅ’ shape technique required total of only three processes.
      The reason of the process being simplified was the result of meeting the increased demand. In order to meet the supply with the increased demand, it was inevitable to adopt mass production system and simplify the proc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1
      • Ⅱ. 유적의 현황 = 4
      • Ⅲ. 제작기법의 분석 = 12
      • 1. 형식분류 = 12
      • 2. 제작기법 = 33
      • Ⅰ. 머리말 = 1
      • Ⅱ. 유적의 현황 = 4
      • Ⅲ. 제작기법의 분석 = 12
      • 1. 형식분류 = 12
      • 2. 제작기법 = 33
      • Ⅳ. 제작기법의 변화 = 43
      • 1. 전기 = 43
      • 2. 후기 = 45
      • Ⅴ. 맺는말 = 49
      • 참고문헌 = 66
      • 【Abstract】 =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