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려시대 비구니 사찰의 존재와 운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68154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영남대학교, 201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영남대학교 대학원 , 국사학과 국사학전공 , 2014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911.04 판사항(6)

      • DDC

        951.90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ii, 36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정숙
        참고문헌: 장 31-33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에서 비구니 사찰의 존재는『삼국유사』에서 처음으로 확인된다. 신라로 전도를 위해 온 승려 아도를 보살펴 주었던 모례의 누이 사씨 부인이 비구니가 되어 영흥사를 지었다는 것이 ...

      한국에서 비구니 사찰의 존재는『삼국유사』에서 처음으로 확인된다. 신라로 전도를 위해 온 승려 아도를 보살펴 주었던 모례의 누이 사씨 부인이 비구니가 되어 영흥사를 지었다는 것이 그것이다. 불교가 수용되면서 여성들의 적극적인 信佛에 힘입어 삼국과 통일신라, 고려를 거치면서 여성 출가에 따른 비구니들은 다양한 활동을 보여주었다.
      고려시대에 비구니가 된 여성의 신분은 왕비와 귀족, 관리의 측실과 노비 등 다양하지만 고려시대 비구니의 이름을 전하는 대부분의 기록은 고려 후기의 사례이며, 그 활동도 매우 단편적으로 전하고 있다. 그러나 고려후기에 활동한 선사들의 비문에 선사의 제자들을 기록하면서 비구니 항목을 독립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는 신라 말에서 고려 중기에 이르기까지 건립된 많은 승려들의 비문들에서는 비구니의 이름을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보아 이 시기 비구니의 위상이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불교가 국교였던 고려시대의 비구니들은 국가나 일반 민들에게 비구 못지않게 대우를 받았다. 그리고 그들의 활동의 장소가 되었던 비구니 사찰 역시 많았을 것이다. 고려시대 비구니 사찰의 존재는『고려사』,『고려사절요』등의 관찬사료와 당대 문인들의 개인 문집, 비구니가 시주에 참여하였던 불화나 사경 등의 유물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고려시대 비구니들은 신라의 비구니들처럼 비구와 다른 곳에 거주해야 했는데, 개경의 비구니 사찰로 정업원과 안일원이 있었다. 이 두 사찰은 왕실과 지배층 여성들이 주로 머물렀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고려시대에는 남편이 죽은 후 수절과 명복을 빈다는 이유로 출가하는 여성들이 많았기 때문에 고려시대에 유일하게 대사로 추존된 성효의 예처럼 가족 곁에 절을 짓고 살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는 거처를 따로 마련할 수 있는 지배층 여성들에게 한정된 일이었을 것이다. 피지배층 여성들은 전국 각지의 사찰에 흩어져 거주했으므로 국가의 통제에서 벗어나기 쉬웠을 것이고, 고려 말에 이르면 비구들과 잡거하는 현상이 벌어져 국가가 이를 금지하기도 하였다.
      지방의 비구니 사찰로는 비구니 묘덕이 양평 용문산에 불사를 하였던 윤필암과 조선시대 태조 이성계의 왕사였던 무학 자초가 비구니 화엄곡에게 사찰의 현액을 지어주었던 엄곡사 등이 찾아지고 있다.
      비구니들이 여러 불사에 참여한 사실로 보아 비구니들이 시주할 재산이 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었다. 비구니들은 비구니 사찰의 재산을 직접 운영하면서 釀造와 織造 등의 사찰수공업을 통해 경제력을 키우기도 했다. 비구니들은 비구니 사찰에서 자신들의 공동생활을 운영하면서 예불을 드리고 강회를 베풀면서 대중 교화도 하였다. 비구니들의 이러한 활동의 장소는 비구니 사찰이었다. 즉, 비구니들은 비구니 사찰에서 거주하면서 자신들이 주체가 되어 사찰을 운영했는데 이는 비구들의 사찰과 큰 차이가 없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ce of Bhikkhuni temples in Korea is first found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which states that the sister of a man named Molae, who helped Monk Ado find his way to Silla to spread Buddhism, became the first female Bhikkhuni, a B...

      The presence of Bhikkhuni temples in Korea is first found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which states that the sister of a man named Molae, who helped Monk Ado find his way to Silla to spread Buddhism, became the first female Bhikkhuni, a Buddhist nun, and built Yeongheungsa Temple. Once Buddhism was broadly accepted, women actively showed faith in the Buddha, and women entered the priesthood and became Bhikkhunis participating in various activities throughout the Three Kingdoms, the Unified Silla and Koryo Dynasty periods.
      In the Koryo Dynasty, the social class of women who became Bhikkhunis was diverse including the queen, aristocrats, officials’ mistresses and servants, and most records mentioning the names of Bhikkhunis in the Koryo Dynasty are about stories happened in the late Koryo period with a highly fragmented description of their activities. However, the epitaphs of monks who performed in the late Koryo period recorded their disciples and independently set the category of Bhikkhunis whereas the names of Bhikkhunis cannot be found in a number of monks’ epitaphs established from the late Silla to mid-Koryo period, which implies that Bhikkhunis in the late Koryo period enjoyed high social status. In the Koryo Dynasty, whose national religion was Buddhism, Bhikkhunis were treated equally as Bhikkus by the nation and public, which allows an assumption that there were also a number of Bhikkhuni temples, places for their activities. The presence of Bhikkhuni temples in the Koryo Dynasty can be found in official records such as Goryeosa (고려사) and Goryeosageolyo (고려사절요), personal anthologies of previous literati, and artifacts such as Buddhist paintings or manuscripts to which Bhikkhunis made contributions.
      In the Koryo Dynasty, Bhikkhunis had to live in separate places from where Bikkus lived, similar to the situation of the Silla. As Bhikkhuni temples, there were Jeongeobwon (정업원) and Anilwon (안일원). It seems that mostly women of the royal family and nobility stayed in these two temples. However, in the Koryo Dynasty, a number of women entered the priesthood to remain faithful to their husbands and pray for their souls after they died. Therefore, as shown in the case of Sunghyo who was honored as the only priest in the Koryo Dynasty, they built and lived in temples next to their families, which would be, however, only possible to noble-class women who could afford separate houses. Women in the subjugated class spread out to temples all across the country which perhaps made them free from the government’s control. In the late Koryo, a phenomenon where they lived with Bhikkus occurred and the government prohibited such action.
      Bhikkhuni temples outside the capital are Yoonpilam (윤필암) where Bhikkhuni Myodeok participated in Buddhist activities in Youngmoon Mountain, and Eomgoksa (엄곡사) where Muhakjacho, an adviser of King Taejo of the Chosun Dynasty, offered a signboard of the temple to Bhikkhuni Hwaeomgok.
      It can be assumed that Bhikkhunis had wealth to make donations based on the fact that Bhikkhunis participated in various Buddhist activities. Bhikkhunis directly managed the assets of Bhikkhuni temples and develop their financial status by operating handcraft manufacturing within temples such as brewing and weaving. In Bhikkhuni temples, Bhikkhunis managed their group activities, participated in Buddhist services, provided lectures, and introduced Buddhism to people. The place for these activities of Bhikkhunis were Bhikkhuni temples, which means that Bhikkhunis lived and managed Bhikkhuni temples as being the subject which would not be greatly different from the case of temples for Bhikku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1
      • Ⅱ. 여성 출가의 형태와 비구니 4
      • Ⅲ. 고려시대 비구니 사찰의 존재 13
      • Ⅳ. 고려시대 비구니 사찰의 운영 19
      • Ⅴ. 맺음말 29
      • Ⅰ. 머리말 1
      • Ⅱ. 여성 출가의 형태와 비구니 4
      • Ⅲ. 고려시대 비구니 사찰의 존재 13
      • Ⅳ. 고려시대 비구니 사찰의 운영 19
      • Ⅴ. 맺음말 2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