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려시대 刺繡 연구 = A study on the embroidery of the G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14796

      • 저자
      • 발행사항

        부여군 : 韓國傳統文化大學校,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36 판사항(6)

      • DDC

        746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형태사항

        v, 133장 : 삽화(일부천연색)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沈蓮玉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research on the craft historical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Goryeo Dynasty embroidery. This research classifies and analyzes embroidery artifacts with foreign and domestic written records of its time and compares the data with histor...

      This study is a research on the craft historical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Goryeo Dynasty embroidery. This research classifies and analyzes embroidery artifacts with foreign and domestic written records of its time and compares the data with historical records of adjacent times.
      Research on Korean embroidery has been focused on the late Joseon Dynasty or the 20th century than Goryeo Dynasty, its research subject heavily concentrated on design or pattern study more than materials or technique. Goryeo Dynasty being a period where embroidery artifacts and records can be confirmed in earnest, Goryeo artifacts are invaluable in enlightening the context of Korean handicraft history.
      Written records of Goryeo embroideries can be found throughout the country's foundation year to the latter periods, but it is mostly concentrated in Goryeo’s early stages. Records state an exclusive labor force and production system around government factories, and though there is no immediate record of it, we can speculate active embroidery production in civilian and temple manufacturers through several scripts prohibiting embroidery across the country. While ban on the produce of embroidery by the private sector continues, various records of embroidered goods appear in the royal sector, showing a double aspect in society.
      Embroidered pieces identified in records were classified into clothes, ceremonial objects, flags, decoration objects, and architectural decorations, taking into account their similarities and use. There are mostly records related to the royals or officials and often appear as objects of luxury or of royal goods.
      For the background material of embroideries, purple and red Ra(羅, 라, complex gauze) is mentioned several times. Chook-Geum(축금, 蹙金, "Couching Stitch with wrapped Gold Threads or Gold Couching Embroidery") and Nap-Su(납수, 納綉, Counted Stitch) techniques can be verified.
      There are a total of 8 artifacts announced as Goryeo embroideries and can be confirmed as Bul-Bok-Jang-Mul(불복장물, 佛腹藏物, sacred objects enshrined in Buddhist statues) or passed down artifacts. They are as follows; Woljeongsa Museum(월정사성보박물관)’s <Embroidered Incense Pouch on Complex Gauze(수라향낭, 繡羅香囊>. Onyang Folk Museum(온양민속박물관)’s <Pouch(주머니)>, a Bul-Bok-Jang-Mul of their Amitabha Buddha. Central Buddhist Museum(불교중앙박물관)’s <Incense Pouch(향낭, 香囊)> and <Norigae(노리개)>, a Bul-Bok-Jang-Mul of their Gilt-Bronze Seated Bhaisajyaguru(Medicine Buddha) Statue of Janggok-Temple. Songgwangsa Museum(송광사성보박물관)’s <Embroidered Twill Damask(자수 문능, 刺繡 紋綾)> a Bul-Bok-Jang-Mul of their Wooden Amitabha Buddha Statue of Jawun-Temple. Andong Teasameo(안동 태사묘, 安東 太師廟)’s <Embroidered Non-Patterned Twill (자수 무문능, 刺繡 無紋綾)>. Leeum, Samsung Museum of Art(삼성미술관 리움)’s <Embroidered Amitabha(자수 아미타여래도, 刺繡 阿彌陀如來圖)>, Museum of Korean Embroidery(한국자수박물관)’s <Embroidered Folding Screen of Potted Plants in Four Seasons(자수 사계분경도, 刺繡 四季盆景圖)>. The composition and fabric of each artifact were analyzed and researched on embroidery techniques and patterns.
      As embroidery materials, Ra(라, 羅, Complex Gauze), Si(시, 絁, Silk Tabby), Gi(기, 綺, Damask on Tabby), Neung(능, 綾, Twill), Sa(사, 紗, Simple Gauze), Dahn(단, 緞, satin) and such can be seen used as background textile. Mu-Yeon-Sa(무연사, 無撚絲, Twistless Yarn), Yag-Yeon-Sa(약연사, 弱撚絲, Soft Twist Yarn) are often used as embroidery threads, as well as Gang-Yeon-Sa(강연사, 强撚絲, High Twist Yarn) and Yeon-Geum-Sa(연금사, 撚金絲, Wrapped Gold Thread). Techniques can be categorized into 15 types; Jeom-Su(점수, Dot Stitch), Seun-Su(선수, Straight Stitch), Pyeong-Su(평수, Satin Stitch), Ga-Reum-I-Eum-Su(가름이음수, Split Stitch), I-Eum-Su(이음수, Outline Stitch), Ga-Reum-Su(가름수), Ja-Ryeon-Su(자련수, Long and Short Stitch), Ja-Ri-Su(자리수, Mat Stitch), Jing-Geum-Su(징금수, Couching Stitch), Mae-Deub-Su(매듭수, Knot Stitch), Sok-Su(속수, Padded Stitch), Nap-Su(납수, Counted Stitch), Ga-Jang-Ja-Ri-Su(가장자리수, Blanket Stitch or Buttonhole Stitch), Sa-Seul-Jing-Geum-Su(사슬징금수, "Chain Couching Stitch"), Ol-Lyeo-But-Im-Su(올려붙임수, Applique). Techniques that refer to certain modern pattern making such as Sol-Ip-Su(솔잎수) and Sa-Seon-Gyeog-Ja-Su(사선격자수) were not categorized. Furthermore, Sa-Sul-Su(사슬수) and Go-Li-Gam-Gae-Su(고리감개수, 环编绣, Needle-Looping) were exempted from this study.
      Although comparison study with the Three Kingdoms and Unified Silla Period is difficult due to its lack of embroidery artifacts, it seems that most of the basic techniques, which are now called traditional embroidery, had started being used in earnest from Goryeo Dynasty at the latest.
      As a period to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neighboring countries of the Goryeo Dynasty, primarily with Liao Dynasty, Song and Yuan Dynasty, it is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and technique of contemporary embroidery are shared between the countries.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we have achieved our own textile craft culture in active exchange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collect and categorize Goryeo embroidery related artifac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period and historical trends.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in the study about the color, tools, dyeing and the making of the embroidery threads. Although it is a small study that collects pieces from written records and interprets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of the actual artifacts,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will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understanding the embroidery of Goryeo Dynas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고려시대 자수(刺繡)에 대한 공예사적 특징과 가치를 살펴보기 위해 당대(當代) 국내·외 문헌 기록과 함께 관련 유물을 분류 및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접 시기의 사료들과 비�...

      본 논문은 고려시대 자수(刺繡)에 대한 공예사적 특징과 가치를 살펴보기 위해 당대(當代) 국내·외 문헌 기록과 함께 관련 유물을 분류 및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접 시기의 사료들과 비교 고찰한 것이다.
      그간 한국의 수 연구는 고려시대에 비해 조선시대 후기 및 근대기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의 소재와 기법보다는 디자인 및 문양 연구 분야로 편중되어온 추세이다. 고려시대는 수에 대한 기록과 유물이 본격적으로 확인되는 시기로서 한국 수공예(繡工藝)의 역사적 맥락들을 밝힐 수 있는 대단히 중요한 사료들이다.
      고려시대 수에 대한 문헌 기록은 건국 원년에서부터 고려말기까지 지속적으로 확인되나 비교적 전반기에 집중된다. 문헌에는 관영공장을 중심으로 전담 인력 및 생산 체계가 기술되어 있으며, 직접적인 기록은 없으나 전국에 수놓는 것을 금지시키는 다수의 교서 내용을 통해 민간 및 사원수공업에서도 비교적 활발히 수를 생산하고 있었음을 짐작해볼 수 있다. 민간의 수 생산은 지속적으로 금지하면서 왕실에서는 수품에 대한 다양한 기록들이 나타나고 있어 사회적인 측면에서 이중적인 면모를 보인다.
      문헌에서 확인되는 수품(繡品)을 용도별 유사성과 쓰임새를 고려해 복식, 의물 및 기물, 완상 및 건축 장식 등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주로 왕실 및 관료와 관련된 기록이 많으며, 사치의 대상이자 예물의 목적으로 자주 등장한다. 수의 바탕소재로 자색과 홍색의 라(羅)에 대한 내용이 다수 언급되며, 기법으로 축금과 납수가 확인된다.
      현재까지 고려시대 수품으로 발표된 유물은 총 8점으로 주로 불복장물과 전세품에서 확인된다. 월정사성보박물관 소장 <수라향낭>을 시작으로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아미타불복장 <주머니>, 불교중앙박물관 소장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불복장 <향낭>과 <노리개>, 송광사성보박물관 소장 자운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불복장 <자수 문능>, 안동 태사묘 소장 <자수 무문능>, 삼성미술관 리움(Leeum) 소장 <자수 아미타여래도>, 한국자수박물관 소장 <자수 사계분경도>가 해당된다. 각 유물의 구성 및 직물을 분석하고 수 기법과 문양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수의 소재로 라를 비롯한 시(絁), 기(綺), 능(綾), 사(紗), 단(緞) 등의 바탕직물이 사용되었음이 확인된다. 수실은 주로 무연사 또는 약연사가 사용되며 이외 강연사와 연금사도 확인된다. 기법은 점수, 선수, 평수, 가름이음수, 이음수, 가름수, 자련수, 자리수, 징금수, 매듭수, 속수, 납수, 가장자리수, 사슬징금수, 올려붙임수로 총 15종류로 분류하였다. 근·현대 특정 무늬 표현을 기법으로 지칭하는 솔잎수, 사선격자수는 별도로 분류하지 않았으며, 문헌에서 나타나는 축금은 징금수에서 분류하였다. 또한, 사슬수와 고리감개수는 본 연구 범위에서 제한하였다.
      현존하는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 자수 유물에 사례가 많지 않아 비교 연구에 어려움이 있으나 늦어도 고려시대부터는 현재 전통 자수로 일컫는 기본 기법들이 대부분 나타나고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고려의 주변국 가운데 주로 요, 송, 원과의 교류 관계를 살펴 볼 수 있는 시기로서 당대 수품의 구성과 기법의 시대적 특징이 공유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이를 통해 고려는 주변국들과의 활발한 교류 관계 속에서 독자적인 섬유 공예 문화를 이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고려시대 자수와 관련된 내용들을 일괄 수집하여 분류하고 시대적 특징 및 역사적 흐름을 고찰하기 위한 시도였으나 수실을 만들기 위한 제사 및 염색, 색상, 도구 연구의 한계점이 있었음을 밝힌다. 문헌에서 남은 편린적인 내용들을 수집하고 실존한 유물들의 소재 및 기법을 해석한 작은 연구이지만 향후 고려시대 자수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배경 및 목적 1
      • 2. 대상 및 방법 4
      • Ⅱ. 고려시대 문헌에 나타난 자수 7
      • 1. 생산 제도 7
      • Ⅰ. 서론 1
      • 1. 배경 및 목적 1
      • 2. 대상 및 방법 4
      • Ⅱ. 고려시대 문헌에 나타난 자수 7
      • 1. 생산 제도 7
      • 2. 繡品의 종류 11
      • 1) 복식에 사용된 수 11
      • 2) 의물 및 기물에 사용된 수 19
      • 3) 완상 및 건축 장식의 수 24
      • 4) 기타 27
      • Ⅲ. 고려시대 자수 유물 28
      • 1. 유물 현황 28
      • 2. 유물 분석 31
      • 1) 월정사성보박물관 소장 <수라향낭> 31
      • 2) 1302년 아미타불복장 <주머니> 44
      • 3) 1346년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불복장 <향낭> 48
      • 4) 1346년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불복장 <노리개> 51
      • 5) 1388년 자운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불복장 <자수 문능> 57
      • 6) 안동 태사묘 소장 <자수 무문능> 62
      • 7)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자수 아미타여래도> 67
      • 8) 한국자수박물관 소장 <자수 사계분경도> 72
      • Ⅳ. 자수 바탕직물과 기법의 시대성 고찰 78
      • 1. 직물 종류와 시대적 특징 78
      • 1) 라(羅) 79
      • 2) 시(絁) 81
      • 3) 기(綺) 82
      • 4) 능(綾) 83
      • 5) 사(紗) 85
      • 6) 단(緞) 86
      • 2. 자수 기법의 특징 및 분류 88
      • 1) 도구 및 수실의 종류 88
      • 2) 자수 기법의 종류와 구조 92
      • Ⅴ. 결론 118
      • 참고문헌 122
      • Abstract 13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