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려시대 상감청자 국화문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9841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명지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미술사학과 2020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09 판사항(6)

      • DDC

        709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v, 162 p. (일부접지) : 천연색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윤용이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고려시대 상감청자에 나타난 국화문에 대한 연구이다. 고려청자의 문양, 장식기법중에 장식 효과가 가장 뛰어난 기법은 상감이다. 상감청자는 음각, 양각 청자에 비해 색의 대비...

      이 논문은 고려시대 상감청자에 나타난 국화문에 대한 연구이다. 고려청자의 문양, 장식기법중에 장식 효과가 가장 뛰어난 기법은 상감이다. 상감청자는 음각, 양각 청자에 비해 색의 대비를 이용하여 문양이 뚜렷하며, 철백화 청자에 비해 섬세한 표현이 가능하다. 고려시대 국화문은 청자를 비롯하여 석조와 나전, 금속등 다양한 재질의 공예품을 장식하는데 이용되었다. 각 공예품에 표현된 국화문의 형태적 유사성은 소재를 단순 모방한 것이 아니라 문양으로써 그 정형이 공유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문헌을 통해서 국화문의 발생과 상징성에 대해 살펴보고, 박물관이나 개인소장 등에서 수집한 유물자료에서 문양을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고려시대의 공예품 중 대표적인 청자, 금속기, 나전칠기 등을 중심으로 예술적, 미술사적 가치를 고찰하는것이다. 그리고 한국적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서 중국의 도자기와 양식물 중에서 국화문의 표현양식의 특질을 비교할 수 있는 것은 포함하여 다루기로 한다.
      국화문은 거의 모든 기종의 청자에서 확인될 뿐만 아니라 시문기법도 음각, 양각, 철화, 백화, 압출양각, 상감, 투각 등 다양하다. 전해지는 작품의 수가 많고 기술과 표현을 지닌 청자에서 중심문양 뿐만 아니라 종속문양으로도 적극 활용되었다.
      최근 전남 강진, 전북 부안에 위치한 대표적인 상감청자 생산지와 관련된 자료들이 잇따라 공개되었다. 강진 사당리 가마터 발굴조사는 1964년 시작하여 1977년까지 총 9차례에 걸쳐서 실시하였고 발굴조사 보고서가 2015년 간행되었다. 이에 따라 사당리 가마터에 대한 고급청자를 생산했던 곳임이 밝혀졌다. 또 부안 유천리 발굴조사 보고서가 2011년 간행되었다. 그렇지만 이미 도굴로 인해 가마의 본래 상태인 퇴적층이 교란된 상태였으므로 기종의 구성과 특징을 완벽하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음이 발굴조사보고서에 명시되었다. 부안 유천리 12호가마터는 고급청자의 제작지로 상감청자와 같은 질 높은 상품을 생산했던 곳이다.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에서 2017년 전시를 통해 이화여자대학교의 소장품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한 부안유천리 12호가마터에서 출토된 파편을 대량으로 공개했다. 이로써 상감청자의 생산지인 부안 유천리 가마터에 대한 정보가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한적으로 다루어졌던 생산지 자료를 보완하고 기존에 국화문이 상감기법으로 시문된 고려청자 등장시기를 12세기라 제시하였던 주장을 재 고찰하기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고려청자에 시문된 국화문의 양식분석과 함께 유적 출토품을 기준으로 시기에 따른 변화의 양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13세기 전반에 제작된 고려청자에서 상감기법이 발전하면서 고려시대 상감청자가 등장하는 13세기부터 14세기 말까지 제작·소비되었던 상감청자 국화문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개념과 연원을 살펴보고 유적출토현황을 통한 제작과 사용, 제작배경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최근 연대가 추정 가능한 해저 출수 유물들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면서 국화문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논문에 반영하여 편년을 시도하고자 한다.
      국화문은 상감청자에서 꾸준히 사랑 받아온 소재로 적극 시문되었다. 또한 아름다운 관상가치도 지니고 있어 문인들의 시구에도 자주 등장한다. 이러한 배경은 청자를 소비하는 계층의 취향을 반영하여 문양으로 자연스럽게 활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상감청자에 국화문이 등장하는 시기는 13세기 전반이다. 이는 당시 고려의 사상과 관련이 있다. 『고려사』의 기록에 의하면 예종(睿宗, 재위1105∼1122)대 성행한 도교와 추세를 같이하고 있다. 예종대에 복원궁(福源宮)이 건립되었던 사실, 의종대에 다양한 도교신에 대한 숭배가 이 사실을 뒷받침한다. 이러한 내용들은 도교신, 도교인물에 연관되며 중국문물에 흠뻑 빠졌다는 기록에서 잘 나타난다. 이런 추세는 12세기 후반 의종(毅宗, 재위1146∼1170)연간까지 크게 성행하고 있었다. 이는 12세기 전반 예종 연간 북송으로부터 수용되었던 것이고 원시천존상(元始天尊像)이 궁궐의 옥촉정(玉燭亭)에 안치되었고 도관인 복원궁이 건립되었다는 사실로 입증된다. 도교의 최고신을 궁중에 안치했다는 것은 왕실과 지배층에게 도교가 한층 유행하고 있었음을 의미하며 예종의 도교에 대한 깊은 관심을 말해주고 있다. 당시 고려는 유교, 불교, 도교사상이 공존하였고 고려왕실과 민간에서는 기복신앙 형태로 수용되었다. 왕실을 중심으로 영향력을 키워 온 도교문화는 13세기를 전후하여 저변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명종(明宗, 재위1170∼1197), 신종(神宗, 재위1197∼1204), 희종(熙宗, 재위1204∼1211)연간에 활동한 죽림고회(竹林高會), 해동기로회(海東耆老會)와 같은 문인들의 모임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이들 모임에서 도교문화에 관한 관심의 표출은 아울러 작품에 잘 나타나 있다. 죽림고회와 해동기로회에 참여하고 있었던 이인로(李仁老, 1152∼1220)는 쌍명재기(雙明齋記)에서 해동기로회의 인물들이 선풍도골(仙風道骨)이자 신선으로 묘사하고 있다. 그는 『장자(莊子)』「각의(刻意)」를 인용하여 도인(導引)하지 않고도 장수하는 존재들이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들 모임의 인사들을 <해동기로도>에 그렸다고 하는데 해동기로회의 도교적 분위기로 인해 세상 사람들은 이들을 신선에 비유했다고 한다. 특히 해동기로회는 고관대작을 지낸 원로들의 모임으로 참석자들 대부분이 최충헌(崔忠獻, 1149∼1219)과 관련된 인물들이었다. 이는 당시 소외당하는 문인계층이 아니라 높은 지위를 누렸던 권력층이었음을 의미한다. 왕실을 포함한 지배층은 당시 고급 공예품이었던 상감청자를 향유할 수 있었던 소비자이자 문화를 주도하는 계층으로 볼 수 있다. 청자에 장식된 국화문을 살펴보면 국화의 부분들이 도안화되면서 문양구성과 표현을 이루는데 국판문(菊瓣紋), 국화절지문(菊花折枝紋), 국화당초문(菊花唐草紋) 등으로 시문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상감을 비롯한 다양한 기법으로 시문된 국화문청자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생산지, 해저유적, 소비지유적으로 나누어 출토품을 검토하였으며 기형별로 분류하였다. 특히 전남 강진 사당리가마터와 전북 부안 유천리가마터에서 출토된 국화문 상감청자와 전세품을 비교하여 제작시기와 시기별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2세기 후반에 등장한 철백화 청자가 상감청자로 발전하면서 음각, 양각, 압출양각은 나타나지 않고, 점점 철백화도 사라져간다. 상감청자 국화문의 성립기에 해당하는 13세기 2/4분기에는 음각과 압출양각, 상감기법 등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였다.
      발전기와 절정기인 13세기 3/4분기∼14세기 1/4분기에는 전체적인 문양구성의 화려함이 절정을 이룬다. 국화의 화문은 정면형 들국화 형태를 띠며 갈수록 대범해지고 거칠어지며 소형화, 단순화되어 조촐한 분위기를 지닌 들국화문으로 나타난다. 간지명이 나온 것이 14세기 전반(1329∼1355)까지이며 상감청자는 1342년부터 급격하게 질이 떨어진다. 이러한 양상이 14세기 후반 공민왕시기까지 지속된다. 1376년 이후 강진이나 부안지역에 상감청자가 발견되었다는 기록은 없다. 강진과 부안지역은 왜구의 침략(1350∼1390)으로 인해 쇠퇴해갔기 때문이다. 14세기 2/4분기∼14세기 4/4분기로 가면서 상감청자의 대량생산과 보편화가 이루어진다. 번조받침에는 모래받침과 태토빚음받침이 나타나며 청자의 질적하락과 양적 축소가 진행된다. 전반적인 청자의 제작과정과 같이 상감청자 국화문 또한 이전시기의 세련된 모습은 줄어들고, 인화기법을 활용하여 화문을 가로, 세로로 간략하게 시문하는 형태로 바뀌어 갔다. 이어 상감문양이 점점 사라져가면서 조선시대 분청자의 인화기법으로 이어진다.
      이 논문은 국화문의 양식분석과 함께 시기에 따른 흐름과 변화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국화문양이 주문양과 종속문양으로 장식되어 등장시기와 중심시기를 재고하고 학자마다 주장이 다른 상감청자 전개과정을 국화문을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주제어 : 고려시대(高麗時代), 상감청자(象嵌靑瓷), 국화문(菊花紋), 도교문화(道敎文化), 13∼14세기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f chrysanthemum design in the inlaid celadon of the Goryeo Dynasty. Among the patterns and decoration techniques of Goryeo celadon, the technique with the best decorative effect and skill is inlaid. The inlaid celadon uses the c...

      This paper is a study of chrysanthemum design in the inlaid celadon of the Goryeo Dynasty. Among the patterns and decoration techniques of Goryeo celadon, the technique with the best decorative effect and skill is inlaid. The inlaid celadon uses the color contrast as compared to the intaglio and embossed celadon, and the pattern is clear. Moreover it is possible to express more delicately than the iron-painting celadon. During the Goryeo Dynasty was chrysanthemum design used to decorate handicrafts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celadon, stone, mother-of-pearl, and metal. The morphological similarity of chrysanthemum design expressed in each craft shows that the shaping is shared by the style of the times rather than the simple imitation of the material.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is to use the method of analyzing the patterns of artifacts collected in museums and private collections by looking at the occurrence and symbolism of chrysanthemum design through the literature, I will consider the value of artistic and art history mainly on celadon, metalware, and pearl lacquerware. And the ability to compare the features of chrysanthemum design expression style among Chinese ceramics and other wares to elucidate Korean features is included and treated.
      Chrysanthemum design is not only found in almost all types of celadon, but also has a variety of designing methods such as intaglio, embossing, iron, white, extruded embossing, inlays and openwork. In addition, chrysanthemum design has a large number of works remaining, and was actively used not only as the central pattern of celadon porcelain but also as a dependent pattern.
      Recently, a series of documents related to the typical inlaid celadon production sites located in Gangjin, Jeonnam and Buan, Jeonbuk have been released. Excavations at the site of the Sadangli Kiln site started in 1964, and until 1977 a total of nine excavations had been conducted, and the excavation report was published in 2015. This revealed that it was producing advanced celadon for the Sadangli kiln site. In addition, Yuchonri, Buan Excavation Report was published in 2011. However, the excavation report stated that there was a limit to fully grasping th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as the sedimentation that was the original state of the kiln had been hindered by the grave robbery. Yuchonri, Buan Kiln No. 12 was producing high-quality products like inlaid celadon, an advanced celadon production area. Through the 2017 exhibition at the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a large amount of celadon fragments excavated from the Yuchonri, Buan No. 12 kiln collection held by the Ewha Womans University collection and the National Central Museum were released. Information about the ruins of the Yuchonri kiln, Buan, which is the place where the inlaid celadon porcelain is produced, has become widely 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lement the materials of the production areas that were limited in the previous research, and to reconsider the argue that the existing chrysanthemum design proposed the appearance of the Goryeo celadon made by inlaying technology in the 12th century. It also has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style of chrysanthemum design with the Goryeo celadon pattern and assessing the change over time based on archaeological excavations. In particular, I will look at the concept and the source of the inlaid celadon chrysanthemum design produced and consumed from the 13th century to the end of the 14th century, when the Goryeo inlaid celadon appeared, and examine the production, use, production background, etc. through the excavation status of the archeological site. In addition, I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change of chrysanthemum design I met as the research on the seafloor excavation that can be estimated recently progresses, and reflect it in my dissertation to try chronology.
      Chrysanthemum design is a subject that has been steadily loved for inlaid celadon and has been actively used. It also has beautiful ornamental value and often appears in literary poems. It is presumed that these backgrounds are naturally used in patterns, reflecting the tastes of the audience consuming. Chrysanthemum design appeared in the inlaid celadon in the first half of the 13th century. This is related to the idea of ​​the Goryeo Dynasty at that time.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History of Goryeo”, Taoism was popular during the era of Yejong(睿宗, reigned 1106 to 1122). The restoration palace was erected in the Euijong period, and the worship of various Taoist-Gods in the Gojong period confirms this fact. These contents are associated with Taoist-Gods, Taoist figures, and are often documented as immersed in Chinese artifacts. This tendency was very active until the second half of the 12th century, during the year of Euijong(毅宗, reigned 1146 to 1170) period. It was housed from the Northern Song during the Yejong period, the first half of the 12th century. This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the Statue of Wonsicheonjon(元始天尊像) was laid in the palace's Okchokjeong(玉燭亭) and the Bokwon palace(福源宮) was erected. The enshrining of the Taoist god in the palace implies that the Taoism was very popular with the royal family and the ruling class, indicating a deep interest in the religion. At that time, Goryeo considered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ought coexisting. The Taoist culture, which has been influenced mainly by the royal family, appears to expand to the bottom around the 13th century. This is a Jukrimgohoi(竹林高會) and Haedongkorohoi(海東耆老會), which were active during the year of the Myeongjong(明宗, reigned 1170-1197), the Shinjong(神宗, reigned 1197-1204), and the Heuijong(熙宗, reigned 1204-1211). The interest in Tao culture seen at these gatherings is evident in several works. Expressions of interest in Taoist culture at these gatherings are often manifested in the work. Lee Iin-ro(李仁老, 1152-1220), who participated in the Jukrimgohoi(竹林高會) and Haedongkorohoi(海東耆老會), portrayed the decompressing person in Immotal during the recovery of Sangmyeongjaegi(雙明齋記). He quoted the inscription of Gakeui(刻意) of Chang-Tzu(莊子) saying, "They lived long without Doin(導引)." The members of these gatherings were depicted in Haedonggirodo, therefor the world's people compared them to the Immotal because of the Taoist atmosphere. In particular, the Haedongkorohoi(海東耆老會) was a gathering of senior officials, and many of the participants were related to the authority over Choi Chung Hun(崔忠獻, 1149-1219). This means that they were not the marginalized literary people at the time, but the power people who enjoyed high ranks. The dominant class, including the royal family, is the consumer who enjoyed the luxury inlaid porcelain at the time, and can be seen in the culture-driven class. If you looking at the chrysanthemum design decorated with celadon, the parts of the chrysanthemum were designed to form a pattern and expression, and it was inscribed in the form of gukpanmun(chrysanthemum lay out design), gukhwa jeoljimun(chrysanthemum spray design) and gukhwadangchomun(chrysanthemum scroll design).
      In this study, in order to ascert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rysanthemum design celadon written in various techniques, including inlays, the excavated products were classified into production areas, submarine ruins, and consumption areas, and classified by deformity. In particular, they compared the Gukwhamun inlaid celadon charter products excavated from the ruins of the Sadang kiln, Yuchonli kiln, Gangjin in Jeollanam-do and Buan, Jeonbuk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duction period and each season. The iron-painting porcelain that appeared in the latter half of the 12th century evolved into an inlaid porcelain, and the intaglio, embossing and extrusion embossing were not displayed, and the iron-whitening gradually disappeared. In the second quarter of the 13th century, the period of the formation of inlaid celadon Gukwhamun, various techniques were used, such as intaglio and extrusion embossing and inlaying techniques.
      In the development period and the climax period, the third quarter of the 13th century to the first quarter of the 14th century, the gorgeousness of the overall pattern composition culminates. Chrysanthemums in the form of frontal wild chrysanthemums are increasingly bold and rugged, smaller, simplified, and have a modest atmosphere, and are displayed in the wild chrysanthemums design. The chronological record was issued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4th century (1329-1355), and the quality of the inlaid porcelain declined sharply from 1342. These aspects persist until the late 14th century Gongminwang period. Since 1376, no records have been found of inlaid celadon in Gangjin or the Buan area. This is because Gangjin and the Buan area declined due to the invasion of Japanese invaders (1350∼1390). Mass production and generalization of inlaid celadon will take place while going from the second quarter of the 14th century to the fourth quarter of the 14th century. The sand coaster and the vitreous vitreous coaster are displayed on the baked coaster, and the quality of the listener is reduced and the quantity is reduced. As in the whole process of celadon porcelain, the inlaid celadon chrysanthemum design has also been reduced in sophistication in the previous period, and by using printing techniques, it has been changed to a form that makes it easy to write Japanese poem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is leads to the beginning of the print buncheonja of the Joseon Dynasty, where the inlaid pattern disappears.
      In this paper, it is significant in examining chrysanthemum design formal analysis and examining the flow and changes according to the time. I would like to point out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n that each assertion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other inlaid celadon based on chrysanthemum design.

      Keyword : The Goryeo Dynasty, Inlaid celadon, Chrysanthemum Design, Taoism, 13th and 14th centu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도판목차 ⅱ
      • 삽도목차 ⅸ
      • 표목차 ⅹ
      • 국문초록 ⅻ
      • 도판목차 ⅱ
      • 삽도목차 ⅸ
      • 표목차 ⅹ
      • 국문초록 ⅻ
      • Ⅰ. 머리말 1
      • Ⅱ. 국화문의 기원과 시문배경 4
      • 1. 국화문의 기원 5
      • 2. 국화문의 시문배경 8
      • 3. 국화문이 표현된 공예품 13
      • Ⅲ. 국화문청자의 출토품 현황 20
      • 1. 생산지 출토 국화문청자 20
      • 2. 해저 출수 국화문청자 56
      • 3. 소비지 유적 출토 국화문청자 76
      • Ⅳ. 상감청자 국화문의 양식적 특징 및 변천과정 95
      • 1. 상감청자 국화문의 양식적 특징 95
      • 1) 상감청자 국화문의 유형 95
      • 2) 국화문양과 함께 쓰인 문양 103
      • 2. 상감청자 국화문의 변천과정 105
      • 1) 제 1기 (13세기 전반) 106
      • 2) 제 2기 (13세기 후반) 110
      • 3) 제 3기 (14세기 전반∼14세기 후반) 112
      • Ⅴ. 맺음말 117
      • 참고문헌 120
      • 도 판 125
      • Abstract 1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