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靑銅器時代 製絲術 硏究 : 호서지역 출토 전‧중기 방추차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56154

      • 저자
      • 발행사항

        청주 : 충북대학교, 201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 고고미술사학과(원) 2014. 8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59.7109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Spinning Technology in the Bronze Age: Comparing Spindle Whorls of Early and Middle Bronze Ages, Hoseo Region

      • 형태사항

        vi, 61 p. ; 26 cm.

      • 일반주기명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지도교수 :김범철
        참고문헌 (46-52 p.) 수록

      • 소장기관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nges to Spinning Technology in the transition processes in the early and middle Bronze Age by comparing spindle whorls. Spinning Technology refers to the technology of making yarn with fabric and is 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nges to Spinning Technology in the transition processes in the early and middle Bronze Age by comparing spindle whorls. Spinning Technology refers to the technology of making yarn with fabric and is closely related to clothing life. They use bare hands with no devices or use Spinning like spindle whorls during Jesa. Unlike other artifacts whose research efforts have been active, spindle whorls have no basic discussions, which triggered the investigator to examine Jesasul during Bronze Age through spindle whorls.
      The Korean archeological community has not paid attention to Spinning Technologyduring Bronze Age. There were some discussions about the time and space features of spindle whorls, but the attempts to find their meanings as a spinning tool have not been enough. This study thus set out to compare and analyze the attributes related to the forms and functions of spindle whorls and thus understand the changes to Spinning Technology.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the structural attributes of spindle whorls and the relations between fabric and yarn in order to analyze spindle whorls and examine Spinning Technology. The weight and diameter of spindle whorl has close connections with the types of fabric and the thickness of yarn. Specifically speaking, large and heavy spindle whorls are proper for making long fabric with fewer twists and thick yarn, whereas small and light ones are proper for making short fabric with more many twists and thin yarn.
      Spindle whorls were categorized into different forms based on the materials and appearances and compared by the periods in order to examine changes to their shapes. As a result, spindle whorls made of earth in a cone shape or disc shape decreased, and those made of stone in a disc shape increased during the transition processes in the early and middle Bronze Age. By taking into account diameter and weight at the same time, spindle whorls were categorized into small and light ones and large and heavy ones and compared by the periods. As a result, small and light spindle whorls increased, whereas large and heavy ones decreased. Those findings raise a huge possibility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fabric and yarn according to periods.
      The forms and structural attributes of spindle whorls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central holes. Those made of stone are thinner than those made of earth. It is relatively more difficult to drill a hole in a spindle whorl made of stone than one made of earth. When a spindle whorl made of stone is thin, it will be comparatively easier to drill a hole in it, which must be a partial reason they made a spindle whorl with stone. As the number of light spindle whorls increased during the transition processes in the early and middle Bronze Age, the number of thin spindle whorls also increased along with the relative multiplication of spindle whorls made of stone.
      The backgrounds of those changes to Spinning Technology are found in the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The middle Bronze Age witnessed the emergence of a composite social structure unlike the early Bronze Age, which mean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kinds of fabric usually used by the elite and common households. It is highly likely that fabric related to small light spindle whorls was mainly used by the chiefs(and their group), who increased the production of such fabric by controlling the labor force of common households. The process seems to have caused changes to spindle whorls. The temperature dropped during the transition processes in the early and middle Bronze Age, which poses a possibility that they produced fabric made of thin yarn to improve the warmth retentivity of clothes and that such developments caused changes to spindle whor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방추차를 비교하여 청동기시대 전·중기 전이과정에서의 제사술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製絲述은 섬유를 실로 만드는 기술을 뜻하며 이러한 제사술은 의생활과 밀접한 ...

      본 연구의 목적은 방추차를 비교하여 청동기시대 전·중기 전이과정에서의 제사술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製絲述은 섬유를 실로 만드는 기술을 뜻하며 이러한 제사술은 의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제사는 도구 없이 맨손으로 하거나 방추차와 같은 製絲具를 이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방추차는 활발한 연구가 진행된 다른 유물과는 달리 기초적인 논의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추차를 통하여 청동기시대 제사술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 고고학계에서는 청동기시대 방추차의 시·공간적인 특징에 대한 논의는 진행되었지만, 정작 제사구로서 방추차가 가진 의미를 찾으려는 시도는 부족하였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추차의 형태와 기능과 관련된 속성을 시기별로 비교분석하여 제사술의 변화를 이해하고자 한다.
      방추차를 분석하여 제사술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방추차의 구조적 속성과 섬유 및 실과의 관계를 이해해야 한다. 방추차의 무게나 지름은 섬유의 종류나 실 굵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긴 섬유·꼬임이 적게 필요한 섬유를 제사하고, 또는 굵은 실을 만드는 것에는 대형의 중량 방추차가 적합하며, 짧은 섬유·꼬임이 많이 필요한 섬유로 제사하고, 또는 가는 실을 제사하는 데에는 소형의 경량 방추차가 적합하다.
      방추차의 형태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재질과 외형을 기준으로 형식분류하고 이를 시기별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청동기시대 전중기 전이과정에서 토제원뿔형과 토제원판형은 감소하고 석제원판형은 증가한다. 방추차의 지름과 무게를 동시에 고려하여 소형·경량과 대형·중량으로 나누어 시기별로 비교한 결과, 소형·경량은 증가하며 대형·중량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섬유나 실의 종류가 시기별로 차이가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방추차의 형태와 구조적 속성의 관계는 방추차의 중앙구멍 제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토제·석제방추차의 두께를 비교하면 석제방추차의 두께가 더 얇다. 즉 석제방추차는 구멍을 만드는 것이 토제방추차보다 상대적으로 어려운데 두께가 얇을 때에는 비교적 천공하기가 쉬어 석재로 방추차를 제작하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청동기시대 전·중기 전이과정에서 경량의 방추차가 증가함에 따라 얇은 방추차의 개체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석제방추차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것이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제사술 변화의 배경은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청동기시대 중기에는 전기와는 다르게 복합화된 사회조직이 등장한다. 따라서 청동기시대 전기의 직물은 자가소비 되었지만 중기의 직물은 자가 소비 뿐만 아니라 貢與(tribute)의 메커니즘을 통해 소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즉 당시의 수장(층)은 소형·경량방추차와 관련된 가치가 높은 직물을 확보하여 자신의 권력을 유지·확대 하고자 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수장(층)은 일반가구들의 노동력을 통제하여 이러한 직물의 생산량을 증가시켰으며 이와 같은 과정에서 방추차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청동기시대 전·중기 전이과정에서는 온도가 하강하는데 의복의 보온성을 증가시키고자 가는 실로 만든 직물의 생산량이 증가하였을 가능성이 있고 이러한 현상 때문에 방추차의 변화가 발생하였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論 1
      • Ⅱ. 先史古代 製絲術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3
      • 1. 製絲述 연구의 주요 쟁점 3
      • 2. 한국 청동기시대 紡錘車연구의 현황과 과제 5
      • Ⅰ. 序論 1
      • Ⅱ. 先史古代 製絲術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3
      • 1. 製絲述 연구의 주요 쟁점 3
      • 2. 한국 청동기시대 紡錘車연구의 현황과 과제 5
      • Ⅲ. 靑銅器時代 紡錘車의 형태기능 변화와 製絲樣相 18
      • 1. 전중기 紡錘車의 형태기능 비교 18
      • 2. 紡錘車의 변화와 製絲樣相의 관계 33
      • Ⅳ. 紡錘車를 통해 본 靑銅器時代 製絲樣相 변화의 의미 36
      • 1. 사회경제적 측면 36
      • 2. 환경적 측면 38
      • Ⅴ. 結論 44
      • 참고문헌 4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