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嶺南地域 高麗 墓 出土 靑磁에 대한 編年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296404

      • 저자
      • 발행사항

        진주 :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5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5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Chronological Study of Celadon Vessals Excavated from Koryo Tombs in the Yeoungnam District

      • 형태사항

        v, 65 p. : 삽도 ; 27 cm.

      • 소장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영남지역의 고려시대 무덤에서 출토된 청자에 대해서 기종분류, 형식분류, 상대편년 및 절대편년자료를 이용하여 편년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절대연대를 알 수 있는 자료가 없기 ...

      지금까지 영남지역의 고려시대 무덤에서 출토된 청자에 대해서 기종분류, 형식분류, 상대편년 및 절대편년자료를 이용하여 편년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절대연대를 알 수 있는 자료가 없기 때문에 다른 지역에서 출토된 청자의 절대연대를 알 수 있는 자료를 검토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편년을 검증하기 위해 청자와 공반되는 甁에 대한 기존 연구 성과를 대입하였다. 형식분류 결과 영남지역 고려 묘에서 출토된 반상기 청자는 크게 4시기로 구분이 가능하고,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1기(9세기 후기~11세기 중기)는 후삼국의 정치적 혼란을 겪으면서 중국 월주요 청자의 영향으로 청자가 제작되기 시작하여 고려초 정치적으로 안정이 되면서 청자의 제작 기술도 점차 안정되어가는 시기이다. 반상기 청자의 구연단은 대부분 外反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햇무리굽완은 이시기까지만 제작되는 특징을 보인다. 편년의 중요한 자료는 공반되는 병류의 편년안이다.
      둘째, 제2기(11세기 중기~12세기 중기)는 고려사회가 안정되고, 대외적으로 중국과 활발히 교류하던 시기이다. 청자사적으로 볼 때, 비색청자 제작기술이 가장 발달한 시기이기도 하다. 이 단계에는 청자발이 外反되는 경우도 출토되기도 하지만 내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己丑銘(1049) 廣口甁과 癸丑銘(1073) 靑磁 鉢이 편년의 중요한 자료이다.
      셋째, 제3기(12세기 중기~13세기 후기)는 상감청자 기술이 도입되어 청자 제작기술이 한층 더 발달한 시기이나, 최씨 무신 집권, 몽고의 침입 등으로 인해 고려 사회가 혼란한 시기이기도 하다. 이 단계의 청자 발은 구연단이 外傾하고, 동체는 直線的인 것이 특징이다. 문공유(1159년) 무덤에서 출토된 청자발이 편년의 중요한 자료이다.
      넷째, 제4기(13세기 후기~14세기 말기)는 몽고의 오랜 기간 침입과 간섭으로 인해 元文化가 高麗社會에 영향을 많이 미친 시기이다. 청자 발은 口緣이 內灣하며, 동체의 곡선도가 가장 높은 지점이 동상위에 있으며, 곡선도도 매우 높다. 이 단계에는 간지명이 새겨진 청자가 많이 확인되기 때문에 절대연대를 알 수 있는 자료가 많다. 또한 공반되는 유물 중 분청사기는 편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청자 발의 특징을 기준으로 크게 4단계로 시기를 구분하였으나, 공반 관계를 볼 때 청자 기형이 각 단계마다 단절된 것이 아니라 연속선상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청자는 공반되는 사례가 적어 순서배열법을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기존에 연구된 다른 지역의 절대연대를 알 수 있는 자료를 검토하여 대입하였다. 이것은 고려 사회가 지역마다 문화적 차이가 적으며, 특히 청자문화의 지역적 차이가 적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청자의 편년에 대한 연구는 절대연대를 알 수 있는 자료가 적기 때문에 미술사학자들 사이에 여러 견해가 있다. 본 논고는 이러한 문제점에서 출발하여 형식학적 분석 방법으로 영남지역 고려 묘 출토 청자에 대한 편년을 시도한 것이다. 그러나 같은 기종의 청자가 공반되는 사례가 적어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형 외 문양, 제작 기법, 유약의 특징 등의 속성으로는 분석하지 못하였다. 앞으로 이러한 청자의 다양한 속성을 바탕으로 편년을 검증하고자 하며, 청자에 대한 편년이 정립되면 공반되는 다른 기종의 유물에 대해서도 편년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f celadon vessels that have been excavated from Koryo Period burials up to the present. The method that I used in this thesis was to divide up the vessel styles and type of celadon and attempted to establish a chronology. I the...

      This thesis is a study of celadon vessels that have been excavated from Koryo Period burials up to the present.
      The method that I used in this thesis was to divide up the vessel styles and type of celadon and attempted to establish a chronology. I then standardized the typology. Among the attributes of celadon shape, the rim area of the vessel was most reflective of chronology and so I established it as attribute No. 1. Other accompanying attributes such as change in body shape were combined and analyzed. I established several branches for the purpose of analysis, and I substituted information on and examined data on absolute dates. There were no data on absolute dates for Early Koryo. The amount proved to be small and so for celadon here I substituted early dates with types of bottles.
      I found that Koryo celadons from burials in Yeongnam can be divided into four sub-period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are summarized below.
      Sub-period No. 1 (Late 9th century to Mid-11th century)
      Celadon was first made under the influence of China during the politically anarchic Latter Three Kingdoms Period. As the political situation stabilized in Early Koryo the technological abilities related to celadon production also stabilized. Rims in this sub-period are predominantly extruding in shape. Footed plate vessels with "sun halo" designs were made until the end of this sub-period.
      Sub-period No. 2 (Mid-11th century to Mid-12th century)
      Koryo society stabilized in this sub-period, which is marked by active exchanges with China. Extruded rim bowls from this period have been excavated, but intruding rims were the norm. Several important pieces, namely bowls, that date to this sub-period (1049, 1073) are important data.
      Sub-period No. 3 (Mid-12th century to the Latter 13th century)
      In this sub-period the development of celadon production was furthered by the introduction of inlaying to celadon technology. Due to the Choe military grab for power and the invasion of the Mongols, Koryo society reached an anarchic state. Characteristic of this period are celadon with extruded rims and straight lines across the surface of the body. The celadon bowl from the burial of Mun Gong-yu(1159) is important data from this period.
      Sub-period No. 4 (Latter 13th century to Late 14th century)
      Koryo society was influenced by the Yuan Dynasty in this sub-period because of the invasion and longtime interference of the Mongols. Rims are found toward the interior of the vessels and the body of vessels is decorated with curvilinear designs along the top of pottery. It is possible to know absolute dates of some celadon from this period because of the available data and presence of other accompanying ceramic wares such as Buncheong sagi.
      From this study it is apparent that four sub-periods can be detected for celadon. The presence of accompanying artifacts indicates that these typological sub-periods occur continuously, from one stage to the next without interruptions or gap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次
      • Ⅰ. 序論 = 1
      • Ⅱ. 靑磁의 發生과 編年에 대한 硏究史 = 3
      • Ⅲ. 遺蹟의 檢討 = 9
      • 1. 慶尙北道 및 大邱 地域 = 10
      • 目次
      • Ⅰ. 序論 = 1
      • Ⅱ. 靑磁의 發生과 編年에 대한 硏究史 = 3
      • Ⅲ. 遺蹟의 檢討 = 9
      • 1. 慶尙北道 및 大邱 地域 = 10
      • 2. 慶尙南道 및 蔚山 地域 = 20
      • Ⅳ. 墓에서 出土된 靑磁에 대한 分析 = 26
      • 1. 器種 分類 = 26
      • 2. 器種別 屬性分析 및 型式設定 = 31
      • Ⅴ. 墓 出土 靑磁의 編年 = 52
      • 1. 共伴關係 分析 = 52
      • 2. 編年 = 55
      • Ⅵ. 結論 = 60
      • 參考文獻 = 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