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시대 승려의 문집 간행에 대한 서지적 연구 =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Publication of Literary Collections of Joseon’s Buddhist Mon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160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Buddhism since the Koryo Dynasty and examine the trend of publication of Buddhist literature and educational system and institutions in detail to focus on the editions of literary colle...

      The present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Buddhism since the Koryo Dynasty and examine the trend of publication of Buddhist literature and educational system and institutions in detail to focus on the editions of literary collections of the Buddhist monks during Joseon Dynasty.
      Out of the 92 editions of literary collections by Buddhist monks published in the Joseon era, seven were printed in early Joseon, 71 in late Joseon, and 14 were from unidentifiable period. It was found that 11 editions were only mentioned in the literature; 誡天’s 『花谷集』, 李亘璇’s 『白坡集』, 淸性’s 『頭輪堂集』, 信玄’s 『愛蓮集』, 會同’s 『會同集』, 普印’s 『楓岳堂集』, 無瑕’s 『無瑕禪師詩稿』, 展翎’s 『南溟詩集』, 誡天’s 『花谷集』, 有烱’s 『雪竇詩集』, and 『草堂集』. Other five collections such as 體照’s 『龍岩堂遺稿』, 法璘’s 『聾默集』, 惠楫’s 『鐵船小艸』, 心如’s 『山志錄』, and 慧堅’s 『龍岳堂私藁集』 have been excluded from the research because they were not open to the public or difficult to acces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hology of Joseon Buddhist monk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y were published, in general, one or two years after the author-monk had been deceased at the earliest, and even 50 – 60 years later at the latest. 虛靜 法宗’s 『虛靜集』, which was published in 1732, a year before he passed away, was a rare exception.

      Second, they often showed similar composition and organization. Most of the literary collections were a garland containing poetry and prose but some of them only included Buddhist writings, miscellanies, or letters, without poetry. The poems showed different styles; variant, archaic, recent, and various style. Recent-style poems include 律詩·絶句·排律. The types of prose were one to more than ten according to the writer, including 序·跋·記·疏·贊·上樑文·勸善文·祭文. 雪巖 秋鵬 left the most poems among the Joseon monks while Chupa Hong You wrote down 158 pieces of prose in his collection

      Third, the literary collections during Koryo Dynasty were mostly published with expressions such as ‘語錄’, ‘外集’, ‘後集’, ‘詩集’, or ‘歌頌’ in the title which changed into ‘詩集’, ‘文集’, or ‘遺稿’ in Joseon. Also, the contents were concentrated on quotations from Buddhist monks such as 上堂, 示衆, 小參, or 着語 in Koryo while the focus was shifted to poems and letters exchanged with Confucian scholars as the exchanges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became active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as 記·疏·勸善文·上樑文 were newly added, the publication took the similar shape to those of Confucian authors. Zen poetry created by Buddhist monks have been found in the collections of 冲止, 景閑, and 普愚 since its first appearance in 『曹溪眞覺國師語錄』. It influenced Buddhist monks in Joseon, including 己和, 普愚, 休靜, and 太能, whose literary collections contained a number of Buddhist poems. Also, form late Koryo to early Joseon, only one or two out of 序·跋·行狀 were included but later all were contained in the published collections.

      Fourth, preface, postface, records of a deceased person's life, or epitaph, which were included in the collections, were written by others for the purpose of praising and glorifying writings and behaviour of the writer. The pieces were included at the beginning or the end of the collection without any rules and some of them, or even all, may be left out. Preface or postface written by noble families, first appeared in 『淸虛堂大師集』 and 『四溟堂大師集』. By the late Joseon period, it has become a general practice as influential members of the contemporary noble families, such as, 李敏求, 洪千璟, 丁範祖, 李廷龜, and 李景奭 continued to write prefaces or postfaces for the literary collections.

      The members of noble families in Joseon were officially in the position of opposing Buddhism to maintain their social status but personally befriended Buddhist monks exchanging opinions and ideas. This friendship lasted into late Joseon era and noble families tended to participate in the publication of the literary collections by Buddhist monks. The number of editors of the preface, postface, records of a deceased person's life, or epitaph, which were included in the existing literary collections of Joseon Buddhist monks, are 62, 34, 21, and 9, respectively. 84 members of noble families or writers and 38 monks wrote down more than two of those, with the former accounting for 69%, remarkably higher than the latter.

      Fifth, by printing types, there are 17 printed books, 67 block books, 6 manuscripts, and 2 other types making a total of 92. Block books are the most common type of publication represent over 68%. Also, most collections were published one-time only. By period, 5 collections were printed and published between 14th and 16th century and they showed similarities in the titles and types of writings included as those of Koryo. On the other hand, 18 collections were published in the 17th century and their contents were concentrated on Buddhist ceremonies such as Suryukjae (The water and land ceremony for the lonely spirits and hungry ghosts) and Cheondojae (Consolation ceremony for the spirit of the dead) and services praying for the nation’s wellbeing and health and longevity of the royal family. During the 18th century, 27 literary collections were published, more than any other periods. The amount of the material on reconstruction of the temples

      Sixth, occupational composition for the publication was examined and many of the workers were repetitively found in other publication works giving a glimpse of the trend of temple publication at the times.

      Seventh, throughout the Joseon era, Buddhist order made great efforts to succeed tradition of each sect from the Koryo Dynasty by enhancing the teaching, writing, loyalty, and legitimacy of the venerable masters. Above all, Buddhist monks seem to have published literary collections in the hope that the thoughts and teachings would be transmitted to the future generations and legitimacy of the sect they belonged to recognized by the society. In short, the publication of literary collections by Buddhist monks is significant as it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and succession of the 鞭羊 彦機 sect from 太古 普愚 and 淸虛 休靜.

      The present paper conducted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literary collections of Buddhist monks during the Joseon Dynast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aspects of publication. It is expected that future researchers could benefit from this study to explore related topics in dep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고려시대부터 이어온 불교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고, 불교 서적의 편찬과 간행동향, 나아가 불교 교육제도와 교육기관 등을 상세히 살펴본 뒤 조선시대 승려들의 문집 판본에 관...

      본 논문은 고려시대부터 이어온 불교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고, 불교 서적의 편찬과 간행동향, 나아가 불교 교육제도와 교육기관 등을 상세히 살펴본 뒤 조선시대 승려들의 문집 판본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조선시대 승려의 간행 문집 판본은 전체 92종으로 조사되었고, 이 중 전기에 간행된 문집 7종 후기에 간행된 문집 71종, 연대 미상 문집 14종으로 조사되었다. 서명을 기준으로 기록으로만 전하는 문집은 11종으로 조사되었다.
      이 밖에 기록으로 전하는 문집은 誡天의 『花谷集』, 李亘璇의 『白坡集』, 淸性의 『頭輪堂集』, 信玄의 『愛蓮集』, 會同의 『會同集』, 普印의 『楓岳堂集』, 無瑕의 『無瑕禪師詩稿』, 展翎의 『南溟詩集』, 誡天의 『花谷集』, 有烱의 『雪竇詩集』, 『草堂集』 등 11종이며, 공개되지 않거나 실물 접근이 어려워 연구 대상에서 제외된 문집은 體照의 『龍岩堂遺稿』, 法璘의 『聾默集』, 惠楫의 『鐵船小艸』, 心如의 『山志錄』, 慧堅의 『龍岳堂私藁集』 등 5종이다.
      조사된 인본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승려 문집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문집은 대게 승려가 입적한 후 그 시기가 이르면 1-2년, 늦으면 50-60년이 지난 후에야 간행되었다. 1732년에 간행된 허정 법종의 『허정집』의 경우 승려가 입적하기 1년 전에 간행되었으나 극히 드문 경우다.

      둘째, 조선시대 승려 문집은 대부분 구성 및 편성 체제가 비슷하게 나타난다. 대부분의 문집은 시와 산문을 함께 수록한 시문집의 성격을 띠지만 법문과 잡문 혹은 서간문만을 모아 시가 빠진 체 문집의 특성만을 지닌 것도 일부 나타난다. 수록된 시의 형태는 변체시, 고체시, 근체시, 잡체시 등이 있으며, 이 가운데 근체시는 律詩·絶句·排律 등 그 형식이 다양하다. 산문의 종류는 ·序·跋·記·疏·贊·上樑文·勸善文·祭文 등으로 문집에 따라 적게는 1가지 많게는 10여 가지가 수록되었다. 설암 추붕은 조선시대 승려 가운데 가장 많은 시를 남겼으며 추파 홍유는 158편의 산문을 남겼다.

      셋째, 고려시대 승려 문집의 서명은 대게 ‘語錄’, ‘外集’, ‘後集’, ‘詩集’, ‘歌頌’ 등을 사용하여 편찬·간행되었으며, 이러한 문집 편찬의 유형은 조선시대로 접어들어 ‘詩集’, ‘文集’, ‘遺稿’ 등으로 변화되었다. 또한 문집 수록 유형에 있어서 고려시대 문집은 上堂, 示衆, 小參, 着語 등 승려들의 語錄을 중점적으로 수록하였다. 반면 조선시대 문집에는 유불교섭에 따라 학자들과 주고받은 시와 서간 등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記·疏·勸善文·上樑文 등이 새롭게 추가되는 등 유가문집과 유사하게 편찬‧간행되었다. 승려들이 창작한 불교 선시의 경우 『曹溪眞覺國師語錄』에서 처음 나타나며 이후 충지, 경한, 보우의 문집에서 확인된다. 이후 조선시대 승려 기화, 보우, 휴정, 태능 등이 영향을 받아 이들의 문집에 불교선시를 다수 포함하여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덧붙여 고려후기에서 조선 초기까지는 서‧발‧행장 중 일부만 문집에 수록되다가 조선 후기로 갈수록 세 가지 모두를 수록하여 문집을 편찬‧간행하였다.

      넷째, 승려 문집에 수록된 서·발문, 행장, 비문 등은 저자의 시·문과 행적을 칭송하고 선양하기 위한 목적으로 타인에 의해 저술되었다. 이러한 서·발, 행장은 문집의 앞·뒤 부분에 특정한 규칙 없이 수록되었으며 문집에 따라 일부만 수록되거나 모두가 빠진 경우도 있다. 사족들의 서·발문은 『청허당대사집』과 『사명당대사집』에서부터 수록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李敏求, 洪千璟, 丁範祖, 李廷龜, 李景奭등 당대 영향력 있는 사족들의 서·발문이 연이어 수록되었고 이러한 경향은 하나의 관행처럼 조선후기까지 이어졌다.
      사족들은 자신들의 사회적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불교 탄압을 주도하였지만 개인적으로 승려들과 사상적 견해와 식견을 공유하며 친밀한 교유관계를 형성하였고, 이러한 관계는 후대까지 지속되어 승려 문집의 간행 시 사족들이 동참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현전하는 조선시대 승려 문집에 수록된 서문·발문·행장·비문의 찬자는 각각 62명, 34명, 21명, 9명이다. 이 가운데 2가지 이상을 저술한 사족 및 문인은 84명, 승려는 38명이며 사족 및 문인의 비율은 69%로 승려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다섯째, 조선시대 승려 문집을 판종별로 분류해 보면 활자본 17종, 목판본 67종, 필사본 6종, 기타 2종으로 모두 92종이다. 이 가운데 목판본이 전체 68% 이상을 차지해 가장 많이 간행되었으며 일부를 제외한 문집 대부분이 일회성으로 간행되었다.
      간행 시기별로 구분하여 승려 문집의 특징을 살펴보면 14-16세기에 간인된 승려 문집은 5종으로 문집명과 수록된 글의 유형이 고려시대 승려 문집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17세기 간행 승려 문집은 모두 18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들 문집에는 수륙재·천도재 등과 같은 불교의식을 행한 내용과 국가의 안녕과 왕실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법회를 거행한 내용이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18세기 간행 승려 문집은 27종으로 가장 많은 수의 승려 문집이 간행되었다. 이 시기에 간행된 승려 문집에는 사찰의 중건 관련 자료의 수가 크게 증가하였고, 국가 및 왕실의 안녕, 개인의 복, 영가 천도를 위해 지은 疏가 많이 저술되었던 것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19세기 간행 승려 문집은 15종으로 유학자와 승려들의 교유 횟수가 크게 증가하였고, 불경 간행, 불상 및 불화의 조성, 사찰 창건과 불사관련 내용이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당시 고승들이 수행과 교학 진흥에 많은 노력을 했던 내용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20세기 간행 승려 문집은 모두 14종으로 교법과 선법을 전하기 위한 승려의 강회·법회 활동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간행처별 분석은 크게 중앙과 지방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전체 56종의 문집가운데 94%이상이 지역 사찰에서 간행되었으며 평안도, 전라도, 경상도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승려 문집의 간행은 주로 생전에 자주 왕래하거나 주석 및 입적한 사찰에서 이루어졌다.

      여섯째, 간행 사업에 참여한 다양한 직역의 참여 실태를 살펴보았고, 이들은 비슷한 시기 여러 간본의 판각 활동에 중복으로 이름을 올리는 등 당시 사찰 출판의 모습 및 정황을 간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일곱째, 고려시대부터 이어진 불교계는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문파별 전통을 계승하고자 선사의 道學·문장, 충절, 계보적 정통성을 선양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승려들은 선대로부터 이은 사상과 불법이 후대에 까지 이어지길 바라고, 자신들이 소속된 문파의 정통을 사회로부터 인정 받기위해 문집을 간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승려 문집의 간행은 태고 보우에서 청허 휴정 이후 편양 언기 문파가 형성되어 현재까지 그 법맥이 이어진 데에 큰 의의가 있다.

      이상으로 조선시대 승려 문집 판본의 종합적인 연구를 통해 그 특징 및 간행 양상을 파악해 보았다. 차후 진행될 조선시대 승려 문집과 관련한 심도 깊은 연구에 이 연구가 도움이 되길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연구의 목적
      • 2. 연구의 방법과 한계
      • 1) 연구의 방법
      • 2) 연구의 한계
      • Ⅰ. 서론
      • 1. 연구의 목적
      • 2. 연구의 방법과 한계
      • 1) 연구의 방법
      • 2) 연구의 한계
      • 3. 선행연구의 개요
      • Ⅱ. 조선시대 불교 사회와 승려의 저술 활동
      • 1. 불교 사회의 변천
      • 1) 임란 전
      • 2) 임란 후
      • 2. 講學과 僧家敎育制度
      • 1) 승가교육제도의 성립과 발전
      • 2) 승가교육기관 및 敎科 교재의 간행
      • 3. 승려의 저술 활동
      • Ⅲ. 조선전기 간행 승려 문집의 판본
      • 1. 책판목록에 나타난 승려 문집 판본 및 현황
      • 2. 현전하는 승려 문집 판본
      • 1) 14-15세기
      • 2) 16세기
      • Ⅳ. 조선후기 간행 승려 문집의 판본
      • 1. 책판목록에 나타난 승려 문집 판본 및 현황
      • 2. 현전하는 승려 문집 판본
      • 1) 17세기
      • 2) 18세기
      • 3) 19세기
      • 4) 20세기
      • 5) 간행시기 미상
      • Ⅴ. 조선시대 승려 문집 판본 분석
      • 1. 문집의 구성 내용과 특징
      • 2. 고려시대 승려 문집과의 비교
      • 3. 서·발문·행장 찬자의 분석
      • 4. 서지적 분석
      • 5. 간행 참여자 분석
      • 6. 승려 법맥에서 본 문집 간행 승려
      • Ⅵ.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성재헌, 윤찬호, 설담집, 허정집, "null",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2 이대형, "월성집", 동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3 김석군, "의룡집", 동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4 이영무, "침굉집", 불교춘추사, 서울 : 불교춘추사, 2001

      5 김종진, 박재금, "호은집", 동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6 이기영, "佛典解說", 서울 : 韓國佛敎硏究院, 1991

      7 범해각안, "동사열전", 동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8 김두재, "아암유집", 동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9 이상현, "청허당집", 동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6

      10 추파집, 하혜정, "추파수간",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1

      1 성재헌, 윤찬호, 설담집, 허정집, "null",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2 이대형, "월성집", 동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3 김석군, "의룡집", 동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4 이영무, "침굉집", 불교춘추사, 서울 : 불교춘추사, 2001

      5 김종진, 박재금, "호은집", 동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6 이기영, "佛典解說", 서울 : 韓國佛敎硏究院, 1991

      7 범해각안, "동사열전", 동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8 김두재, "아암유집", 동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9 이상현, "청허당집", 동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6

      10 추파집, 하혜정, "추파수간",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1

      11 장희혹, "海東高僧傳", 서울 : 民族社, 1991

      12 임재완, "대각등계집", 동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13 이상현, "무용당유고", 동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14 이상현, "사명대사집",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15 김정휴, "韓國高僧評傳", 서울 : 弘法院, 1982

      16 이상현, "부휴당대사집", 동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3

      17 오청환, 한정섭, "한국 고승전 下", 서울 : 불교정신문화원, 2014

      18 김영태, "『한국불교사』", 경서원, 서울 : 경서원, 1997

      19 천혜봉, "韓國書誌學硏究", 서울 : 三省出版社, 1991

      20 김동화, "韓國歷代高僧傳", 서울 : 三星文化財團, 1973

      21 이종영, "“僧人號牌考.”", 동방학지, 제6집, pp.189-217, 1963

      22 윤병태, 정형우, "韓國의 冊板目錄", 서울 : 保景文化社, 1995

      23 이능화, "등. 朝鮮佛敎通史", 서울 : 慶熙出版社, 1968

      24 권상노, "韓國寺刹全書上下", 서울 : 東國大學校出版部, 1979

      25 박상국, "全國寺刹所藏木板集", 서울 : 文化財管理局, 1987

      26 이대형, "응운공여대사유망록", 동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27 박해당, "함허당득통화상어록", 동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7

      28 금장태, "儒敎思想과 宗敎文化", 서울 : 서울大學校出版部, 1997

      29 김상호, "『조선의 각수 연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대구 : 대구대학교출판부, 2013

      30 김갑주, "朝鮮時代寺院經濟硏究", 서울 : 同和出版公社, 1983

      31 천혜봉, "“조선전기佛書版本.”", 서지학보, 제5집, pp.3-43, 1991

      32 유탁일, "“嶺南文獻錄-慶南篇.”", 국어국문학, 제28권, pp.127-202, 1965

      33 김영태, "“조선 선가의 法統考.”", 佛敎學報, 제22집, pp.11-44, 1985

      34 나희라, 최병헌, 서영대, "한국불교사연구입문 上下", 파주 : 지식산업사, 2013

      35 김종진, "“義龍體訓의 문학세계.”", 열상고전연구, 제40집, pp.577-611, 2014

      36 김형중, "“서산대사의 시문학고.”",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한문교육전공대학원, 1986

      37 남도영, "“僧伽敎育의 歷史的考察.”", 僧伽, 제1집, pp.14-27, 1984

      38 박세민, "韓國佛敎儀禮資料叢書-第2輯", 서울 : 三聖庵, 1993

      39 정병삼, "“18세기 승려 문집의 성격.”", 한국어문학연구학회, 한국어문학연구, 제48집, pp.87-117, 2007

      40 최재복, "“조선초기 왕실불교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1

      41 김종진, 박재금, "송계대선사문집 상월대사시집", 동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17

      42 김무봉, "“조선전기의 佛經諺解사업.”", 불교어문논집, 제1집, pp.73-86, 1996

      43 최병헌, "등. 韓國佛敎禪門의 形成史硏究", 서울 : 民族社, 1986

      44 황인규, "조선시대 불교계 고승과 비구니", 혜안, 서울 : 혜안, 2011

      45 김성수, "“13世紀前期刊行佛書의 分析.”", 書誌學硏究, 第27輯, pp.151-186, 2004

      46 박도화, "“朝鮮前半期佛經版畵의 硏究.”",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미술사 학과대학원, 1998

      47 이봉춘, "“조선전기 불전언해와 그 사상.”", 韓國佛敎學, 제5집, pp.41-70, 1980

      48 강순애, 윤혜영, "“金敏榮所藏佛書의 書誌的硏究.”", 書誌學硏究, 第41輯, pp.255-396, 2008

      49 김진현, "“蓮潭有一의 一心和會思想硏究.”",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불교 학과대학원, 2010

      50 이종수, "「17세기 유학자의 불교인식 변화」", 보조사상연구원, 보조사상, 제37집, pp.257-292, 2012

      51 이지관, "韓國高僧碑文總集: 朝鮮朝․近現代", 서울 : 伽山佛敎文化硏究院, 2000

      52 배규범, 조선조, "불가문학 연구 : 壬亂期를 중심으로", 서울 : 보고사, 2001

      53 김상호, "“朝鮮朝寺刹板刻手에 관한 硏究.”",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도서관학과대학원, 1990

      54 김방룡, "「부휴 선수의 사상과 그의 법통관」", 한국선학회, 한국선학, 제22집, pp.191-237, 2009

      55 이대형, "“17세기 승려 奇巖法堅의 산문 연구.”", 열상고전연구, 제31집, pp.321-349, 2010

      56 우진웅, "“朝鮮時代妙香山普賢寺刊行版本考.”", 書誌學硏究, 第51輯, pp.165-203, 2012

      57 손성필, "「16 17세기 불교정책과 불교계의 동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사학과대학원, 2013

      58 기경부, 허흥식, 김형우, "朝鮮佛敎學硏究叢書123 指空, 太古, 普愚", 고양 : 불함문화사, 2004

      59 김치우, "고사촬요 책판목록과 그 수록 간본 연구", 아세아문화사, 서울 : 아세아문화, 2007

      60 이춘희, "李朝書院文庫目錄: 李朝書院文庫目錄考", 서울 : 大韓民國國會圖書館, 1969

      61 남권희, "“12世紀刊行의 佛敎資料에 관한 硏究.”", 書誌學硏究, 第17輯, pp.373-420, 1999

      62 남권희, "“高麗時代記錄物의 交流와 保管制度.”", 社會科學, 제13집, pp.91-132, 2001

      63 안귀숙, 최선일, "朝鮮後期佛敎匠人人名辭典-工藝와 典籍-", 서울 : 양사재, 2009

      64 남권희, "“고려시대 불교자료의 서지학적 개관.”", 일조각, 韓國史市民講座, 제37집, pp.49-74, 2005

      65 손성필, "“조선시대 불교사 자료의 종류와 성격.”", 불교학연구, 제45호, pp.267-300, 2015

      66 조명제, "“朝鮮後期浮休門派의 사상과 문파의식.”", 한국선학, 제24집, pp.55-90, 2009

      67 고희숙, "“韓國佛敎講院沙彌科敎材의 書誌的硏究.”", 書誌學硏究, 第10輯 , pp.883-932, 1994

      68 고영섭, "“조선후기 고승의 비석 건립과 문집 간행.”", 한국불교사연구, 제6집 , pp.101-140, 2015

      69 김성수, "“寺刹講院四敎科敎材의 刊行에 관한 考察.”", 創立十周年紀念論文集, , pp.55-81, 1983

      70 이용운, "“조선후기 통도사의 僧侶門中과 畵僧任閑.”", 불교미술사학, 제23집 , pp.127-158, 2017

      71 김방룡, "「조선시대 불교계의 유불교섭과 철학적 담론",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儒學硏究, 제25집 , pp.139-161, 2011

      72 남희숙, "“16-18세기 佛敎儀式集의 간행과 佛敎大衆化.”", 한국문화, 제34집, pp.97-165, 2004

      73 김승호, "“敬一의 문학에 나타난 道仙的傾向과 그 의미.”", 어문연구, 제34-1집 , pp.349-374, 2006

      74 박영숙, "“知訥의 撰述禪書와 그 所依典籍에 관한 硏究.”", 書誌學硏究, 第1輯 , pp.251-267, 1986

      75 송정숙, "“조선시대 사본 연구: 특성 종류 필사자를 중심으로.”", 書誌學硏究, 第26輯, pp.347-367, 2003

      76 부남철(BU Nam Chul), "조선건국 이후 17세기까지 불교 승려의 정치의식과 행동",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제49집, pp.111-135, 2015

      77 손성필, "「16세기 사찰판 불서 간행의 증대와 그 서지사적 의의 」", 한국서지학회, 書誌學硏究, 第54輯, pp.359-379, 2013

      78 손성필, "“16세기 전반 불교계의 실태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朝鮮時代史學報, 제77호, pp.125-172, 2016

      79 고희숙, "“韓國佛敎講院의 沙彌科 四集科敎材의 刊行에 관한 硏究.”", 創立十 周年紀念論文集, , pp.235-275, 1993

      80 김광일, "“광해군대 문인 사대부의 불교 인식과 승려와의 시적 교유.”", 한국선학회, 韓國 禪學會, 제13집, pp.435-471, 2011

      81 박경주, "“여말 선초 문인층과 승려층의 시가교류 현상에 대한 고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고전문학과 교육, , pp.127-153, 2006

      82 박해당, "「조선후기 유학자들의 불교관 -승려 문집의 서문을 중심으로」",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泰東古典硏究, 제28집, pp.207-232, 2012

      83 이미숙, "“浮雪傳의 저작시기에 대한 再考證-典故분석을 중심으로.”", 禪文化硏究, 제17집, pp.41-75, 2014

      84 김치우, "“朝鮮朝前期地方刊本의 硏究: 冊板目錄所載의 傳存本을 中心으로.”",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대학원, 1999

      85 노기춘, "“順天松黃寺開板佛事에 관한 연구 : 壬亂以前有刊記佛書를 中心으로.”", 書誌學硏究, 第25輯, pp.447-476, 2003

      86 이대형, "“조선시대 승려 문집의 莊子수용과 활용 : 枕肱集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 제48집, pp.179-206,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