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歐陽修 산문의 한국 전래와 수용 =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Ou-yang Hsiu's(歐陽修) prose writings into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5032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歐陽修 문집의 한국에의 전래로부터 시작하여 간행된 규모 및 전파에서 주요 역할을 한 문선집들을 소개하고, 문인들의 반영과 인식을 규명하여 歐陽修가 얼마만큼의 영향을 끼...

      이 연구는 歐陽修 문집의 한국에의 전래로부터 시작하여 간행된 규모 및 전파에서 주요 역할을 한 문선집들을 소개하고, 문인들의 반영과 인식을 규명하여 歐陽修가 얼마만큼의 영향을 끼쳤는가를 그 연구목적으로 삼았다.우선 歐陽修 산문의 전래와 전파과정을 고찰하였다. 歐陽修 문집은 늦어도 1214년부터 고려에 유입되기 시작하여 고려 말(1386년)에 初刊 되었으며, 조선 초기에 널리 성행되었다. 그 뒤, 成宗·宣祖·肅宗 연간에도 유입되고 成宗·中宗·明宗 연간에 간행되었다. 歐陽修 문집의 간행을 그 유입 상황과 아울러 보면, 고려 말과 成宗 초에 집중된다.歐陽修 산문이 전파되는 데에 있어서 문선집이 큰 역할을 하였다. 《詳說古文眞寶》는 고려 말부터, 《文章軌範》․《文章正宗》은 조선 전기부터 간행·전파되었는데, 도학적 문학관에서 출발하여 오직 성리학 기준으로 先秦~宋代 글을 선별하였다. 《唐宋八大家文抄》는 조선 중기부터 간행·전파되었는데 초간시부터 歐陽修의 《新唐書》가 增補되었다. 《歐陽文抄》, 《歐文》 등 書名으로 된 歐陽修 글은 《唐宋八大家文抄》와 별도로 간행된 적도 있다. 그 뒤 이루어진 개인 문선집이나 《唐宋八子百選》은 모두 道를 중시함과 동시에 文의 독자성과 작가의 개성을 인정한 茅坤의 《唐宋八大家文抄》를 전범으로 삼았다. 이에 대한 고찰을 통해 歐陽修 산문이 조선 중기 전에는 士林派를 중심으로 한 도학의 발전과 밀접히 관련되고, 조선 중기로부터는 고문 이론·창작의 발전과 관련될 것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고려 말의 李齊賢·李穡 등 고문가들은 歐陽修 글의 사상과 내용을 익숙히 파악하여 李齊賢은 그 유교사상과 창작 작법을 실제에 맞게 수용하였고, 李穡은 政事에는 ‘與民同樂’ 사상을 수용하고 개인적으로는 ‘心性修養’을 수용하였다.조선 초기 金宗直은 ‘與民同樂’의 ‘樂’에 道的詩文을 추구하는 역사사명을 부여하였고, 沈義는 歐陽修를 聖人으로 구가하면서 ‘至樂’의 전제를 밝혔으며, 金麟厚는 〈醉翁亭記〉의 창작배경을 밝히고 당시 작가의 심적 상태를 조명하여 歐陽修의 도덕 경지를 보여주고 행동에 옮겨 실천하였다. 그 뒤, 사회 부조리가 점차 심해지자, 정치적 비리를 비판하고 私利와 私慾을 없애는 心性修養의 지침으로 되었다. 주체의 내재적인 덕을 수양하여 전반적 국면을 돌보는 歐陽修 사상 및 실천적 행동은 바로 도학가들이 이상화하는 경지였다.壬丙兩亂 후, 歐陽修 글의 간결성과 서정성, 특히 《歐蘇手簡》은 척독 산문의 형성·발전에 단서가 되었으며 歐陽修가 문의 독자성을 ‘立言’으로 설명한 바에 주목하여 張維는 ‘詩能達人’을 주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글의 문예미를 추구하여 刻意潭思하는 창작태도에 동감하였다. 張維는 歐陽修 등 고문가들의 ‘文道幷重’을 ‘華實兼備’로 달리 표현하고 歐陽修의 ‘文簡意深’의 창작원칙을 ‘詞約意盡’으로 표현했다. 金昌協은 歐陽修 글의 풍격과 그 원리를 밝히고 善學의 古文精神을 계승하였으며, 碑誌文의 篇章構造와 敍事技法을 분석하여 碑誌文이 실용성으로부터 문예성으로 전변하게 하였다. 이 시기는 산문이론과 비평, 창작 범위에서 수용되었다.歐陽修 글은 文體反正 때 正祖에 의해 순정한 고문으로 평가되어 완전히 정착하는 단계에 들어서는데, 洪奭周·金邁淳 등 관각문인을 중심으로 문장작법의 기준이 되었다. 문체반정의 희생자 李鈺은 《歐文約》을 엮었고, 또 〈秋聲賦〉를 본떠 〈蟲聲賦〉를 지어 사회의 부조리와 민생의 처지를 반영하였으며 전문문인으로서의 갈등, 고뇌와 함께 글쓰기 의의에 대한 회의를 드러내었다.본 연구가 歐陽修 산문 수용의 進展되는 흐름을 파악하게 하여 唐宋八大家의 문장수용에 대한 상황을 전반적으로 이해하는데 一助하고, 최종적으로 한국 산문발전에 영향을 준 주요 요인을 살피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