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조선시대 한자학 문헌 연구: = (A)document study on the research of Chinese graphological in the Era of Jose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298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요약】 이 논문은 朝鮮王朝(1392-1910) 학자들에 의해 집필된 중국 文字學과 관련된 문헌들을 발굴, 분류, 정리, 분석, 종합, 평가하여 이 시기에 수행된 중국 문자학 연구의 모습을 오...

      【국문요약】

      이 논문은 朝鮮王朝(1392-1910) 학자들에 의해 집필된 중국 文字學과 관련된 문헌들을 발굴, 분류, 정리, 분석, 종합, 평가하여 이 시기에 수행된 중국 문자학 연구의 모습을 오늘날의 시각으로 종합적인 재조명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조선의 학자들은 중국 문자의 字形, 子音, 字意 등등 모든 문자학 분야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를 수행하였지만, 이들의 연구 결과들은 대부분 학자들의 個人的 文集에 분산 수록되어 있어, 학계의 집중적인 연구 대상이 되지 못한 감이 없지 않았었다.
      따라서 필자는 분산된 저술들을 가능한 한 모두 수집하고, 이들을 상호 대조하여 분류하고, 분석하여 귀납하는 방식으로 이 시기의 관련 문헌의 전반적인 모습을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시대의 관련 문헌을 《說文》연구, “六書” 연구, “書體” 연구, “字書” 연구 및 “文字論” 연구 등의 다섯 영역으로 나누고 각 부문별로 정밀한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나아가 개별 학자들이 처했던 당시의 사회 사조와 역사적 배경을 참고하고, 같은 시기의 중국학자들의 연구 업적과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들 연구 업적에 대해서는 이들과 같은 시대의 관점에서도 객관적인 평가를 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說文》에 대한 연구는 주로 18세기에 집중적으로 수행되어 학술저서 1부, 학술 논문 1편, 序文 4편, 跋文 2편 등이 지금까지 전해오고 있다. 17세기 말의 것으로는 “說文”에 대해 간단히 언급한 짧은 서찰 1건이 전해 올 뿐이다. “說文” 자체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 업적이 거의 없는 것으로 미루어 보면 당시의 연구 분위기가 매우 취약했음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說文》에 대한 문헌적 연구는 업적들이 포괄하고 있는 범위나 질적 수준이 상당하였다. 거의 완벽한 《說文》의 저작이 있었고, 또한 이 문헌에 대해 제기한 질의와 考異도 있었으며, 조선시대 한자 연구를 집대성하였다고 할 수 있는 朴瑄壽의《說文解字翼徵》은 金文을 근거로 《說文》의 원문 주석을 바로잡기도 하였다. 이 시기 李圭景과 朴瑄壽의 연구에서는 《說文》을 이해하고 이에 대해 과학적으로 考證하는 실증적 태도 등이 돋보이며, 따라서 이들이 이룩한 업적은 이후 漢文學 연구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六書”에 대해 언급한 문헌은 모두 19편이 발견되었는데, 이들은 16인 학자의 개인 문집과 《內閣日曆》에서 산재되어 있다. 이중 16세기 중엽의 문헌으로 보이는 1편은 현재 전해오고 있지 않으며, “六書”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 업적은 18세기 중엽 이후에 본격적으로 나타난다.
      이 시대 학자는 “六書”이론과 漢字의 구조나 본질 등의 관계에 대해 비교적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나아가 중국문학 연구에도 접목하여 상호 보완 발전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正祖의 “策問文字”와 여러 대신의 “對策”은 가장 뛰어난 중국문학 연구의 한 면모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文學에 대한 崇尙과 實事求是를 추구하는 당시의 학풍은 후세 학자들에게 많은 귀감이 되었다.
      조선의 학자들이 중국학자들의 관점과 주장에 대하여 관찰하고 이를 인용하거나 비판하였다는 사실은 우리들 스스로 중국문학의 일부 인물과 사실에 대해 소홀히 하였던 점을 반성하게 하는 충분한 계기가 되었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시기 조선 학자의 중국 문자학에 대한 연구는 매우 독창적이고 가치 있는 관점은 충분히 가지고 있었지만, 전반적이고도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여, 학술적 시각에도 일정 정도의 한계를 노정하였을 뿐 아니라 후세 사람들의 주목 또한 크게 받을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 시대 “書體”에 대해 연구한 학자는 10여인으로 30편의 문장이 전해오고 있다. 다른 분야에 대한 연구는 18세기에 집중적으로 수행되는데 반해 “書體”에 대한 연구는 16세기 말부터 중단 없이 지속되었다.
      이 시기 학자들은 漢字의 원류를 고찰하기 위해 초기 三代의 문학까지 소급하여 고찰하고, 나아가 중국 最古의 史書인《尙書》에 대해서도 철저한 연구를 했다.
      이들은 “書體”에 대한 적극적인 관찰과 연구를 통하여 “眉篆”이나 “秋史體”와 같은 독창적 서체를 창안하였을 뿐 아니라 《古文韵律》《篆韵書》와 같은 專門的 서적도 간행하였다.
      이 시기 학자들의 연구 영역이 광범위하였고 특별히 文字의 원류나 篆體, 隸書 등에 이르기 까지 깊은 관심을 보였지만 유감스럽게도 전문적으로 “書體”에 대해 연구한 저술은 발견되지 않았다.
      “字書”에 대한 연구는 글자에 대한 연구와 字書 편찬의 두 분야로 나타나는데, 이 영역의 연구와 편찬은 조선시대 全般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학자는 최소한 19인, 관련된 문헌은 23편 정도이다.
      學童들이 誦讀하여 解得하는 字書, 문자의 形象과 邊旁 分部에 따라 排列한 字書, 集錄篆 ‧ 隸書 ‧ 古文字의 字書와 六書를 이용하여 문자를 분석한 저술 등등 매우 광범위하게 연구 편찬 되었다.
      많은 학자들이 당시의 漢字 書寫에 심각한 不規則的 현상이 있어 매우 많은 俗體字, 誤字, 別字가 나타나고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바로 잡고자 하는 노력은 경주하였으나 결국 제대로 修正한 正字體의 字書를 출간하지 못하였다.
      “文字論”에 대한 연구서는 모두 7편이 발견되었고 이들은 모두 18세기 후반기 이후에 저술된 것이다. 이 시기 학자들은 중국어에 대해 연구하고 교습하는 등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실천하면서 상당히 풍부한 중국 문자학 지식을 축적하였다. 특히 7인의 학자는 漢字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상세히 밝히기도 하였는데 그 연구 수준이 상당히 높았으나 많은 문헌이 저술되지는 못하였다.
      이 논문의 주된 연구 목적은 조선 시대 문자학 연구 문헌의 발굴과 정리 평가였으며, 또 필자 개인적인 시간적 공간적 제약 때문에 이상의 다섯 분야에 걸친 문헌 약 100여 편에 대해 단편적 문장에서 전문적 저술까지 망라하여 수집, 분류, 분석, 평가, 종합하는데 만족할 수밖에 없었다.
      조선시대의 문자학 연구 업적의 內的 고찰과 상호 비교 분석 및 중국의 연구 결과와의 대조 분석 등을 수행하지 못한 점이 못내 아쉽다. 이에 대해서는 후일을 기약할 수밖에 없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录
      • 【中文摘要】 1
      • 第一章 绪论 4
      • 一 选题缘起与意义 4
      • 目录
      • 【中文摘要】 1
      • 第一章 绪论 4
      • 一 选题缘起与意义 4
      • 二 研究内容和方法 5
      • 三 前人研究概述 5
      • 第二章 韩国朝鲜时代《说文》文献研究 9
      • 一 引言 9
      • 二 朝鲜时代《说文》研究文献及分类 9
      • 三 朝鲜时代《说文》研究文献的分析整理 10
      • (一)李瀷《说文》 10
      • (二)李忠翊《说文新义序》 10
      • (三)李圭景《说文辨证说》 12
      • (四)朴瑄寿《说文解字翼征》 16
      • (五)金允植《说文解字翼征》序、后序以及跋 19
      • (六)金器卿《说文解字翼征》跋 21
      • (七)李邻镐《说文考异序》及附录《说文考异二十四条》 21
      • 四 朝鲜时代《说文》研究的特点 24
      • (一)朝鲜时代《说文》研究所取得的成就 24
      • (二)朝鲜时代《说文》研究的不足之处 25
      • 第三章 韩国朝鲜时代“六书”文献研究 26
      • 一 引言 26
      • 二 朝鲜时代“六书”研究文献及分类 27
      • 三 朝鲜时代“六书”研究文献的分析整理 27
      • (一)李瀷《谐声》 27
      • (二)洪良浩《六书经纬序》和《六书经纬》 28
      • (三)沈有镇《第五游》和沈来永及吴载纯《跋》 32
      • (四)正祖《策问四•文字》 36
      • (五)李德懋《六书策》 38
      • (六)柳得恭《六书策》 41
      • (七)朴齐家《六书策》 43
      • (八)李书九《对策》 46
      • (九)徐荣辅《试卷:文字之道》 48
      • (十)尹行恁《硕斋应制录》 51
      • (十一)边斗建《六书韵义论》 55
      • (十二)李邻镐《字音假借考序》及附录《字音假借考》 57
      • (十三)丁若镛《六书》和《甥侄羔藿等》 59
      • 四 朝鲜时代“六书”研究的特点 60
      • (一)朝鲜时代“六书”研究所取得的成就 62
      • (二)朝鲜时代“六书”研究的不足之处 62
      • (三)朝鲜时代“六书”研究的意义和影响 63
      • 第四章 韩国朝鲜时代“书体”文献研究 64
      • 一 引言 64
      • 二 朝鲜时代“书体”研究文献的分析整理 64
      • (一)许穆及其书体研究 64
      • (二)崔南重《书契说》 70
      • (三)韩元震《篆韵书跋》 71
      • (四)李德懋《隶古定》 72
      • (五)金正喜《尚书今古文辨》 74
      • (六)李圭景及其书体研究 77
      • (七)李源祚《伪古文十六言辨》 81
      • (八)李裕元及其书体研究 82
      • (九)李昱《仓颉造字说》 86
      • 三 朝鲜时代“书体”研究的特点 87
      • (一)朝鲜时代“书体”研究所取得的成就 88
      • (二)朝鲜时代“书体”研究的不足之处 90
      • 第五章 韩国朝鲜时代“字书”文献研究 91
      • 一 引言 91
      • 二 朝鲜时代“字书”研究文献的分析整理 91
      • (一)崔世珍的“字书”研究 91
      • (二)金搢《汇语》序 94
      • (三)《御定奎章全韵》 95
      • (四)李景羽《玉汇韵考》序与沈鼎祖跋 103
      • (五)李圭景的“字书”研究 105
      • (六)郑允容《字类注释》序 108
      • (七)朴致馥《字训•序》 110
      • (八)金源极《国汉文新玉篇》序 112
      • (九)池锡永《字典释要•原序》 113
      • (十)玄公廉《汉鲜文新玉篇》序 116
      • (十一)柳瑾《新字典》序 117
      • (十二)崔南善《新字典》序 119
      • (十三)金允植《字林补注•序》及附录闵泳徽《字林补注•跋》 122
      • 三 朝鲜时代“字书”研究的特点 124
      • (一)朝鲜时代“字书”研究所取得的成就 125
      • (二)朝鲜时代“字书”研究的不足 126
      • 第六章 韩国朝鲜时代“文字论”文献研究 127
      • 一 引言 127
      • 二 朝鲜时代“文字论”研究文献的分析整理 127
      • (一)南公辙《与权景好书》 127
      • (二)丁若镛《字说》 129
      • (三)朴庆家《谚字说》 130
      • (四)李圭景《小学古今二学辨证说》 132
      • (五)宋来熙《题字学必览》 134
      • (六)崔汉绮《四海文字变通》 135
      • (七)朴瑄寿《说文解字翼征》中的文字学思想 136
      • 三 朝鲜时代“文字论”研究的特点 137
      • (一)朝鲜时代“文字论”研究所取得的成就 138
      • (二)朝鲜时代“文字论”研究的不足 139
      • 第七章 结语 140
      • 参考文献 142
      • 后记 147
      • 【국문요약】 14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