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조선후기 사대부 여성의 유서(遺書) 창작 양상 연구 = The Wills and Death of Sadeabu Women in The Later of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36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까지 조선후기 사대부 여성 유서 관련 연구는 몇 몇 작품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서지 정보와 그 내용을 정리하는 수준을 넘지 못하였다. 그러다 보니 일반에 잘 알려진 완산 이씨 유서, ...

      최근까지 조선후기 사대부 여성 유서 관련 연구는 몇 몇 작품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서지 정보와 그 내용을 정리하는 수준을 넘지 못하였다. 그러다 보니 일반에 잘 알려진 완산 이씨 유서, 재령 이씨 유서, 「명도자탄사(命道自嘆辭)」를 쓴 남원 윤씨 유서, 서녕 유씨 유서, 서흥 김씨 유서 등 주요 작품만 개별적으로 연구되었을 뿐이었다. 그 결과 여성 유서에 대한 총체적 연구는 이루어질 수 없었고, 여성 유서 전체를 관류하는 특징과 양상 또한 파악할 수가 없었다.
      이에 상기 연구에서는 각종 문집 자료에 흩어져 있는 여성 유서를 찾아 여성 유서에 대한 총체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했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사대부 여성 유서의 제 특징과 경향을 파악하는 데 주력하였다. 이때 여성 유서의 형식과 내용뿐 아니라 여성 유서의 창작 맥락과 여성 유서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가사와의 관계도 두루 살펴, 조선시대 사대부 여성의 죽음과 유서의 창작 양상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현재까지 확인된 31가 44편의 여성 유서는 창작 시기와 전달 방식, 형식과 내용, 여타 문학과의 관계 등에서 남성 유서와 일정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그러한 차이는 가부장적 유교 질서 유지와 유관하게 발전해온 유서의 본질적 속성과 조선후기 여성 윤리 및 열 이데올로기의 확장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하여 조선시대 경직된 여성 이미지를 깨부수는 새로운 여성상의 존재를 유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의미 있는 수확이라 이를 만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p to recently, the studies on noble women's wills in the later of Joseon have been centrally doing just a few wills. They only contain bibliographic utilities and arrangement of contents of wills. Therefore a few major wills which were well known of ...

      Up to recently, the studies on noble women's wills in the later of Joseon have been centrally doing just a few wills. They only contain bibliographic utilities and arrangement of contents of wills. Therefore a few major wills which were well known of such as Wansan Lee, Jaeryeong Lee, Nanwon Yoon who wrote Myeondojachansa(命道自嘆辭), Seonyeong You, Seoheung Kim and so on were researched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whole researches on women's wills couldn't be studied and the features and types of whole women's wills shouldn't be found.
      This paper made a possibility that was a holistic approach on women's wills finding wills scattered a lot of work-collections. Based on results this paper tried to find the features of types of Sadaebu(noble in Joseon Dynasty) women's wills. In the course, this paper researched not only forms and contents of women's wills but also relation with Gasa(歌辭) which were related women's wills, so this paper tried to generally outlook the death and writing types of wills of women in the later of Joseon.
      In the result, 33 works and 46 volumes of women's wills show clear differences from men's wills such as writing period, method of deliver, forms, contents and relation with other literature. These differences had more to do with nature of wills related in keeping order of patriarchal Confucianism, ethics of women and expanding virtuous woman ideology in the later Joseon. Furthermore this paper confirmed new image of women breaking stiff image of women in Joseon through wil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조선후기 여성 유서의 창작 현황
      • 3. 조선후기 여성 유서의 창작 양상
      • 4. 결론
      • <국문초록>
      • 1. 서론
      • 2. 조선후기 여성 유서의 창작 현황
      • 3. 조선후기 여성 유서의 창작 양상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길진숙, "「命道自嘆辭」의 내면의식과 자탄적 술회" 한국말글학회 18 : 49-57, 2001

      2 이혜순, "한국고전여성문학의 세계(산문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3 이혜순, "한국고전 여성작가 연구" 태학사 1999

      4 이홍식, "죽음의 문학적 전통과 유서(遺書)-유형별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3 (23): 267-299, 2012

      5 정무곤, "조선시대 家訓의 成立過程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5 (15): 71-95, 2006

      6 이가원, "조선문학사" 태학사 1995

      7 김정경, "조선 후기 열녀의 순절의 의미화 방식 연구 -재녕 이씨, 남원 윤씨, 서녕 유씨, 서흥 김씨 유서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53 (53): 9-35, 2011

      8 나정순, "전의 이씨 「절명사」에 나타난 죽음과 烈의 문제" 한국문학회 27 : 2000

      9 나정순, "전의 이씨 제문과 「절명사」의 상관성 고찰"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 : 2000

      10 심재완, "전의 이씨 절명사" 청구대학교 국어국문학회 9 : 1966

      1 길진숙, "「命道自嘆辭」의 내면의식과 자탄적 술회" 한국말글학회 18 : 49-57, 2001

      2 이혜순, "한국고전여성문학의 세계(산문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3 이혜순, "한국고전 여성작가 연구" 태학사 1999

      4 이홍식, "죽음의 문학적 전통과 유서(遺書)-유형별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3 (23): 267-299, 2012

      5 정무곤, "조선시대 家訓의 成立過程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5 (15): 71-95, 2006

      6 이가원, "조선문학사" 태학사 1995

      7 김정경, "조선 후기 열녀의 순절의 의미화 방식 연구 -재녕 이씨, 남원 윤씨, 서녕 유씨, 서흥 김씨 유서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53 (53): 9-35, 2011

      8 나정순, "전의 이씨 「절명사」에 나타난 죽음과 烈의 문제" 한국문학회 27 : 2000

      9 나정순, "전의 이씨 제문과 「절명사」의 상관성 고찰"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 : 2000

      10 심재완, "전의 이씨 절명사" 청구대학교 국어국문학회 9 : 1966

      11 이우성, "이조한문단편집" 일조각 1990

      12 이옥, "이옥전집" 소명출판 2001

      13 김일근, "신발굴의 언간" 건국대학교 18 (18): 1974

      14 이홍식, "산 자를 위한 죽은 자의 문학, 유서(遺書)" 근역한문학회 34 : 81-106, 2012

      15 홍인숙, "봉건 가부장제의 여성 재현-조선후기 열녀전" 한국여성문학학회 5 : 280-298, 2001

      16 임치균, "문헌과해석 6" 문헌과해석사 1999

      17 이상보, "명도자탄사 소고" 명지대학교 8 : 1976

      18 홍재휴, "국어교육논지 1" 대구교육대학 국어국문학과 1973

      19 진동혁, "공인 남원 윤씨 명도자탄사 연구" 국어국문학회 91 : 1984

      20 安鼎福, "順菴集"

      21 李最中, "韋菴集"

      22 李德懋, "靑莊館全書"

      23 金鍾正, "雲溪漫稿"

      24 이수봉, "閨房文學에서 본 李朝女人像"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 : 1971

      25 李喜朝, "芝村集"

      26 權 瑚, "碑誌·哀詞 및 遺書類 연구 : 특히 한글 遺書類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1994

      27 成海應, "硏經齋全集"

      28 李衡祥, "甁窩集"

      29 成渾, "牛溪集"

      30 成文濬, "滄浪集"

      31 申銀姬, "朝鮮中期 遺書의 特性 硏究"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3

      32 尹拯, "明齋集"

      33 金若鍊, "斗庵集"

      34 진동혁, "恭人 南原尹氏(1768~1801) 「命道自嘆辭」硏究" 단국대학교 19 : 11-16, 1985

      35 權尙夏, "寒水齋集"

      36 안승준, "南誾 遺書의 古文書學的 檢討" 고문서학회 9.10 : 1996

      37 鄭澔, "丈巖集"

      38 이승복, "『遺敎』 의 書誌와 文學的 性格"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 : 1997

      39 임치균, "『瑞寧柳氏婦人遺書』 연구" 고문서학회 15 : 1999

      40 박경주, "18세기 絶命歌辭에 나타난 士大夫家 女性의 殉節意識 연구:『絶命飼』와 『命道自嘆辭』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28 : 107-127, 2001

      41 이경하, "17세기 상층여성의 국문생활에 관한 문헌적 고찰 - 여성 대상 傳狀文․碑誌文을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39 (39): 217-242, 2005

      42 이상규, "17世紀 黃汝一의 淑夫人 完山 李氏 한글 遺書와 所志" 동아인문학회 16 (16): 65-102,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9 2.52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