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시문정(正始文程)』을 통해 살펴본 정조 문체정책의 한 국면 = An Aspect of King Jeongjo’s Policy on Literature through jeong-si-mun-jeong (正始文程)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921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조는 문체정책의 일환으로 과거문장을 통해 파격을 추구하던 당시의 문체를 새롭게 변화시키려 하였다. 그 과정에서 초계문신과 성균관 유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과거의 시행 경위·방�...

      정조는 문체정책의 일환으로 과거문장을 통해 파격을 추구하던 당시의 문체를 새롭게 변화시키려 하였다. 그 과정에서 초계문신과 성균관 유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과거의 시행 경위·방목·시권들을 수록한 科文集을 편찬할 것을 명하였다. 지금까지 정조의 문체정책과 그 배경에 대해서는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다양한 방면에서 상당한 연구가 진행·축적되었다. 하지만 문체정책의 실제 양상과 궁극적 지향점을 엿볼 수 있는 각종의 과문집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과문집은 문체정책을 주도했던 정조의 御定과 御命으로 편찬된 서적으로, 과거시험 과목별 영역의 특징과 수록 답안지의 구체적인 양상 등 정조 당대 과거 문장의 실상을 엿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조가 실제 과거제도에서 어떻게 文風의 변화를 꾀하고자 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이다.
      본 논문은 정조의 문체정책과 그 실제를 살피기 위해 우선 『正始文程』의 편찬의의를 살피고 이 책에 수록된 시권을 분석하였다.
      『正始文程』은 제9차 초계문신과 성균관 유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시험에서의 시권을 모은 과문집이다. 『正始文程』에 수록된 시권들은 정조가 20여 년간 시행했던 문체정책이 소기의 성과를 올렸다고 평가한 작품들로, 정조 문체정책의 실제 양상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며, 아울러 문체정책이 당시 문단에 어떤 영향을 끼쳤으며 실제 문장의 창작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규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동시대 다른 텍스트와는 차별성을 지닌다.
      『正始文程』에 수록된 시권을 분석한 결과, 당시 유행하던 소품문의 색채는 전혀 찾아볼 수 없다.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작가의 개성을 드러내고 일상생활이나 내면 등 개인의 정감을 읊조리는 당대의 소품문과는 달리 육경과 주자학에 바탕을 둔 관념적인 내용이 주를 이루었고, 三經과 唐宋古文에서 주제와 관련된 전고를 활용하여 주어진 試題의 뜻을 충분히 구현해내고 있었다.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당시 파격을 추구하던 과문의 유행과 달리 정조가 지속적인 과문집 편찬을 통해 과문의 모범으로 제시했던 과거 定式의 양상을 띄고 있었다. 表文의 경우에는 허두(欽惟, 앞의 구절)와 본문에만 가위렴이 적용된 20구를 준수하고 있었으며, 賦의 경우에는 허사가 삽입된 6언구를 기본 바탕으로 30구를 준수하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part of policy on literature, King Jeongjo (正祖) tried to change the style of sentence of the time through the writings for the state examination, In the process, he ordered the Civil Ministers (抄啓文臣), Sungkyunkwan (成均館) students...

      As a part of policy on literature, King Jeongjo (正祖) tried to change the style of sentence of the time through the writings for the state examination, In the process, he ordered the Civil Ministers (抄啓文臣), Sungkyunkwan (成均館) students and students from each region to compile a book containing the test’s implementation status, Bangmok (榜目), and exam papers.
      This paper identified the significance of compiling Jeong-si-mun-jeong (正始文程) and analyzed the exam papers in the book to examine the King Jeongjo (正祖)’s policy on literature and its actual facts.
      Jeong-si-mun-jeong (正始文程) is a collection of selctions of exam paper for exams conducted on ninth Civil Ministers (抄啓文臣) and Sungkyunkwan (成均館) students. exam paper in the jeong-si-mun-jeong (正始文程) are works that King Jeongjo (正祖) evaluated as having achieved success in his 20-year policy on literature. In this respect, it has a considerable resource value because it is necessary to live up to the actual aspect of King Jeongjo (正祖)’s policy on literature. In addition, It is also different from contemporary texts in that it can confirm and clarify how the King Jeongjo (正祖)’s policy on literature influenced the paragraphs at the time and how they were reflected in the creation of actual writings.
      After analyzing the exam paper in Jeong-si-mun-jeong (正始文程), there were no Sopum Style that were in vogue at the time. In terms of content, the conceptual content based on Yukgyeong (六經) and Neo-Confucianism were mainly composed, unlike Sopum Style, which reveals the writer's personality and expresses personal feelings such as daily life and inner life. As well as Samgyeong (三經) and Tang-Song Dynasties were fully implementing the meaning of a given exam questions by utilizing subject- related biographies. In terms of form of the sentence, unlike the fashion of exam paper, which pursued unconventional aspects at the time, King Jeongjo (正祖) presented the model through constant compilation of exam paper. In the case of Pyomun (表文), before heum-yu (欽惟)’s sentence and the text were 20 phrases with the Ga-wi-lyeom applied to them. In the case of Bu (賦), Based on the six words in which empty word was inserted, 30 phrases were form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경호, "한문산문의 미학" 고려대 출판부 2013

      2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3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KORCIS"

      4 안대회, "조선후기 小品文의 성행과 글쓰기의 변모" 한국한문학회 28 : 95-121, 2001

      5 이상욱, "조선시대 과문연구" 연세대 2013

      6 박현순, "조선 후기의 과거" 소명출판 2014

      7 심경호, "정조의 문체정책과 제술부과" 진단학회 (127) : 131-157, 2016

      8 정옥자,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효형출판 2001

      9 박현순, "정조의 『臨軒題叢』 편찬과 御題 출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8) : 147-189, 2016

      10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1 심경호, "한문산문의 미학" 고려대 출판부 2013

      2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3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KORCIS"

      4 안대회, "조선후기 小品文의 성행과 글쓰기의 변모" 한국한문학회 28 : 95-121, 2001

      5 이상욱, "조선시대 과문연구" 연세대 2013

      6 박현순, "조선 후기의 과거" 소명출판 2014

      7 심경호, "정조의 문체정책과 제술부과" 진단학회 (127) : 131-157, 2016

      8 정옥자,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효형출판 2001

      9 박현순, "정조의 『臨軒題叢』 편찬과 御題 출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8) : 147-189, 2016

      10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11 안대회, "궁극의 시학" 문학동네 2013

      12 강석중, "科賦의 형식과 문체적 특징"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9 (39): 47-82, 2013

      13 奎章閣, "正始文程"

      14 윤재민, "文體反正의 再解釋" 한국고전문학회 21 : 3-94, 2002

      15 正祖, "弘齋全書"

      16 李晩秀, "屐園遺稿"

      17 황위주, "『離騷遺香』을 통해 본 조선후기 ‘科賦’의 출제와 답안 양상"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40 (40): 5-41,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6-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Culture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민족문화연구 29호 -> 민족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7 1.38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