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논문 : 『陶靖節集(도정절집)』과 조선시대 自挽詩(자만시) -<擬挽歌辭三首(의만가사삼수)>의 수용 경로를 중심으로- = Taojingjieji陶靖節集 and Self-elegy in Joseon -Focusing on reception of Trilogy of Pseudo Self-elegy擬挽歌辭三首-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연명의 <擬挽歌辭三首>는 주로 조선시대 간행되거나 通行本으로 유통된 도연명 문집을 통해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수용되었다. 중국본의 유입상황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시대 ...

      도연명의 <擬挽歌辭三首>는 주로 조선시대 간행되거나 通行本으로 유통된 도연명 문집을 통해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수용되었다. 중국본의 유입상황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시대 간행된 도연명집의 판본은 전기가 5종, 후기가 2종으로 파악된다. 이밖에 유형원 개인이 편찬한 필사본이 1종 전한다. 또 도연명의 문집은 아니지만, 그의 시와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는 『精刊補註 東坡和陶詩話』가 전기 <擬挽歌辭> 수용에 一翼을 담당했다. 이 글에선 조선시대 刊本 및 通行本에 수록된 도연명의 <擬挽歌辭三首>에대한 문헌적 검토를 바탕으로, 이 작품이 조선 전기 문인들에게 수용된 경로와 그것이 자만시 창작에 미친 영향을 추정해 보았다. 그 결과 조선 전기에 비해 후기 간본이 가진 한계로 인해 후기 자만시 창작이 편향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으며, 전기의 경우 蘇軾의 和陶詩에 대한 주석과 비평서 성격의 『精刊補注東坡和陶詩話』가 도연명에 대한 재인식은 물론 자만시 창작에 미친영향이 적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조선시대 문인들의 도연명 <의만가사> 수용 경로가 모두 이같이 분명히 드러나는 것은 아니다. 또 이 글은 <의만가사삼수>에만 초점을 맞추어 검토했던 까닭에 거시적인 부분에선 충분한 논의를 진행시키지 못한 한계가 있다. 이런 문제점들은 앞으로 조선 간본 도연명집에 대한 종합적 검토와 함께 보완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ao Yuanming`s Trilogy of Pseudo Self-elegy(擬挽歌辭三首, hereinafter “Trilogy”) were introduced to Joseon literati mainly through several versions of Tao Yuanming Anthology - some were published in Joseon, some were imported from China. Tho...

      Tao Yuanming`s Trilogy of Pseudo Self-elegy(擬挽歌辭三首, hereinafter “Trilogy”) were introduced to Joseon literati mainly through several versions of Tao Yuanming Anthology - some were published in Joseon, some were imported from China. Though it is not known exactly how Chinese versions were imported, according to the data until now, there are five versions of Tao Yuanming Anthology published in early Joseon and two in late Joseon. And there also is a manuscript by Yoo Hyong-won. In addition to it, Comments on Dongpo`s Responsive Poetry to Tao Yuanming with Fine Print and Supplemented Notes (精刊補註東坡 和陶詩話, hereinafter “Comments”) had an influence on reception of Trilogy. In this article, I examined Tao Yuanming’s Trilogy in several editions in Joseon to figure out how this work was introduced to Joseon literati and how it influenced on Self-elegy writings of Joseon. As a result, I assume Self-elegy writings in late Joseon are biased due to the limits of versions distrubuted in that era. And in early Joseon, the Comments had a great influence on understanding of Tao Yuanming and Self-elegy writings. But it needs further research to understand how Joseon literati received Tao Yuanming`s Trilogy. This article mainly focused on the Trilogy, so did not fully progress discussion from the wider perspective. These problems will be complemented with further examinations on Tao Yuanming Anthology publications in Joseon Dynasty in progres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