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950년대 중국 조선족 시 연구 = (A) study of ethnic Koreans poetry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3847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족 문학은 중국 내에서 소수민족문학으로서의 입지가 굳고, 작품성도 우수한 수준에 이르고 있으나 아직까지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조선족 시에 나타난 시의...

      조선족 문학은 중국 내에서 소수민족문학으로서의 입지가 굳고, 작품성도 우수한 수준에 이르고 있으나 아직까지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조선족 시에 나타난 시의식을 살펴서 조선족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 범위는 이민문학으로서의 특성이 드러나는 1945년 해방 이후부터 시작하여 비교적 문학활동을 자유롭게 했던 1957년을 전후한 중국조선족 시로 한정한다.
      본 연구는 1950년이라는 시점과 중국이라는 공간적 위치가 조선족 시에 어떤 변화와 특성을 가져다주었는지 분석하려 한다. 시 연구의 바탕에는 역사주의적 관점이 깔려 있지만 세부적인 시 분석은 언어학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조선족 시가 지닌 의미 유형이나 반복되는 관념, 정서, 태도를 드러내는 언어기호를 통하여 상징적 지수(exponent)의 의미를 살펴 볼 것이다. 이러한 해석의 중요한 기호학적 모델은 이항대립(binary opposition)을 통한 분석이다.
      Ⅰ장의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 연구사, 연구 방법 및 범위를 살펴보겠다.
      Ⅱ장에서는 시대적 지수에 나타난 조선족의 시 의식을 살펴볼 것이다. 조선족 시를 시대적으로 살펴보면, 1)조국 광복과 인민 해방, 2)한국 전쟁, 3)근대화와 관련한 상징적 지수가 높게 나타난다.
      첫째, 해방의 상징적 의미는 조국 광복과 인민 해방으로 나타난다. 광복과 관련한 상징어는 '태극기', '무궁화'인데, 이를 통하여 드러내고자 하는 시 의식은 '빼앗김'에서 '되찾음'으로의 기쁨 표출이다. 인민 해방의 상징어는 '혁명', '투쟁이다. 이를 통하여 조선족이 드러내고자 하는 시의식은 자신의 삶의 터전인 중국에, 인민이 주체가 되는 사회주의 국가를 건설하겠다는 의지다.
      둘째, 한국전쟁과 관련한 상징어는 '영웅', '원수'로 나타나는데, 그 의미는 자국민과 자국군에게 명확하면서도 확고한 전쟁의 당위성을 심어주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드러내고자 하는 시의식은 분단의 아픔과 통일에 대한 강한 열망이다. 하지만 통일에 대한 열망은 방법적인 면에서 자국 중심적인 해결논리를 펼쳐 분단 문학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셋째, 1950년대 조선족 시에 나타난 근대성(modernity) 경험은 모택동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그 맥락을 같이한다. 조선족 시에서 '근대화'와 관련한 상징어는 '뜨락또르', '기차' 등과 같은 '근대기기(近代器機)'와 '증산(增産)'이다. 이는 조선족의 경제 개혁에 대한 열망을 잘 대변한다. 조선족 시에 나타난 근대화의 의의는 근대지향과 자본주의 근대극복이라는 이중성을 띤다.
      Ⅲ장에서 조선족 시의 공간 인식은 1)정착지 중국과 출발지 한국으로 나누어 인식하는 양상과 2)중국과 한국을 통합하여 자연 공간과 문명 공간으로 인식하는 것에 상징적 지수가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공간 인식에 나타나는 상징적 의미는 상향 지향성과 하향 지향성을 띤다.
      첫째, 정착지 중국에 대한 공간인식은 현실적 삶의 공간, 수난과 저항의 공간으로 나타난다. 현실적 삶과 관련한 시의식은 이주의 역사를 담은 개척의 리얼리티와 공동체 의식으로 나타난다. 수난과 저항적 삶과 관련한 시의식은 청나라 지주에 대한 저항, 항일무장투쟁으로 나타난다. 출발지 한국에 대한 공간 인식은 죽음과 생명의 공간, 상상력의 공간으로 나타난다.
      둘째, 조선족 시에서 자연공간은 '산'과 '강'으로 나타난다. 수직적 공간 구도인 '산'은 '신성한 산', '영원한 산'을 의미한다. 따라서 산은 성스러움과 연결된다. 수평적 공간 구도인 '강'은 역사의식을 담아내고 있다. 그 의미는 '슬픔의 강', '화합의 강'으로 나타난다. 조선족 시에서 문명공간은 '길'과 '집'으로 나타난다. '길'은 '생활의 길'과 '인생의 길'을 의미한다. '집'은 안/밖의 이항 대립적 공간인식을 보이고 있다.
      셋째, 공간 기호들의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면, 상향 지향적 공간 기호와 하향 지향적 공간 기호로 분류된다. 조선족의 시에서 상향 지향적 공간기호들은 '해', '별', '달', '깃발' 등으로 표현된다. 하향 지향적 공간 기호들은 '물', '일터', '땀'으로 표현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thnic Korean literature is different from emigrant literature of other regions. The ethnic Koreans literature has a firm position as minority and a good quality, but the study is to be unready.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establish the identity...

      Ethnic Korean literature is different from emigrant literature of other regions. The ethnic Koreans literature has a firm position as minority and a good quality, but the study is to be unready.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ethnic Koreans through investigating the poetry's senses. A range of the study is confined from 1945, post-emancipation that was shown emigrant literature characteristics, to about 1957, free to do literature.
      This study tries to analyze what changes and characteristics the period of 1950 and China, space position, brought. There is historicism in the background of the study, but in detail a poem analysis is related to linguistics. Especially, we will examine a sense of 'exponent' through linguistic symbols that is shown sense category, repeat notions, and attitudes in the poems. A important symbolic model of such a interpretation is a analysis through 'binary opposition'.
      The first chapter will tell a study purpose, a study history, and a study range.
      The second chapter will tell a poetry sense shown at historic exponent. When we see ethnic Koreans poetry in the side of age, symbolic exponent related to 1)nation liberation and the people's liberation, 2)the Koran war and 3)modernization is high revealed.
      First, symbolic sense of the liberation is two things. one is nation liberation, the other is the people's liberation. Symbol words connected with the liberation in 1945 are 'Taekukki' and 'Mukungwha'. The poetry sense shows happiness changed from taking by force to regaining. The symbol words connected with organizing a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49 are 'a revolution' and 'a struggle'. Its poetry sense is the volition to set up socialism country of ethnic Koreans.
      Secondly, symbol words related with the Korean war are 'a hero' and 'an enemy'. Their senses are firmly to give the people and an army what should do of a war. The poetry sense is a strong desire forward a division sorrow and unification. The desire has limitation to nation-centered solution on the side of method.
      Thirdly, the experience of modernity shown in ethnic Koreans poems in 1950s is connected with economic development 5years-long plan set up by Mao Tse-tung. The symbol words of 'modernity' are 'modern machine' and 'production increase' such as 'a train', 'a truck' and so on. It says the desire to do a economic reformation of ethnic Koreans. Modernity's meaning has duplicity, thus doing modernity-bound, and overcoming modern capitalism.
      The three chapter tells a space sense of ethnic Koreans as two aspects. One is to segregate China living in and Korea lived in, the other is to congregate China and Korea as natural space and civilization space. A symbol meaning shown at such a space sense is upward intention and downward inclination.
      Frist, a space sense of China ,settlement land, is shown as actual life space, or hardworking and resistance. the poetry sense related with actual life is community mentality and settlers' reality including the emigration history. The sense associated with crucifixion and resistance is shown as opposition to the Ch'ing Dynasty's landlords and anti-Japanese struggle. A space sense of Korea, department land, represent death and life space, and imaginative space. A poetry sense connected the Korean war is not only death image but the image of nativity.
      Secondly, natural space in the poetry expresses 'a mountain' and 'a river'. The mountain, vertical space composition, means 'a holy mountain' and 'a permanent mountain'. Therefore, the mountain is connected with holiness. the river, horizontal space composition, includes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sense expresses 'a sorrow river' and 'a combination river'. Civilization space in ethnic Korean poetry expresses 'a house' and 'a road'. The road means 'the road of human beings' and 'the road of a livelihood'. The house shows a space cognition of the binary opposition of inside and outside. The house give us warmth and convenience.
      Thirdly, seeing a symbol meaning of a space sign, the symbol meaning classifies upward space and downward space sign. The upward space signs represent 'the sun', 'a star', 'the moon', 'a flag' and so forth. Downward space signs express 'water', 'a workplace', and 'swea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ⅳ
      • 국문초록 = ⅰ
      • Ⅰ. 서론 = 1
      • 1. 연구목적 = 1
      • 2. 연구사 = 4
      • 목차 = ⅳ
      • 국문초록 = ⅰ
      • Ⅰ. 서론 = 1
      • 1. 연구목적 = 1
      • 2. 연구사 = 4
      • 3.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 7
      • Ⅱ. 시대적 지수에 나타난 시 의식 = 16
      • 1. 해방의 기쁨과 인민의 의지 = 16
      • 가. 조국 광복의 상징적 지수 = 18
      • 나. 인민 해방의 상징적 지수 = 26
      • 2. 한국 전쟁 체험과 분단 문학의 정착 = 36
      • 가. 한국 전쟁의 상징적 지수 = 37
      • 나. 전쟁체험과 분단 문학의 정착 = 51
      • 3. 근대화의 열망과 낙관적 전망 = 65
      • 가. 근대화의 상징적 지수 = 66
      • 나. 근대 지향과 발전 = 72
      • 다. 근대 극복과 낙관적 전망 = 80
      • Ⅲ. 공간적 지수에 나타난 시 의식 = 88
      • 1. 정착지 중국과 출발지 한국 = 89
      • 가. 정착지로서의 중국 = 90
      • 나. 출발지로서의 한국 = 110
      • 2. 통합적 인식으로서의 중국과 한국 = 123
      • 가. 자연 공간으로서의 중국과 한국 = 124
      • 나. 문명 공간으로서의 중국과 한국 = 137
      • 3. 공간 기호의 상정적 지수 = 150
      • 가. 상향 지향적 공간기호 = 150
      • 나. 하향 지향적 공간 기호 = 154
      • Ⅳ. 결론 = 158
      • 참고문헌 = 166
      • ABSTRACT = 1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