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950~1960년대 남북한 SF 연구 = A Study on the Inter-Korean SF in the 1950s-196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844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에 발표된 남북한SF의 주요 텍스트들을 분석함으로써 한반도에서 SF가 본격적으로 창작되었던 조건을 비롯하여 남북한 초창기 SF의 내용과 형식을 검토하였...

      이 논문은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에 발표된 남북한SF의 주요 텍스트들을 분석함으로써 한반도에서 SF가 본격적으로 창작되었던 조건을 비롯하여 남북한 초창기 SF의 내용과 형식을 검토하였다. 한반도에 SF가 수입된 것은 1900년대 초였으나, 한국어로 창작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말부터였다. 이는 남북한의 문학이 동시적으로 하나의 장르를 구축한 매우 희소한 사례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한반도 안팎의 맥락을 고려하여, 남북한의 SF를 하나의 필드에서 독해하였다. 이 논문이 Science Fiction의 약어인 SF를 주요 단어로 활용하는 것은, 각기 과학소설과 과학환상소설로 번역되었던 남북한의 SF를 한국어문학의 시야에서 동시에 포착하기 위한 것이었다.
      특히 스푸트니크 쇼크에서부터 촉발된 1960년대의 우주경쟁(Space Race)와 남북한의 과학담론 및 과학기술계의 변화는 SF의 장르 구축에 주요한 동력으로 작용하였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마술적 환상으로 이해되었던 ‘우주’와 ‘달’을 과학적 지식으로 새로이 지각하게 하여, 인간의 인식 지평을 세계에서 우주로 확장시켰다. 또한 냉전의 구도는 남북한 SF의 서사와 테크놀로지 형상화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논문은 1950~1960년대의 남북한 SF에 주목하였다. 이 시기 한반도에서 SF가 집중적으로 창작되었던 정치사회적 맥락에 주목하는 한편으로, 남북한의 SF 장르가 자리잡는 과정 및 텍스트의 세부사항을 검토하였다
      스푸트니크 발사 성공에 대한 남한과 북한의 반응은 대조적이었다. 남한이 우주 폭격과 제 3차 세계 대전의 불안과 동시에 ‘선진’한 과학기술에 대한 열망을 표현하고 있었던 것과 달리, 북한의 매체들은 ‘평화의 사절’로 인공위성을 표상화하고 사회주의 승리의 상징으로 이를 선전하였다. 스푸트니크 쇼크에 남북한의 문학 또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응답하였다. 남한의 문학은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변할 삶의 양태들을 가늠하는 동시에 문학이 무엇을 써야 하는가에 관한 근원적인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에 비해 북한의 반응은 좀 더 직접적이었다. 1950년대 후반의 북한의 문학 텍스트들은 소련이 로켓의 발사를 성공시킬 때마다 시와 수필을 통하여 소련 과학기술에 대한 찬탄의 감정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이 감격의 감정적 에너지를 노동 현장에서의 생산 증진으로 이어가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1950년대 후반의 모든 북한의 문학 텍스트가 소련의 우주과학을 찬탄의 시선으로만 포착하였던 것은 아니다. 박태영의 단편소설 <인공위성과 시인>은 과학의 성취를 어떻게 형상화하여야 하는가에 관한 고민을 징후적으로 노출한다. 이는 1950년대 후반 북한문하기 당면해 있던 정치적 선도와 예술적 형상화 사이의 문제와도 관련되어 있다.
      ‘스푸트니크 쇼크’는 한반도에서 ‘SF’라는 새로운 장르가 창작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우주로의 인식과 감각의 확장은 과학적 환상을 활용한 새로운 서사에 대한 대중적 요구로 이어졌다. 남한에서는 독자의 요청에 의해 한낙원의 중편 SF가 연재되기 시작하였으며, 북한에서는 더 많은 SF를 바라는 독자의 글이 잡지에 실렸다. 이러한 독자의 요청에 남북한 문학은 SF의 본격적인 창작으로 응답하였다. 1950년대 후반에서 1960년대 초반에 창작된 남북한의 SF는 그 환상에서부터 당대의 현실을 은유하고 있었다. 이 시기 남한의 단편 SF는 원자력에 의해 탄생한 ‘원자괴수’와, 거인으로 표현된 화성인들을 등장시켰다. 이는 숭고의 대상이 자연에서 과학기술의 결과물로 전환되는 장면이자, ‘평화로운 거인’의 이미지로서 당시 남한 사회가 가지고 있던 강력한 우방국에 대한 시선을 확인하게 한다. 남한의 텍스트에서 괴수와 거인이 등장한다면, 1950년대 후반에 발표된 북한의 SF는 테크놀로지의 집약체인 기계들을 전시하는 한편으로, ‘달’을 ‘조선’의 새로운 영토화 하려는 열망을 표출하고 있었다. 이러한 스펙터클은 김동섭의 <소년우주탐험대>(1960)에서도 등장한다. 이 텍스트는 비슷한 시기 남한에서 발표된 한낙원의 <금성탐험대>(1962)와 함께 냉전을 초월한 인류 연대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었다. 이들 텍스트는 캐릭터들 사이의 냉전 구도를 ‘인류’라는 키워드로 연합하게 하며, 이데올로기를 초월하여 연대가 가능한 공간으로서 우주를 형상화하고 있었다.
      1950년대 후반에서 1960년대 초반의 남북한 SF가 다양한 방식의 서사를 실험하고 있었다면, 196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SF의 미학적 방법론과 관습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남한의 SF작가들 SF를 ‘허황된 상상 소설’로 보는 일반적 편견에 대항하는 동시에 과학 지식의 전달과 미래 과학자 양성이라는 계몽적 요구에 대한 압력을 겪어야했다. 계몽과 예술성(과학성) 사이의 긴장은 북한에서도 발생하고 있었다. 북한의 ‘과학환상문학에서의 과학 환상 논쟁’은 과학 환상이 과학적 지식과 고증에 충실하여야 한다는 논자와 사회주의 현실의 진실한 형상화를 우위에 두는 논자들 사이에서 벌어졌다. 이 논쟁은 자연히 SF 텍스트들의 창작 방향에도 영향을 미쳤다. 서광운의 <북극성의 증언>은 대화와 지문으로 과학 지식을 전달하는 한편으로, 문학적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문윤성의 <완전사회>는 사회 구성에 대한 근원적 질문을 던지고 있었으나, 동시에 양성화해를 계도하고자 하는 욕망이 작용하고 있었다. 북한에서도 계몽과 문학적 형상화 사이의 고민과 긴장은 계속되고 있었다. 특히 1960년대 중반부터 북한이 독자적 노선을 택한 이후, SF는 우주에서 지구로 주요 배경을 전환한다. 그리고 1967년 이후 주체사상의 대두와 항일혁명문학의 전통화 과정을 거치면서 SF는 북한문학의 주요한 관심의 뒷면으로 밀려났다. 1970년대의 남한에서 SF 선집이 발간되는 것과 달리, 1970년대 북한의 SF는 발표된 텍스트의 수가 이전에 비해 확연히 줄어들었다. 1960년대 중반 남한과 북한 SF의 창작 편수 및 문학적 관심의 차이는 한문학과 북한문학 너머의 ‘한반도문학’을 고민할 때 반드시 마주하게 되는, 비대칭적이지만 동시적인 장면이다.
      2017년 이후 북한이 보여주는 이러한 변화의 조짐은 ‘핵무기’로 대표되는 북한 과학기술의 숙원 사업이 완료되었음을 반증한다. 그리고 이는 동시에 한반도에서 과학기술은 국가 부강을 위한 방편이었으나, 동시에 시국에 따라 불러내어지는 위기론의 기반이었음을 보여준다. 1950~1960년대 남북한에서 창작된 SF는 현재까지도 남북한 문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과학기술에 대한 기대와 열망, 그리고 위기의식을 쌓아 올리기 시작한 시작점으로서 그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한반도에서 하나의 문학 장르가 동시에 구축된 맥락을 고려하여, 남한/북한으로 나뉘어 있었던 남북한의 문학을 ‘한반도의 문학’의 시점에서 조망하였다. 분단 이후, 남북한의 문학과 개념은 각기 다른 이념과 역사적 맥락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되었다. 그러나 남북한의 SF는 1950년대 후반의 시작점과, 1970년대 이후의 소강기를 거쳐, 1980년대 후반~1990년대부터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는 흐름을 공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한반도라는 공간적 배경에서 ‘한국어문학’의 현상을 동시적으로 포착하게 하는 시작점으로서 1950~1960년대의 남북한 SF는 그 의미가 충분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및 문제제기 1
      • 2. 선행연구 검토 6
      • 3.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12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및 문제제기 1
      • 2. 선행연구 검토 6
      • 3.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12
      • Ⅱ. 남북한문학과 우주시대의 개막 20
      • 1. ‘스푸트니크 쇼크’와 우주감각의 변화 22
      • 2. 스푸트니크 직후 남한문학의 두 시선 28
      • 3. 사회주의 과학기술강국의 자부심 35
      • 4. 기계-별과 북한문학의 응답 42
      • 5. 인공위성과 북한문학의 내면 53
      • Ⅲ. 1950년대 후반 남북한 SF의 등장과 우주시대의 전개 61
      • 1. 남북한 SF의 창작과 ‘우주과학 붐’ 63
      • 2. 1950년대 후반 남북한 SF의 형상화 70
      • (1) 현실의 은유: 「원자마수의 내습」(1959), 「화성에 사는 사람들」(1959) 70
      • (2) 외계인과 전시된 스펙터클: 「땅나라 손님」(1958), 「희유금속의 왕」(1959) 79
      • 3. 1950년대 후반 남북한 SF의 냉전 서사 85
      • (1) 우주경쟁의 서사화: 󰡔금성탐험대󰡕(1962) 85
      • (2) 인류연합의 상상과 남/북한의 소거: 「소년우주탐험대」(1960) 91
      • (3) 냉전의 초월과 ‘인류’의 재발견 98
      • Ⅳ. 남북한 SF의 구축과 단절 106
      • 1. 남북한 SF의 방향성 모색 108
      • (1) 남한 SF의 당위성과 장르 인식 108
      • (2) 북한 SF의 ‘환상’과 ‘과학성‘ 논쟁 115
      • 2. 1960년대 중후반 남한 SF의 전개 126
      • (1) 계몽과 서사 사이의 균형 모색: 「북극성의 증언」(1966) 126
      • (2) 계몽을 위한 은유 : 󰡔완전사회󰡕(1967) 135
      • 3. 1960년대 중후반 북한 SF와 장르의 단절 142
      • (1) 지구로의 귀환: 「바다에서 솟아난 땅」(1965) 142
      • (2) 과학적 환상과 마술: 1965년 이후의 북한 SF 151
      • 4. 비대칭의 동시성 159
      • Ⅴ. 결론 166
      • 참고문헌 173
      • ABSTRACT 183
      • <부록> 1950~1960년대 남북한 SF 및 관련 자료 18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장정희, "􋺷SF의 이해􋺸", 동인, 2017

      2 문윤성, "􋺷완전사회􋺸", 아작, 2018

      3 문윤성, "􋺷완전사회􋺸", 수도문화사, 1967

      4 한낙원, "􋺷금성탐험대􋺸", 창비, 2013

      5 한낙원, "􋺷금성탐험대􋺸", 학원사, 1967

      6 신형기, 오성호, "􋺷북한문학사􋺸", 평민사, 2000

      7 이진우 옮김, ,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한길사, 1996

      8 옥타비아 버틀러, 이수현 역, "􋺷블러드 차일드􋺸", 2008

      9 박상준, "SF문학의 인식과 이해", 􋺷외국문학􋺸 49호, null

      10 성민엽, "소설로서의 과학소설", 􋺷문학과 사회􋺸 13권 3호, 2000

      1 장정희, "􋺷SF의 이해􋺸", 동인, 2017

      2 문윤성, "􋺷완전사회􋺸", 아작, 2018

      3 문윤성, "􋺷완전사회􋺸", 수도문화사, 1967

      4 한낙원, "􋺷금성탐험대􋺸", 창비, 2013

      5 한낙원, "􋺷금성탐험대􋺸", 학원사, 1967

      6 신형기, 오성호, "􋺷북한문학사􋺸", 평민사, 2000

      7 이진우 옮김, ,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한길사, 1996

      8 옥타비아 버틀러, 이수현 역, "􋺷블러드 차일드􋺸", 2008

      9 박상준, "SF문학의 인식과 이해", 􋺷외국문학􋺸 49호, null

      10 성민엽, "소설로서의 과학소설", 􋺷문학과 사회􋺸 13권 3호, 2000

      11 박성래, "􋺷우리 과학 100년􋺸", 현암사, 2001

      12 김이구, 한낙원, 한낙원, "편, 􋺷한낙원 선집􋺸", 현대문학, 2013

      13 고장원, "􋺷세계과학소설사􋺸", 채륜, 2008

      14 손진원, "1960년대 과학소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5 강용훈, "이해조의 􋺷철세계􋺸", 􋺷개념과 소통􋺸 13집, 2014

      16 이춘근, "􋺷북한의 과학기술􋺸", 한울 아카데미, 2005

      17 황정상, "􋺷과학환상문학창작􋺸", 평양: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3

      18 김창식, "􋺷대중문학을 넘어서􋺸", 청동거울, 2000

      19 임태훈, "􋺷우애의 미디올로지􋺸", 갈무리, 2012

      20 이지용, "􋺷한국 SF장르의 형성􋺸",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21 강유정, "한국소설의 새로운 문체 SF", 􋺷작가세계􋺸76호, 2008

      22 서광운, "􋺷한국신문소설사-1880~􋺸", 도서출판 해돋이, 1993, 1970

      23 김근배, "빛바랜 사진 속의 근대과학", 􋺷과학과 기술􋺸 467호, 2008

      24 복도훈, "􋺷SF는 공상하지 않는다􋺸", 은행나무, 2019

      25 강호제, "􋺷북한 과학기술 형성사􋺸", 선인, 2007

      26 강호제, "􋺷과학기술로 북한 읽기1􋺸", RP Science, 2016

      27 이지용, "한국 SF의 장르적 특징과 의의", 􋺷대중서사연구􋺸 대중서사학 회, 2019

      28 이정옥, "과학소설, 새로운 문학적 영토", 􋺷중국소설론집􋺸 13권, 2001

      29 김재용, "􋺷북한문학의 역사적 이해􋺸", 문학과지성사, 1994

      30 임종기, "SF 부족들의 새로운 문학 혁명􋺸", 책세상, 2004

      31 조성면, "대중문학과 정전에 대한 반역􋺸", 소명출판, 2002

      32 김근배, "􋺷한국 과학기술혁명의 구조􋺸", 들녘, 2016

      33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이성과 힘, 2000

      34 이선옥, "1960년대 과학주의와 젠더의 재구성", 􋺷여성문학연구􋺸 39호, 2916.12, 2916

      35 김근배, "월북과학자와 흥남공업대학의 설립", 􋺷아세아연구􋺸 40권 2호, 1997

      36 고장원, "􋺷스페이스 오페라란 무엇인가?􋺸", 부크크, 2015

      37 이영준, "􋺷우주감각-NASA 57년의 이미지들􋺸", 워크룸프레스, 2007

      38 서동만, "북조선 사회주의체제 성립사 1945~1961", 선인, 2005, 2005

      39 장수경, "􋺷학원􋺸의 문학사적 위상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0 권두현, "텔레비전 현상과 현대 드라마의 미학",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19

      41 강미화, "한국 과학자사회와 정부의 관계 변화", 전북대학교박사학위논 문, 2015

      42 장석주,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3: -1972􋺸", 시공사, 2000, 1957

      43 박상준, "􋺷문학의 숲, 그 경계의 바리에떼􋺸", 소명출판, 2014

      44 서동수, "􋺷북한 과학환상문학과 유토피아􋺸", 소명출판, 2018

      45 남원진, "􋺷이야기의 힘과 근대 미달의 양식􋺸", 경진, 2011

      46 김근배, "􋺷한국 근대 과학기술 인력의 출현􋺸", 문학과지성사, 2005

      47 송효정, "한국 소년 SF영화와 냉전서사의 두 방식", 􋺷어문논집􋺸73, 2015

      48 김지, "1960년대 상업 주간지 􋺷주간한국􋺸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2015

      49 손종업, "문윤성의􋺷완전사회􋺸와 미래의 건축술", 􋺷어문논집􋺸 60, 2014

      50 황종연, "엮음, 􋺷문학과 과학Ⅰ 자연 문명 전쟁􋺸", 소명출판, 2013

      51 황종연, "엮음, 􋺷문학과 과학Ⅱ 인종 마술 국가􋺸", 소명출판, 2014

      52 황종연, "엮음, 􋺷문학과 과학Ⅲ 영혼 생명 통치􋺸", 소명출판, 2015

      53 조형래, "근대 한국의 과학과 문학 개념 형성과정 연구", 동국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4

      54 김지영, "한국 과학소설의 장르소설적 특징에 대한 연구", 􋺷인문논총􋺸32, 2013

      55 강수백, "SF의 범위는 어디까지인가 , 􋺷월간 판타스틱􋺸", 창간호, 2007

      56 고장원, "􋺷한국에서 과학소설은 어떻게 살아남았는가􋺸", 부크크, 2015

      57 모희준, "냉전 시기 한국의 과학소설에 구현된 국가관 연구", 선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5

      58 최애순, "우주시대의 과학소설-년대 아동전집 SF를 중심으로", 􋺷한 국 문학이론과 비평􋺸 60집, 2013, 1970

      59 이상숙, "1960년대 중반 북한-중국의 갈등과 북한의 자주 노선", 􋺷북한 학연구 3권 2호, , 2007

      60 한모니까, "1960년대 북한의 경제국방병진노선의 채택과 대남정책", 􋺷역 사와 현실􋺸 50, 2003.12, 2003

      61 박미용, "봉한학설의 전개과정과 북한의 정치 사회 과학적 상황", 서울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62 김근배, "북한에서의 한의학과 봉한학설 , 􋺷전국역사학대회􋺷", 한국서양사 학회, 1999

      63 김태우, "􋺷폭격-미공군의 공중폭격 기록으로 읽는 한국전쟁􋺸", 창비, 2013

      64 장수익, "염상섭 소설과 계몽주의 , 􋺷한국근대소설사의 탐색􋺸", 월인, 1999

      65 김태호, "남북의 두 과학자 이태규와 리승기 , 􋺷역사비평􋺸 82집", 역사비 평사, 2008

      66 한금윤, "과학소설의 환상성과 과학적 상상력 , 􋺷현대소설연구 12", 현대 소설학회, 2000

      67 김이구, "과학소설의 새로운 가능성 , 􋺷창비어린이􋺸 제3권 제2호", 창비어 린이, 2005

      68 변학문, "북한의 기술혁명론1960--70년대 사상혁명과 기술혁명의 병행", 서울대박사학위논문,, 2014

      69 송성수, "과학기술종합계획에 관한 내용분석:54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5

      70 정규수, "􋺷ICBM 그리고 한반도:북한과 한반도 주변 열강의 탄도탄􋺸", 지성 사, 2012

      71 고자연, "한설야의 제3세계 인식-1950년대 중후반의 기행문을 중심으로", 􋺷상허학보, 2019

      72 이정옥, "페미니스트 유토피아로 떠난 모험 여행-문윤성의 완전사회론", 􋺷대중서사연구􋺸 5, 2002

      73 김종욱, "쥘 베른 소설의 한국 수용과정 연구 , 􋺷한국문학논총􋺸 13집", 한 국문학회, 2008

      74 김태호, "1950년대 한국 과학기술계의 지형도 , 􋺷여성문학연구􋺸 제2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75 김근배,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의 과학기술자 되기 , 􋺷역사비평􋺸 124집", 역사비평사, 2018

      76 문만용, "1960년대 ‘과학기술 붐’ , 􋺷한국과학사학회지􋺸 제29권 제1호", 한 국과학사학회,, 2007

      77 최애순, "초창기 SF아동청소년문학의 전개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제21 호",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7

      78 마성은, "리금철의 과학환상소설에 관한 고찰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6 호",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0

      79 장노현, "인종과 위생-􋺷철세계􋺸의 계몽의 논리에 대한 재고 , 􋺷국제어문 􋺸", 국제어문학회, 2013

      80 김한식, "학생 잡지 􋺷학원􋺸의 성격과 의의-년대를 중심으로 , 􋺷상허 학보􋺸", 상허학회, 2010, 1950

      81 김은정, "만들어진 전통과 ‘항일혁명 투쟁시기 문학’ , 􋺷민족문학사연구􋺸 43", 민족문학사연구소, 2010

      82 김동광, "해방 공간과 과학자 사이의 이념적 모색 , 􋺷과학기술사 연구􋺸 6 권 1호", 과학기술사학회, 2006

      83 김근배, "50~60년대 북한 리승기의 비날론 공업화와 주체 확립 , 􋺷역사비 평􋺸 112집", 역사비평사, 2015

      84 오윤호, "자연주의 경향의 염상섭 소설과 진화론적 상상력-􋺷만세전􋺸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54집, 2013

      85 노연숙, "1900년대 과학 담론과 과학 소설의 양상 고찰 , 􋺷한국현대문학 연구􋺸 37집", 한국현대문학회,, 2012

      86 복도훈, "북한 과학환상소설과 정치적 상상의 도상으로서의 바다 , 􋺷국제 어문􋺸 65집", 국제어문학회, 2015

      87 임지연, "초기 한낙원의 과학소설에 나타난 ‘소년’의 의미 , 􋺷한국언어문 화􋺸 65집", 한국언어문화학회, 2018

      88 최애순, "1960~1970년대 과학소설에 대한 인식과 창작 경향 , 􋺷대중서사 연구􋺸 제23권 1호", 대중서사학회, 2017.2, 2017

      89 장수경, "1960년대 과학소설의 팽창주의 욕망과 남성성 , 􋺷아동청소년문 학연구􋺸 제23호",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8.12, 2018

      90 권보드래, "과학의 영도, 원자탄과 전쟁-􋺷원형의 전설􋺸과 􋺷시대의 탄생􋺸 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 43집, 2012

      91 장철운, "북한의 지대지 탄도 미사일 개발 착수에 관한 연구 , 􋺷현대북한 연구􋺸 17권 3호",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미시연구소, 2014

      92 소준선, "미래지향적인 세계관을 가져야-국내 최초의 장편 SF 􋺷완전사 회􋺸의 저자 문윤성", 􋺷SF 매거진􋺸, 1993

      93 고장원, "􋺷SF란 무엇인가?􋺸, 부크크, 과학기술30년사 편찬위원회 편, 􋺷과학기술 30년사􋺸", 과학기술처, 1997, 2015

      94 임정혁, "식민지시기 물리학자 도상록의 연구활동에 대하여 , 􋺷한국과학 사학회지􋺸 27권 1호", 한국과학사학회, 2005

      95 김성수, "매체사로 다시 보는 북한문학: 􋺷조선문학􋺸 연구 서설 , 􋺷현대문 학의 연구􋺸 57호",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96 김성수, "‘항일혁명문학(예술)’ 담론의 기원과 주체문예의 문화정치 , 􋺷민 족문학사연구􋺸 60", 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97 김성수, "미디어와 북한문학-􋺷조선문학􋺸 􋺷문학신문􋺸 연구 시론 , 􋺷반교어 문연구􋺸 40집", 반교어문학회, 2015

      98 김태호, "리승기의 북한에서의 ‘비날론’ 연구와 공업화:식민지시기와의 연 속과 단절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지􋺸 23권 2호, 2001

      99 이지용, 최수웅, "북한 ‘주체적 과학환상소설’의 장르적 특징 연구-황정상 의 􋺷푸른 이삭􋺸을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 제15권 1호, 2016

      100 김성수, "선전과 개인숭배:북한 􋺷조선문학􋺸의 편집 주체와 특집의 역사적 변모 , 한국근대문학회", 􋺷한국근대문학연구􋺸 32, 2015

      101 김지영, "1960~70년대 청소년 과학소설 장르 연구-􋺷한국과학소설(SF)전집􋺸 (1975)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동남어문논집, 제35집, 2013.5, 2013

      102 이숙, "문윤성의 완전사회(1967)􋺸 연구-과학소설로서의 면모와 지배이 데올로기 투영 양상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52, 2012.2, 2012

      103 김려실, "일본 재난영화의 내셔널리즘적 변용: 고지라 와 대괴수 용가 리 를 중심으로 , 􋺷일본비평􋺸 7호",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2

      104 변학문, "1960년대 초 북한의 기술발전계획과 기술혁신의 제도화 시도 ,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5권 제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3

      105 김성수, "북한 초기 문학예술의 미디어 전장: 􋺷문화전선􋺸에서 􋺷조선문학􋺸 으로 , 􋺷상허학보􋺸 45집", 상허문학회, 2015

      106 김성수, "사실주의 문예비평의 전개와 􋺷문학신문􋺸1950-~60년대 북한문학 의 동향 , 􋺷아시아문화􋺸 제8호",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992,12, 1992

      107 이지용, "한반도 SF의 유입과 장르 발전 양상-구한말부터 1990년대까지 의 남북한 SF에 대한 소사 , 􋺷동아인문학􋺸 40집", 동아인문학회,, 2017

      108 허윤, "남자가 없다고 상상해봐-1960년대 초남성적 사회의 거울상으로서 의 􋺷완전사회􋺸, 􋺷민족문학사연구􋺸 67호", 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109 유임하, "북한 초기문학과 ‘소련’이라는 참조점-조소문화 교류, 즈다노비 즘 번역된 냉전논리 , 􋺷동악어문학􋺸 57집", 동악어문학회, 2011

      110 공임순, "원자탄을 둘러싼 한반도의 변화되는 세계상과 재지역화의 균열 들 , 􋺷냉전과 혁명의 시대 그리고 <사상계>􋺸", 소명출판, 2012

      111 이지순, "7차 당 대회 이후 ‘만리마’의 표상 체계: 􋺷조선문학􋺸(2016.1 ~2018.8) 시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 61호", 한국언어문화학 회, 2018.12, 2018

      112 이경수, "1950년대 여성시의 지형과 여성적 글쓰기의 가능성-김남조와 홍윤숙의 시를 중심으로 , 􋺷여성문학연구􋺸 제21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9

      113 김민선, "테크놀로지가 지배하는 어느 멋진 신세계의 풍경-‘김정은 시대’ 의 과학환상문학 읽기 , 􋺷동악어문학􋺸 76집", 동악어문학회, 2019

      114 조계숙, "국가이데올로기와 SF, 한국 청소년 과학소설-􋺷학생과학􋺸지 수 록작을 중심으로 , 􋺷대중서사연구􋺸 제20권 3호", 대중서사학회, 2014

      115 유임하, "항일무장투쟁의 혁명 전통화와 만주의 심상지리-송영의 􋺷백두 산은 어데서나 보인다(1959) 를 중심으로 , 􋺷경계와소통􋺸", 경희대 역사문 화연구소, 2010.6, 2010

      116 현지연, "북한의 비날론산업 연구 ,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성주, 한국 과학기술 정책의 형성과 과학기술 행정체계의 등장, 1945-1967",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2010, 2018

      117 김지영, "한국 과학소설의 환상성 맥락과 연구: 오영민의 􋺷화성호는 어디 에􋺸와 􋺷마의 별 카리스토􋺸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논총􋺸", 한국문학회, 2015

      118 오태호, "􋺷조선문학􋺸(2017년 1~6호)를 통해 본 김저은 시대 북한 시의 고찰-‘만리마 시대’의 사회주의 강국 건설 지향 , 􋺷한민족문화연구􋺸 61 호", 한민족문화학회,, 2018

      119 모희준, "냉전시기 한국 창작 과학소설에 나타난 종말의식 고찰- 한낙원 의 잃어버린 소년􋺸, 􋺷금성탐험대􋺸와 문윤성의 􋺷완전사회􋺸를 중심으로", 􋺷어문론집􋺸 65,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